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산강유역 마한 초현기의 분묘와 정치체의 형성 (Tombs of the Early Emergence Period of Ma-han(馬韓) in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and Formation of Political System)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7.10
28P 미리보기
영산강유역 마한 초현기의 분묘와 정치체의 형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57권 / 100 ~ 127페이지
    · 저자명 : 이동희

    초록

    본고는 영산강유역 마한(馬韓) 초현기 분묘의 발굴성과를 정리하고, 마한 정치체의 형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기원전 3세기~기원후 1세기대 조성된 분묘를 마한 초현기 분묘로 설정하면서 세부적으로 2단계로 나누어 정치체 형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1단계(기원전 3~2세기대)는 ‘읍락(邑落) 형성기’로, 토착묘인 지석묘를 비롯한 외래계 무덤인 적석목관묘·석관묘 등이 조영되는데, 특히 외래 묘제와 관련 문화의 등장은 토착 세력들에게 자극이 되면서 마한 정치체의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2단계(기원전 1세기~기원후 1세대)는 ‘소국(小國) 형성기’이며, 이와 관련된 분묘로서 목관묘·옹관묘 등을 검토하였다. 영산강유역의 2단계 소국 형성에서 漢(樂浪)·전북서부권·영남지역 정치체의 영향도 분명히 있지만 토착세력의 자체적인 성장도 고려되어야 한다.
    한편, 마한 정치체 내의 위계를 Ⅰ~Ⅲ류로 구분하여 각기 국읍(國邑)의 핵심취락, 읍락(邑落)의 핵심취락, 일반취락으로 나누었는데, 그 구분 근거는 청동기·철기 및 외래계 유물의 다과(多寡)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summarized the excavations of the tombs of the early emergence period of Mahan in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and reviewed the formation of the political system of Ma-han(馬韓).
    The tombs constructed between 3 B.C. and 1 A.D. are classified as the tombs of the early emergence period of Ma-han(馬韓) and they are divided into two phases in detail. Phase 1 (3 B.C. to 2 B.C.) is considered as the ‘Period for the Formation of Town(Eup-rak;邑落)’ in which the native tombs such as dolmens as well as the foreign tombs such as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 and stone coffin tombs were constructed, and especially, the appearance of the foreign tomb system is considered to have had enormous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 political system in Ma-han(馬韓) as they stimulated native people. Phase 2 (1 B.C. to 1 A.D.) is considered as the ‘Period for the Formation of the Political Unit Kuk(國).’ Wooden coffin tomb and jar coffin tomb were reviewed in relation to this phase and it was estimated that the autonomous development had played a more significant role for the formation of the political unit Kuk(國).
    Additionally, the hierarchy of Ma-han(馬韓)’s political system was divided into Classes Ⅰ~Ⅲ; the Core Community of the State(Kuk-eup;國邑), the Core Community of Town(Eup-rak;邑落), and Ordinary Community, on the basis of large or small quantity of bronze and iron artifacts and foreign artifa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