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20세기 지리산권 江右學者의 尊周意識 (A Study on the Jonjuuishik of Kangwoo Scholars in the Area of Mt. Jiri in the 19th~20th Centur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4.06
34P 미리보기
19-20세기 지리산권 江右學者의 尊周意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42호 / 197 ~ 230페이지
    · 저자명 : 강정화

    초록

    이 글은 19세기 후반-20세기 초 江右 지역에 유행처럼 일었던 존주의식 현양 활동을 중심으로 강우지식인의 의식세계를 살펴 본 것이다.
    존주의식은 임진란 이후부터 중앙정계를 중심으로 지속되었던 지성사의 한 중심축이었다. 시대가 흐를수록 이에 매몰되어 근대의 문턱을 넘지 못한 족쇄였다는 지적도 있었지만, 19세기까지도 조선사회의 주류를 차지하였다. 중앙을 중심으로 진행되던 존주의식 현양 활동이 지방에 끼친 영향의 상관성 연구가 전무했었는데, 본고가 강우지역의 세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 시기 강우지역에는 수많은 학자가 활동하였고, 그들은 여전히 명나라 毅宗의 ‘崇禎’ 연호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단편적인 현상만으로도 시대를 제대로 읽지 못한 전근대적 사고라 비판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삼전도 치욕 이후 형성된 북벌론 또는 대명의리가 시대의 흐름에 맞춰 당대의 시대논리로 변모해 왔듯, 이 시기 강우지식인들도 자기 시대의 논리에 맞게 이를 받아들였을 뿐이었다.
    예컨대 남평문씨 가문의 大明花 현양과 朴震英 추숭으로 인해 강우지역에 일었던 존주의식 현창 활동은, 오랜 기간 소외되어 있던 지방사족이 顯祖를 선양하고 가문의 위상을 강화하려는 절박함에 의해 도출된 그들 나름의 명분이었다. 鄭蘊과 朴明榑를 통해 某里나 弄月亭에서 갈구했던 지식인의 自意識 또한 그 시대가 낳은 역사적 산물이었다. 한말에 몰아닥친 외세의 침략과 일제의 야욕, 이로 인해 해체되어 가는 전통유학의 봉건적 질서 등 내우외환의 위기감이 고조되던 이 시기에 정온 등의 춘추대의 정신이 대안으로 떠올랐던 것이다. 강우지역의 존주의식 현창 양상은 강우학자들이 당대 지식인으로서 자기 시대를 헤쳐 나가는 최선의 선택이자 기회였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conscious world of Kangwoo(江右) intellectuals around the activities to exalt Jonjuuishik(尊周意識) that swept over the Kangwoo region like a vogue from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Jonjuuishik was a central axis in the history of mentality that maintained around the central political circles sinc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Some point out that it was buried in them over time and eventually failed to cross over the threshold of modern times in shackles, but there is no doubt that it was part of the mainstream of Joseon society until the end of the 19th century. Considering that there was no research on the influences of the activities of Jonjuuishik, which used to proceed only in the central region, on the local regions, the present study looked into them with three cases.
    During the period, there were many scholars active in the Kangwoo region, and they were still using the era name of Yi Zong of Ming Dynasty, namely ‘Chongzhen.’ They were criticized for being unable to read the times right and trapped in pre-modern thinking just with such a fragmentary phenomenon. However, the intellectuals of the Kangwoo region just accepted it according to the logic of their times just like the plan for northern expedition or Daemyeonguiri formed after the Samjeondo Humiliation had become the logic of the times according to time.
    For instance, the phenomenon of Jonjuuishik caused in the Kangwoo region by the activities to exalt the Ming dynasty flower and worship Park Jin-yeong in the Nampyeong Mun family was a cause of their own developed by their desperate efforts to heighten their excellent ancestry and strengthen their family status as local 사족 after many years of alienation. The sense of identity of intellectuals sought after at Mori or Nongwoljeong through Jeong On and Park Myeong-bu was a historical product of the times, as well. The spirit of Chunchudaeui of Jeong On and others emerged as an alternative when the crisis of internal and external trouble increased including the invasion of foreign power, the ambitions of Japanese Empire, and the destructed feudal order of traditional Confucianism at the end of Joseon. The exaltation phenomenon of Jonjuuishik in the Kangwoo region was the best choice and opportunity to go through the times for Kangwoo scholars as the intellectuals of the ti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