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전환기 강우지역 학맥 연구의 현황과 과제 (Current Situation and Tasks of Studies on the Scholarly Lineage in the Gangwoo Region i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4.12
38P 미리보기
근대전환기 강우지역 학맥 연구의 현황과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82호 / 215 ~ 252페이지
    · 저자명 : 강정화

    초록

    본고는 근대전환기 강우지역 학술의 全貌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 작업의 하나로, 강우지역에서 활동했던 8개 학파의 학맥에 관한 연구성과를 살폈다. 당시 강우지역에서 활동한 8개 학파는 본디 강우 학술의 근원인 南冥 曺植의 남명학파 외에도 퇴계학맥인 定齋 柳致明·寒洲 李震相·性齋 許傳의 학파, 그리고 율곡학맥인 蘆沙 奇正鎭·淵齋 宋秉璿·艮齋 田愚·華西 李恒老의 학파를 일컫는다. 이들 학파는 전국 각지에서 각자의 학설을 주장하며 문인들을 회합하고 학술을 전개하였다.
    남명학의 본산인 강우지역은 인조반정으로 남명학파가 몰락하면서 쇠퇴의 길에 접어들었고, 수백 년의 침체기를 거쳐 근대전환기에 이르러서야 이들 8개 학파에 의해 강우지역 학술이 다시 활기를 띄었다. 이들 강우문인은 당색과 학파를 초월해 여러 학파를 넘나들며 학술적 교류를 진행하였고, 이들의 직전문인을 넘어 再傳-三傳-四傳 문인으로 계승해 나갔다. 근대전환기 강우지역에서 행해진 이러한 학술 동향은 우리 학술사에서 전례가 없던 독특한 현상이었다.
    그러나 이들 학파의 학맥 연구는 그동안 매우 미미하게 진행되었고, 그마저도 학파 간 연구의 격차가 매우 심하였다. 성재학파와 노사학파는 연구가 제법 축적된 반면, 정재학파와 한주학파는 여전히 미미한 상황이며, 화서학파는 아직 시작도 않은 단계라 할 수 있다. 근년에 간재학파에 관한 연구가 일어나고 있는 건 긍정적인 반응으로 받아들일 만하다.
    이처럼 학맥 연구가 저조한 요인은 이 연구를 위한 텍스트인 門人錄 또는 師友錄 확보의 어려움, 이들 자료에 수록된 수백 명의 문인에 관한 기초자료 조사의 어려움 등이 있고, 무엇보다 이러한 연구는 개별 연구가 아닌 공동연구로 가능한데 이에 종사할 연구자의 부재 등을 꼽을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인식 전환이 우선되어야 하며, 나아가 물리적 행정적 여건이 호전되고 충분한 연구자 확보가 가능할 때 본 연구는 본격적인 궤도에 오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며, 그렇더라도 반드시 중단 없이 수행되어야 할 작업이다. 근대전환기 강우지역에서 행해진 여러 학파의 다양한 활동과 학맥의 전승이 제대로 밝혀져야 강우 학술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results of studies on the scholarly lineage of eight School that were active in the Gangwoo region as part of the basic work to understand the entire picture of scholarship in the Gangwoo region i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The eight School that were active in the Gangwoo region at that time refer to the Nammyeong School of Nammyeong(南冥) Jo Sik(曺植), the origin of Gangwoo scholarship, as well as the learning groups of Jeongjae(定齋) Yu Chi-myeong(柳致明), Hanju(寒洲) Lee Jin-sang(李震相), and Seongjae(性齋) Heo Jeon(許傳) from the Toegye scholarly lineage, and Nosa(蘆沙) Gi Jeong-jin(奇正鎭), Yeonjae(淵齋) Song Byeong-seon(宋秉璿), Ganjae(艮齋) Jeon Woo(田愚), and Hwaseo(華西) Lee Hang-ro(李恒老) from the Yulgok scholarly lineage. These School insisted on their own theories, held meetings with scholars, and developed scholarship all over the country. The Gangwoo region, the home of Nammyeong studies, fell into decline after the fall of the Nammyeong School due to the Injo Coup, and after hundreds of years of stagnation, the scholarship in the Gangwoo region was revived by these eight schools only whe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came. These Gangwoo literary scholars transcended partisan coloring and schools to engage in academic exchanges across various schools, and the academic exchanges passed down to their immediate successors followed by secondary, tertiary, and quarternary successors. The academic trend that took place in the Gangwoo region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was a unique phenomenon that had no precedent in our academic history. However, studies on the scholarly lineage of these School were conducted very rarely, and even such studies showed very large gaps between School. While studies on the Seongjae School and the Nosa School have been accumulated considerably, studies on the Jeongjae School and the Hanju School are still insignificant, and no study on the Hwaseo School has begun yet. The fact that studies on the Ganjae School have been conducted in recent years can be accepted as a positive response.
    Main causes of the scarcity of studies on the scholarly lineage include the difficulty of securing the records of literary scholars(門人錄) or records of alumni(師友錄), which are texts for such studies, the difficulty of investigating basic data on the hundreds of scholars included in these materials, and above all, the absence of researchers who can engage in such studies, despite that such studies are possible in the form of joint studies, not individual studies. Therefore, a change of recognition of such studies should occur first, and furthermore, such studies can get on a full-fledged track when physical and administrative conditions improve, and sufficient researchers can be secured. This is a very difficult task, but it is a task that must be carried out without a break because the entire picture of Gangwoo scholarship can be understood only when the various activities of the various School and the transmission of the scholarly lineage in the Gangwoo region that were carried out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are properly reveal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