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경강유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유입과 그 변화 (Influx and Changes of Clay-stripe Pottery Culture on the Mangyeong River Basin)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0.06
38P 미리보기
만경강유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유입과 그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65권 / 38 ~ 75페이지
    · 저자명 : 김규정

    초록

    만경강유역은 한반도 점토대토기문화가 가장 융성했던 중심지로써 대규모 군집묘와 여러 유형의 분묘가 조사되었고, 다양한 청동유물과 이른 시기의 철기가 출토되었다. 만경강유역 점토대토기는 원형과 삼각형점토대토기가 모두 확인된다. 전주·완주 혁신도시 일대에서는 대규모 군집묘와 함께 祭儀와 관련된 수많은 溝들이 조사되었지만, 생활유적인 취락은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점토대토기문화기 분묘가 가장 많이 조사된 전주·완주 혁신도시 일원은 이른 시기의 점토대토기문화는 확인되지만, 만경강유역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송국리취락은 거의 확인되지 않았는데 이는 송국리문화가 확산될 당시 혁신도시 일원에는 이미 점토대토기문화 집단이 선점하고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만경강유역 점토대토기문화 유입 시기는 방사성탄소연대와 주거지 출토 유물로 볼 때 적어도 기원전 5세기 원형점토대토기가 처음 유입되어 송국리문화와 접촉이 이루어지고 일정기간 공존하다 점토대토기문화가 본격적으로 유입되는 기원전 3세기를 기점으로 원천·조촌천 일대에 대규모 (목관)토광묘가 축조되기 시작하면서 만경강유역의 중심문화가 송국리문화에서 점토대토기문화로 대체된다. 기원전 2세기에는 준왕의 남천을 계기로 철기가 유입되면서 송국리문화는 완전히 소멸하고 기원전 1세기를 전후하여 만경강유역에서 점토대토기문화는 더 이상 발전하지 못하고 그 중심이 서남해안지역과 영산강유역으로 옮겨간 것으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Mangyeong River basin was the most prosperous center of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on the Korean peninsula, where large clusters of graves and various types of tombs were investigated, and a good variety of bronze artifacts and early ironware were excavated. Both circular and triangular clay-stripe potteries were also identified on the river basin. In the Jeonju-Wanju Innovation City area, surveys were conducted to large-scale clusters of graves and numerous sewers that are connected with rituals, but few settlements have been identified.
    In the area of Jeonju-Wanju Innovation City where most of the tombs during the period of clay-stripe pottery culture were investigated,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of the early age was confirmed, but the Songgukri-type villages that are most common on the Mangyeong River basin were hardly confirmed, testifying to the fact that the Jeonju-Wanju Innovation City area had already been occupied by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at the time when Songgukri culture spread.
    Based on the radiocarbon measurement and unearthed relics of settlements,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is presumed to have been introduced first to the Mangyeong River basin latest in the 5th century BC. Then, it met with Songgukri culture and the two cultures coexis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ut beginning from the 3rd century BC when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rushed in on a grand scale, large-size clusters of tombs started to be built along Woncheon and Jochon streams, with the central culture of the Mangyeong River basin replaced with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In the second century BC when the ironware was introduced by King Jun on the occasion of his migration southward, the culture of Songgukri completely disappeared, and clay culture was no longer developed on the Mangyeong River basin around the 1st century BC. Its central axis is believed to have moved to the southwest coast and Yeongsan River bas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1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