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비시기 백제의 영산강유역 지배와 南方城 (Baekje’s Dominance of Yeongsan River Basin and Nambangseong in Sabi Period)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0.04
48P 미리보기
사비시기 백제의 영산강유역 지배와 南方城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 / 34호 / 467 ~ 514페이지
    · 저자명 : 최미경

    초록

    백제의 전남지역 지배는 사비 천도 이후인 6세기 중반 方・郡・城 제도로 전국이 일원화되는 과정에서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복암리 집단은 백제와의 대립보다는 교류를 통해 점진적으로 백제에 편입되었다. 복암리 고분 출토 은제관식은 이를 증명한다. 『周書』에 따르면 은제관식은 백제 奈率 이상 관등 소지자만 착용이 가능한 지방관 신분의 상징이다. 그동안 백제 지방관은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로 여겨졌으나, 복암리 출토 은제관식을 통해 재지세력을 백제의 지방관으로 임명하는 백제의 합리적인 방식의 직접지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은제관식의 양식으로 보아 나주지역 지방관은 達率 급의 南方城 方領으로 볼 수 있다.
    남방성의 위치 비정에 대해서는 『周書』 및 『翰苑』의 오방성 기록에 의거하여 다양한 견해들이 있었다. 나주지역은 상대적으로 서남쪽에 치우쳐있고 방어성이 발견되지 않아 남방성 비정에서 소외되었다. 그러나 복암리 은제관식을 통해 나주지역 지방관의 지위를 추측할 수 있었다. 최근 발굴된 복암리 목간을 통해 군사적, 행정적 상위기관인 나주의 남방성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방성이나 왕도의 행정구역인 前巷이 새겨진 <목간3>은 남방성 설치 가능성을 보여준다.
    백제는 영산강유역 세력이 오랜 기간 독자성을 유지해왔었던 만큼 마한세력 통제를 목적으로 남방성을 설치하였을 것이다. 또한 주변국과의 교류에 유리한 지리적 요인과 풍부한 자원을 통한 전쟁 전진기지로서의 장점은 방성이 방어성으로서의 기능만이 아니었음을 알려준다. 오방성은 사비를 기준으로 설치된 것이 아니고 백제 영역 전체를 기준으로 고르게 분포하였으므로 남방성은 전남지역에서 찾아야 할 것이며 그 중심은 나주지역이었을 것이다.

    영어초록

    Baekje's dominance in Jeonnam region was accomplished in the unification process of the whole nation under the system of Bang(方), Gun(郡), and Seong(城) in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aft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Sabi. In the process, Bokamli tribe was gradually incorporated into Baekje through exchanges rather than confrontation with Baekje, which is proved by silver cap ornaments excavated from the tombs of Bokamli. According to Zhoushu(周書), the silver cap was a symbol of the status for local officials with the positions over Nasol(奈率) in Baekje. While local officials of Baekje have been thus far considered as officials dispatched from the central government, silver cap ornaments excavated from Bokamli confirm the direct control of Baekje in the reasonable way of appointing the local powers as its local officials for the regions. In addition, the form of the silver cap suggests that the local official in Naju region was Bangryung(方領) of Nambangseong(南方城) in the class of Dalsol(達率).
    There have been various speculations about the location of the Nambangsong based on the records of five Bangseong in Zhoushu(周書) and Hanyuan(翰苑). As the Naju region is located relatively in southwest and there has been no defensive castle found there, it has been excluded from the speculation for the location of Nambangseong. However, silver cap from Bokamli made it possible to suppose the status of local officials in Naju. The recently excavated wooden tablets from Bokamli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Naju might have been the Nambangseong which was a superior military and administrative institute. Especially, ‘Wooden Tablet 3’ with Jeonhang(前巷), which was an administrative district of Bangseong or capital of the kingdom, engraved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Nambangseong.
    As the forces of Yongsan River Basin had maintained their independence for a long time in Baekje, it must have established the Nambangseong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the Mahan forces. In addition, both the geographic advantage favorable for exchanges with neighboring countries and the advantage as a war forward base with abundant resources indicate that Bangseongs did not simply function as defensive castles. Since the five Bangseongs were evenly located over the overall area of Baekje instead of being installed around Sabi, Nambangseong should be found in the Jeonnam area and its center should have been Naju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