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경강 북부지역 마한성립기 문화의 전개와 양상 (Development and Patterns of Mahan established Culture in Northern Mangyeong River)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5.02
36P 미리보기
만경강 북부지역 마한성립기 문화의 전개와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79권 / 32 ~ 67페이지
    · 저자명 : 김중엽

    초록

    만경강 북부지역은 문헌기록과 함께 1960∼80년대 다수의 청동유물이 발견‧신고됨에 따라 마한성립의 중심지로 주목받아 왔지만, 상대적으로 유적의 발견은 빈약한 편이다. 근래 익산 마동유적에서 발견된 47기의 집단묘와 완주 둔산리 서당유적에서 30기의 집단묘가 확인된 양상은 만경강 북부지역에도 대규모 정착집단이 형성되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예이다.
    만경강 북부지역은 기원전 3세기경부터 마한 성립기 문화가 나타나며, 미륵산 일원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다. 군산 선제리 출토 검파형동기, 익산 다송리 출토 태양문경, 오금산 출토 뇌문경, 오룡리유적 출토 엽맥문경 등 청동의기와 각기 다른 형식의 조문경 출토양상은 계통이 다른 소규모 집단의 이주를 추정케 하며, 만경강유역권에 가장 먼저 정착한 선주민으로 이해된다.
    기원전 2세기에는 만경강유역에 인접한 지역을 중심으로 대규모 집단묘역이 형성된다. 이 중 마동유적 집단은 만경강유역권에서 유일하게 횡치옹관묘 14기가 군집을 이루며, 원형점토대토기가 옹관묘로 사용되면서 비교적 이른 시기에 옹관묘의 등장을 보인다. 주조철겸과 다수의 주조철부 등의 출토와 함께 이 집단의 정체성과 관련된다.
    기원전 2세기 전‧중반경 익산 평장리 출토 반리문경과 신흥동 수습 사수반량전의 중국계 ‘漢式’ 유물이 있는데, 반리문경은 남한지역에서 유일한 출토 예로 전한경 중 가장 이른 형식이다. 사수반량전도 희귀성을 띠고 있다. 한식 유물이 완주 신풍, 갈동 등 최상위 계층의 집단묘에는 부장되지 않는 점은 이 물품은 교역에 의한 산물보단, 반리문경, 중세형동모, 세형동검, 동과의 조합양상이 이후 영남지역 목관묘 단계의 부장유물 조합양상과 유사성을 보이는 등 그 집단의 계통성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양상으로 보아 만경강 북부지역은 남부지역과 다른 정체성으로 생각된다.
    기원전 2세기 말부터는 만경강유역권은 유적의 수가 급감하며, 영산강유역 및 영남 동남부지역을 중심으로 문화가 성행하게 된다. 만경강 북부지역은 군산 건장산, 익산 어양동 옹관묘와 익산 신동리유적 등지에서 삼각형점토대토기가 등장한다. 이러한 현상은 문헌의 절멸 기사와도 부합하는 부분이 있는데, 이는 기원전 108년 낙랑의 설치에 따른 서북한지역과의 관계변화가 이 일원에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northern part of the Mangyeong River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 center of Mahan construction as a number of bronze artifacts were reported in the 1960s and 1980s along with literature records, but the discovery of remains is relatively poor. The 47 group tombs found in the Madong ruins of Iksan and the 30 group tombs found in the Seodang ruins of Dunsan-ri, Wanju, are an important example of the formation of large-scale settlement groups in the northern part of the Mangyeong River.
    In the northern part of the Mangyeong River, the culture of Mahan establishment has appeared since the 3rd century B.C., and is distributed mainly in Mireuk Mountain. The excavation of bronze and different types of condolence landscapes, such as the Gumpa-shaped bronze statue excavated in Seonjeori, Gunsan, the bronze mirror in Dasong-ri, Iksan, the bronze mirror in Ogeumsan, and the bronze mirror from Oryong-ri ruins, estimate the migration of small groups of different systems and are understood as the first indigenous people to settle in the Mangyeong River basin.
    In the 2nd century BC, large-scale group tombs were formed around the area adjacent to the Mangyeong River basin. Among them, the Madong ruins group is the only one in the Mangyeong River basin where 14 earthenware tombs.
    The group of earthenware (wood coffin) tombs in Seodang, Dunsan-ri, Wanju, is characterized by the excavation of a number of three-shaped bronze daggers. the bronze mirror in Pyeongjang-ri, Iksan, which was excavated in the 2nd century B.C., and the “Han Dynasty” relics of the bronze coin in Sinheung-dong are excavated, which is the only example of excavation in South Korea. The Ssagabanryang Sutra is also rare. The fact that these products relics are not buried in the group tombs of the highest class, including Sinpung and Gal-dong in Wanju, is difficult to see as a product of trade. This pattern is considered to be a different identity than the southern part of the Mangyeong River.
    From the end of the 2 century B.C., the number of remains in the Mangyeong River basin decreases sharply. In the northern part of the Mangyeong River, triangle shape band of earthenware appears in Gunjang Mountain, Eoyang-dong, Sindong-ri ruins. This phenomenon is thought to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area due to the change in relations with the northwest region following the installation of Nakrang in 108 B.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