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丁文江의 科學思想과 中國 近代科學事業의 實踐 (Ting Wen-chiang’s Scientific Thought and Practice of Undertaking of Chinese Modern Science)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8.04
49P 미리보기
丁文江의 科學思想과 中國 近代科學事業의 實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사연구 / 113호 / 167 ~ 215페이지
    · 저자명 : 허증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1920년대 중국에서 과학의 성격과 그 적용범위를 놓고 전개되었던 ‘과현논쟁’에서 과학파의 주역으로서 ‘과학방법의 보편적 적용’을 주장했던 정문강의 과학사상과 활동을 그의 과학인식론과 과학근대화 사업의 실천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려는 데 있다.
    1910-1930년대 그는 실용과학자로서, 학술행정가로서 실천적 노력들을 기울임으로써 중국과학근대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그는 중국과학주의 사조의 선도자로서 ‘存疑的 唯心主義’(Skeptical idealism)라는 과학인식의 이론적 기초를 가지고 과학지식의 보편성을 주장했다. 그는 사람들이 ‘存疑’의 대상을 분명히 파악하기 위해 ‘증거’를 확보하고, 이를 위해 현실을 직시하며 실증과학의 지평을 넓혀갈 것을 강조했다. 또한 정확한 개념과 합리적 추론에 근거한 학습지식의 확대를 통해 ‘唯心’의 심리현상에서 야기 되는 비유와 억측 같은 ‘심리적 모호성’을 최소화할 것을 주장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식적이고 합리적 판단이 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판단의 기저에는 과학지식이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의 이러한 ‘存疑的 唯心主義’는 실용과학의 이론적 기초로서 이후 중국과학근대화 사업의 정신적 동력을 제공했다.
    그의 과학사상에 대한 기존의 ‘유과학주의’ 평가는 그의 ‘과학방법의 보편적 적용’을 ‘과학만능론’으로 誤讀함으로써 비롯된 결과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선행 연구의 한계는 정문강의 과학사상을 ‘유과학주의’로 간주하며 과도한 이념적 경향의 ‘과학적 사회주의’와 혼동한 때문이었다. 또한 인도주의적 반과학주의 입장에서 이를 과학만능론으로 비판한 것은 분명히 당시 중국에 대한 구체적인 시대인식이 결여된 연구시각의 한계라고 볼 수 있다. 즉 당시 중국현실을 직시하지 못한 서구에서 전래된 ‘형식비평’의 결과였다.
    중국과학 근대화과정에서 그의 실용과학자로서의 역할은 ‘과학국구론’의 기치 하에서「지질학 분야」와「국립중앙연구원」에서 보여준 그의 구체적인 사업 활동을 통해서 확인 할 수 있다. 먼저 그는 북경대학의 명목상 지질학부서를 명실상부한 현대적 지질학과로 개편하고, 지질학연구소 설립을 통해 현장실습을 실시함으로써 현장지질조사를 위한 전문 인력을 양성했다. 또한 연구소에 필요한 각종「要綱」과 「章程」및 「廣告」를 입안함으로써 운영의 내실화를 기했다. 그리고 연구소에 필요한 기구의 개편과 설립, 조직인원의 효율적 배치, 국내학술간행물 발행, 국제학술교류, 도서관 건립 등을 통해 지질학연구소의 역량을 국제적 수준으로 끌어 올렸다. 그는 이처럼 지질학 교육과 연구 및 조사의 기초를 확립했을 뿐만 아니라, 현장의 지질탐사 작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이를 통해 광물자원의 전국적인 분포를 파악하고 정확한 매장량을 측정함으로써 중국과학 근대화사업의 초석을 다졌다.
    그는「국립중앙연구원」의 총간사직을 맡아 조직과 운영을 혁신함으로써 근대적인 국가학술연구기관으로서의 면모를 일신시켰다. 그는 硏究院의 조직과 인사, 재정 면에서 효율적인 운영을 단행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 높였다. 또한 연구원에 대한 외부의 권력 개입과 내부의 권위적인 지배를 차단함으로써 연구원의 자율적인 운영체제를 갖추도록 했다. 그리고 ‘전국학술평의회’ 설립을 통해 硏究院의 ‘협의결정’을 상설화함으로써 전국적인 학술연구조직의 유기적 관계를 개선시켜, 硏究院 조직의 민주적 운영방식을 공식화 했다.
    정문강은 ‘과학구국’의 꿈을 품고 과학사상의 현실적 적용이라는 시대적 사명을 간파함으로써 과학사상을 학술영역으로부터 국가사회의 실천영역으로 확대시켰다. 그는 중국 근대 지질과학 기반의 확립과 발전, 학술연구기관의 제도적 혁신을 주도하면서 始終 낙후된 사회경제와 후진적 과학기술의 발전을 위해 노력 했다.
    정문강은 과학을 공허한 하나의 관념으로 간주하지 않고 언제나 현실적 상황과 결부시켜 거론했다. 특히 그는 실업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서 하나는 硏究院의 일상적 업무인 과학적 방법을 이용한 각종 자연환경에 대한 관찰과 측정 및 실험 등을 중시했다. 여기서 나온 각종 통계자료들이 기술 산업발전에 귀중한 기초가 된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다른 하나는 과학방법을 이용한 천연자원의 개발과 생산기술의 혁신에 대한 국가차원의 연구를 진행할 것을 제안했다. 그리고 정문강이 과학기구를 창설하고 과학학회를 설립하여 과학기술 인재를 육성하는 한편, 몇 년 몇 개월에 걸쳐 실지 답사를 실시했던 모습을 통해, 우리는 과학 사업을 위해 동분서주했던 실용과학자로서 그의 구국정신을 분명히 엿볼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과학근대화 과정에서 정문강이 수행했던 구체적 과학 사업들은 주효했다고 보여 진다. 그러면 현대 중국과학주의 사조의 규명과 관련해 정문강이 주도했던 과학파의 위상은 어떻게 정립되어야 하는가 ? 당시 ‘구망’이 ‘계몽’을 압도하는 시대상황 속에서, 전통 고수의 현학파에 의한 적대시는 물론이고, 진영내의 이념적 분기에 따른 유물사관파(과학적 사회주의)의 비판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위축되었던 과학파(과학적 실용주의)의 위상은 새롭게 복원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후 국가제도의 근본적 전환(사회주의 체제의 성립)은, 보다 강력한 이념세력(유물사관파)에 의해 가능했다. 그렇다면 개인의 자유의지를 지향했던 과학적 인과율(과학파)과 역사적 필연성을 추구했던 사회적 인과율(유물사관파) 간의 대립에서 점진적 개량을 추구했던 합리적 비판세력(과학파)은 역사의 패배자인가 ? 이후 ‘구망’(주자파 일소)을 위한 과도한 이념화가 경직된 국가체제(문화대혁명)를 초래했고, 이것이 국가경쟁력의 약체화를 가져왔다고 볼 때, 좌우 양극단을 배제하고 ‘실용주의’ 노선을 추구했던 합리적 비판세력의 역할은 그 한계에도 불구하고 다시 주목되어야 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ientific thoughts and achievement of Ting Wen-Chiang regarding his scientific epistemology and practices during science modernization project, who claimed the universal application of scientific methods as the leading role of scientific wave in the Science versus Metaphysics in the 1920s’ China.
    In the 1910s and 1930s, Ting Wen-Chiang tried to solve these time-related problems ahead of time through spreading of scientific thought and practicing science business. During this period, h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Chinese modernization of science by taking practical efforts as a practical scientist and academic administrator.
    He argued for the universality of scientific knowledge with the theoretical basis of scientific perception as the 'Skeptical idealism' as a leader of the Chinese scientific profession. He emphasized that people must acquire 'evidence' to clearly understand the object of 'suspicion', and to do so, expand the horizon of empirical science in order to face reality.
    In addition, by expanding learning knowledge based on accurate concepts and rational reasoning, he stressed minimizing 'psychological ambiguity', such as metaphor and speculation caused by the psychological phenomenon of 'idealism'.
    In this way, he insisted common sense and rational judgment possible, and emphasized that scientific knowledge was at the basis of such judgments. Likewise, his thought of 'skeptical idealism' was the theoretical basis of practical science and provided the spiritual power of Chinese science modernization project.
    The existing 'scientism' evaluation of his scientific thoughts can be confirmed as a result of misreading his universal application of scientific method as 'scientific versatility'. The limit of this precedent study was caused by confusing Ting Wen-Chiang 's scientific thought with the 'scientific socialism' of excessive ideological tendency, considering Ting Wen-Chiang 's scientific thought as 'scientism'. In addition, criticizing it as scientism in the view of humanistic anti-scientificism is clearly the limit of the study view that lacks the specific age recognition of China at that time. In other words, it was the result of 'type criticism' that was introduced by the West who did not face the reality of China at that time.
    His role as a practical scientist in the process of Chinese modernization of science can be confirmed through his concrete business activities, which he showed in "Geology" and "National Center for Scientific Research" under the banner of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He first reorganized the nominal geology department of Beijing University into a modern geology department and established a geological research institute to train specialists for on-site geological survey.
    Furthermore he made efforts to improve the operation by drafting various "outline", "clause" and "advertisement" required for the institute. He also has brought the capacity of the Institute of Geology to the international level through the reorganiza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institutes, efficient arrangement of the organization personnel, issuance of domestic scholarly publications, international academic exchanges and library construction. In this way, he not only established the foundations of geological education, research and investigation, but also actively participated in geological exploration work on the site. Through this, the national distribution of mineral resources was grasped and the exact amount of reserves was measured, laying the foundation of Chinese science modernization project.
    On the other hand, he innovated the aspect of modern national academic research institute by renovating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as the secretary of "National Central Research Institute". He has improved the efficiency of his work by efficiently managing the organization, personnel, and finances of the Institute. Besides, he has made it equipped with an autonomous operating system by blocking external power intervention and internal authoritarian domination. Moreover,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Academic Council', he has implemented a permanent 'consultation decision' system in the institute, thereby improving the organic relation of national academic research organizations and formulating the method of democratic operation of the institute.
    Ting Wen-Chiang expanded his scientific thought from the academic field to the practice field of the national society by recognizing the time mission to realize the application of scientific thought with the dream of 'Scientific Salvation'. He led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modern geological science base in China, institutional innovation of academic research institutes, and endeavored to develop the social economy ever since lagging behind and backward science and technology.
    Ting Wen-Chiang does not regard science as an empty idea, but always associates it with a real situation. In particular, he emphasized observing, measuring and experimenting various natural environments using scientific methods, which are the daily tasks of the Institute. It was because the various statistical data from here was a valuabl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industry. On the other hand, he proposed national research into the development of natural resources and innovation of production technologies using scientific methods. In addition, Ting Wen-Chiang founded science organization and science association so as to foster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talents as well as conducted field research for the past several years. Thus it is apparent to see his spirit while devoting in science projects with his these endeavors in order to save the country as a pragmatic scientist.
    In this sense, it seems that the specific scientific projects that Jungmun Kang conducted during the process of science modernization were effective. Then, how should the status of the scientific wave led by Jungmun Kang be established in relation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contemporary Chinese Scientism? Considering the era when 'Saving the Nation' was overwhelmed by 'Enlightenment' at that time due to the antipathy of the pendants sticking to tradition and the ideological criticism from the historical materialist(scientific socialism), the position of the wave (scientific pragmatism) needs to be restored.
    Since then, the fundamental transformation of the national system (the formation of a socialism system) has been made possible by the more powerful ideological forces (the historical materialism). If so, is rational criticism(school of science) that pursuing progressive improvement a defeated of history? Since then, the excessive ideology for 'saving the nation' has resulted in a rigid national system (the Cultural Revolution) and this has led to the weakening of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is aspect, the role of rational criticism which has pursued the 'pragmatism', excluding both extremists, is enough worth to be reappraised despite its limit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