•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湖石 姜錫箕 父子의 대종교 신앙과 민족운동 (Gang Seok-gi and his sons’ Daejongism and National Movement)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4.12
33P 미리보기
湖石 姜錫箕 父子의 대종교 신앙과 민족운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연구 / 167호 / 83 ~ 115페이지
    · 저자명 : 박걸순

    초록

    대종교에는 2代에 걸쳐 4명이 원로로 추앙되는 인물이 있다. 강석기와 그 아들 진구․철구․용구가 그들인데, 그들은 일제강점기에 진주강씨 종족마을인 부여 장정마을에서 태어나 대종교의 주요 직임을 역임하였고, 독립운동을 지원하기 위해 군자금 모금 운동을 전개하는 독립운동을 주도하였다.
    강석기는 열강의 침탈로 국권이 기울자, 자강론적 교육과 실업운동을 통해 국권회복에 나섰다. 그는 고향에 천영학교를 세워 인재를 양성하고, 미루나무와 뽕나무를 심어 부강을 도모하였다. 1909년 대종교를 신봉하기 시작한 그는 만주로 건너가 포교와 교육활동을 펼치다가 독립운동에 연루되어 일제에 의해 강제 귀국 당하였다. 이후 그는 국내의 대종교총본사를 이끌며 교리를 연구하였다. 말년에는 향리에 거주하며 부여지역의 민족운동에도 일정한 영향을 끼쳤는데, 일제는 그를 배일사상을 지닌 인물로 위험시하였다.
    강철구는 부친을 따라 북간도로 건너가, 徐一의 권유에 따라 정의단과 대한군정서에 참여하며 독립운동에 투신한 그는, 1920년과 1922년 두 차례에 걸쳐 국내에 입국하여 군자금 모금 활동을 펼쳤다. 당시 그의 군자금 모금은 해외 독립운동 세력이 대종교와 연계하여 벌인 활동으로서 3․1운동 이후 최대의 중대사건으로 여겨졌다. 따라서 이 사건은 일제를 극도로 긴장케 하였고 세간의 주목을 집중시켰다. 강진구와 강용구도 대종교에서 주요한 위치에 있었는데, 강철구의 군자금 모금에 참여하는 등 일정하게 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
    요컨대, 강석기와 그의 세 아들은 일제강점기 대종교단의 주요 위치에 있었고, 3․1운동 직후 혈연과 종교적 유대를 배경으로 대한군정서와 임시정부와 연계한 국내 군자금 모금 활동을 주도한 독특한 존재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Gang Seok-gi and his sons Jin-gu, Cheol-gu and Yong-gu are 4 grand men, who are respected for 2 generations in Daejongism. Born under Japanese rule in Buyeo, a clan village of Jinju Gang, they hold important post in Daejongism and led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collecting money for military act.
    On the decline of national sovereignty by colonialization he built the Cheonnyeong school in his hometown to raise up the human resource and strived hard to have the nation's own power back. An arboretum was the one example, he has done for his wishes.
    Having faith in Daejongism 1909 he went to North Gando and dedicated to missonary and educational work. But he was forced to return to korea by japanese government due to his involvement with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After that he lead the headquarter of korean Daejongism studying religious doctrine. For the rest of his life time he stayed in his hometown and had a certain effect on the national movement in Buyeo region, for which the japanese government of Korea made him as a security risk with antijapanese thought.
    His son Cheol-gu went to North Gando with his father and joined the national movement in Daehanjeonguidan(Justice group) and Daehangungeongseo(Armed group for the national liberation) of Seo-Il. In 1920 and 1922 he came back korea to raise money for military act, which was considered as most important affair after 3‧1 movement connecting Daejongism with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group in oversea. Paid attention to by the public, the japanese government in korea however became nerves with the case. His other sons Jin-gu and Yong-gu, holding major position in Daejongism, participated in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helping for raise the military chest of Cheol-gu’ s work.
    Held leading position in Daejongism, Gang Seok-gi and his 3 sons raised money for military act based on blood und religious tie after 3‧1 movement, which connected Daehangungeongseo, temporary government of korea in oversea and mainland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