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산강 유역 논매는소리의 존재양상과 음악적 의미 (The Existence Aspect and Musical Meaning of Weeding-a-Rice-Paddy Sori in Youngsan River Basin)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1.12
22P 미리보기
영산강 유역 논매는소리의 존재양상과 음악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도서문화』 / 38호 / 39 ~ 60페이지
    · 저자명 : 김혜정

    초록

    문화는 강을 중심으로 형성된다. 전남의 경우 서쪽으로는 영산강이, 동쪽으로는 섬진강,그 가운데 탐진강이 흘러 각각 독자적인 문화권을 형성하고 있다. 전남의 서편인 영산강권은평야지대이며, 전남에서도 가장 넓은 농토를 지닌 곳으로 비교적 농요가 발달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영산강권(긴소리권)의 농요를 중심으로 그 전승양상과 음악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논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산강권의 논매는소리 주요 악곡은 ‘무삼삼장-마소리’의 두 악곡으로 보았다. 이가운데 영산강권 전역에 걸쳐 나타나는 악곡은 마소리였으나, 마소리의 전체 분포권은 전북의 남부지역까지를 아우르는 것이었다. 무삼삼장은 무안, 함평, 나주에 집중되어 분포한다.
    마소리의 분포권이 전북에 이르는 것은 영산강권의 북방한계선을 드러내는 것이다.
    둘째, 영산강권의 논매는소리는 시작할 때, 작업을 할 때, 마무리할 때의 시점에 따라 정해진 악곡과 가사를 노래하는 정형성이 매우 두드러진다. 상대적으로 전남의 다른 지역권인섬진강권이나 도서해안권에서는 이러한 정형성이 크게 두드러지지 않아 영산강권의 특이점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두레와 같은 조직에 의해 엄격한 규율과 질서 아래에서 논농사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영산강권의 문화권적 구도에 있어 핵심지역은 무안, 함평, 나주로 볼 수 있으며, 화순과 장성은 섬진강권인 산아지타령권과 접변하고 있고, 담양과 장성, 영광, 화순은 전북으로부터 이어지는 방아타령권과, 영암은 도서해안권인 절로소리권과 접변하고 있어 다양한 논매는소리가 발견되고 있다. 특히 방아타령권에서는 다양한 사당패소리들이 전승되고 있어서 특별한 문화권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무삼삼장은 음악적으로도 시조와 가깝다. 또한 마소리는 매우 넓은 음역으로 노래하며 정해진 자리에 추임새를 넣고, 노래 가사로 사당패소리와 육자배기 등의 가사를 차용한다.
    그리고 가창자들은 마소리를 부르며 ‘노래’라는 인식을 통해 격조있는 곡임을 강조하고 있다.
    즉 무삼삼장과 마소리 등 이 지역의 논매는소리에서는 예술성을 추구하려는 가창자들의 지향성이 강하게 드러나고 있다.
    논매는소리의 존재양상을 통해 영산강권의 문화권적 실체와 특성을 살펴본 결과, 영산강권은 여러 문화권과의 접변을 하고 있으나 영산강권만의 독특한 지향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것은 넓은 농토를 바탕으로 형성된 두레문화와 그 규율과 엄정성을 반영하고 있는 음악적 틀과 격식, 그리고 시조와 예술음악을 지향하는 상층문화 지향성 등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Culture is formed mainly around rivers. In the case of Jeonnam, Youngsan river flows on its left side, Sumjin river on the right, and the Tamjin river in the center. They all have their distinctive culture zones. Youngsan river zone, the left side of Jeonnam, is plains;has the widest farming land in Jeonnam region; and Nongak is developed relatively.
    Therefore, this article focused on Nongak of Youngsan River zone and examine the transmission aspect and the musical meaning.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ly, the main melodies of weeding-a-rice-paddy sori in Youngsan River area are the Two melodies, ‘Musamsamjang-Masori’. Among this, Masori appears throughout Youngsan River areas. Its overall distribution encompasses the southern part of Jeonbuk and Musamsamjang mainly appeared in Muan, Hampyong, and Naju. The distribution of Masori into Jeonbuk shows the northern limit line of Youngsan river areas Secondly, weeding-a-rice-paddy sori of Youngsan river areas has definite forms for songs and lyrics to sing in accordance with the timing of singing: starting working, while working,and completing working. This is really remarkable because Sumjin river regions and island-marine areas do not show this kind of standardized forms. This phenomenon may have been a result of working within a group while respecting strict rules and order.
    Thirdly, Muan, Hampyong, and Naju are the core areas in the cultural composition of Youngsan river regions. Hwasun and Jangsung are in contact with Sanajitaryung area, a part of Sumjin river regions. Damyang, Jangsung, Younggwang, Hwasun with Bangataryung zone originating from Jeonbuk, Youngam with Jullosori zone, an islets region. As a result there are various kinds of weeding-a-rice-paddy sori. Especially, there are many strolling acts that are transmittedand show characteristics of special culture zone in Bangataryung zone.
    Fourthly, Musamgsamjang is close to Sijo musically. Masori sings with a wide range of sound, adds ad-lips at predetermine spots, and borrows lyrics from strolling actors’ sori and Yukjabagi for its own lyrics. Singers emphasize that Masori is a dignified song through the awareness of ‘songs’ when they sing Masori. In the weeding-a-rice-paddy sori in the regions such as Musamsamjang and Masori, there is a strong orientation of singers seeking artistry.
    Examining the cultural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Youngsan river regions through the existence aspect of weeding-a-rice-paddy sori, Youngsan river regions are in contact with various culture zones. Nonetheless, they have their distinctive orientation. It can be defined with farmers’ cooperative culture formed on the wide farming land; musical frame and dignity reflecting the rules and impartiality, and the orientation for higher culture that aims for Sijo and artistic mus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