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榮山江流域圈의 墳丘墓와 그 展開 (The Development of Mounded Tombs in the Youngsan River A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02.12
21P 미리보기
榮山江流域圈의 墳丘墓와 그 展開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16권 / 79 ~ 99페이지
    · 저자명 : 임영진

    초록

    榮山江流域圈에서는 地上의 墳丘 內에 埋葬主體施設이 造成된 墳丘墓가 기원전후경부터 6세기초까지 성행하였는데 墳丘의 平面形態는 方形-梯形-(長)方臺形-圓形으로 발전하고, 埋葬主體施設은 木棺-木槨-甕棺-石室로 변천해 나간다. 이 두가지 요소는 그 변화에 있어서 각각 서로 대응하는 경향을 보이는 바, 크게 보아 榮山江流域圈의 墳丘墓는 方形木棺墳丘墓, 梯形木槨墳丘墓, (長)方臺形甕棺墳丘墓, 圓形石室墳丘墓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어 발전하였다고 할 수 있다.
    方形木棺墳丘墓는 흔히 ‘周溝墓’라고 불리던 것으로서 低墳丘에 木棺이 들어가되 單葬이 주류를 차지하였으며 분포 범위가 넓다. 梯形木槨墳丘墓는 木棺 뿐만 아니라 木槨이 사용되고 大形甕棺도 부가되는 등 同一 墳丘 내에 水平的인 多葬이 이루어지면서 상당한 규모의 墳丘가 조성되었으며 분포 범위가 몇 개의 권역으로 압축되는 경향을 보여준다. (長)方臺形甕棺墳丘墓는 대형 專用甕棺이 垂直的으로 追加됨으로써 점차 高大한 墳丘를 가지게 되었으며 분포 범위는 극히 한정되어 있다. 圓形石室墳丘墓는 새로이 榮山江式石室이 매장주체시설이 됨에 따라 墳丘는 작아지는 경향이 보이며 분포 범위는 몇 개의 권역으로 확산된다.
    榮山江流域圈에서는 이와같은 변화가 일관되게 관찰되는바 그 변화의 배경은 다양하겠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인은 百濟와의 關係일 것이다. 특히 4세기중엽 이후에 해당하는 (長)方臺形甕棺墳丘墓와 圓形石室墳丘墓는 기존 馬韓의 墳丘墓가 榮山江流域圈에서만 계속해서 발전한 결과라는 사실은 이 지역 馬韓이 6세기 중엽경 百濟式石室墓가 들어오기 전까지 독자적인 세력을 이루고 계속해서 성장해 나갔음을 입증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墳丘墓가 계속해서 발전하였던 광의의 榮山江流域圈은 全北 西南部地域을 포함하고 있는 바 이 지역은 支石墓 密集圈으로서 支石墓 築造人들도 새로 들어온 方形木棺墳丘墓를 자발적으로 채택하여 전통적인 支石墓를 대체해 나갔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영어초록

    The first half of the first millenium AD witnessed constructions of many mounded tombs (Bungumyo) with coffins inside in the Youngsan River Area. The developmental sequence in mound style is recognized: square - trapezoid - rectangle - round for the mound plan, and wood coffin - outer wood coffin - jar coffin - stone chamber for the coffin. The change in the two elements, mound plan and coffin style, correlates with each other, and from this I divided Youngsan River Bungumyo tombs into four types: (1) Square wood coffin tombs, (2) Trapezoid outer wood coffin tombs, (3) Rectangular jar coffin tombs, and (4) Round stone chamber tombs.
    Most Square wood coffin tombs,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Younsan River Area, were constructed from the first to the second centuries AD: wood coffins of single burial were placed in the lower part of the mound. The Trapezoid outer wood coffin tombs were the dominant burial type from the second to the mid fourth centuries. Outer wood coffins as well as wood coffins were used, and big jar coffins were also included: multiple burials were usually placed in the enlarged mound. The distribution of this burial type is limited in comparison with the Square wood coffin tombs. The Rectangular jar coffin tombs were mainly built from the mid fourth to the late fifth centuries: the mound became bigger and the classic large jar coffins were placed; tombs of this type are distributed limitedly. The popular type from the late fifth to the mid sixth centuries were the Round stone chamber tombs: the stone chambers of the Youngsan River Type emerged as the major coffin facilities, while the mound became smaller and the distribution expanded.
    The sequence of the developmental change is consistently observable throughout the Youngsan River Area. Among the factors behind such a trend, we have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history of Mahan and Paekche.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the continuity observed from the evolution of Rectangular jar coffin and the Round stone chamber tombs as major Mahan tomb types implies that the dominance of Mahan in the area persisted until the mid sixth century when the Paekje style Stone chamber tombs became the major type.
    In addition, since the Youngsan River Area extends to the southwestern area of Jollabuk-do province where many dolmens are distribu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existing burial types is interesting. It is likely that Youngsan River style tombs evolved as discussed above as the local dolmen groups adopted the Square wood coffin tombs originated from the Keum River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