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의 영산강 유역 지배와 나주 복암리 목간 (Baekje's control of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and wooden tablets on Naju Bogamri)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3.11
31P 미리보기
백제의 영산강 유역 지배와 나주 복암리 목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학연구 / 92호 / 35 ~ 65페이지
    · 저자명 : 이장웅

    초록

    영산강 유역은 오랫동안 독특한 문화권을 유지하면서 백제로의 편입이 늦었던 것으로 연구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백제의 지방인 나주 복암리에서 발굴된 목간은 610년(百濟 武王 11년)이라는 절대 연대까지 알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이는 당시 백제 지방 통치의 실상을 잘 보여주는 자료로 매우 주목된다.
    먼저 목간의 기록에 郡將의 아래에서 그를 보좌하던 관직인 ‘郡佐’가 보인다는 점에서, 이곳에 郡의 치소인 豆肹의 관청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동안 ‘半那’와 ‘軍那’는 백제가 멸망한 후 663년 경에 唐이 熊津都督府의 아래에 설치한 7주 중 帶方州에 소속되어 있던 縣의 명칭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이 지명의 명칭이 610년에 제작된 목간에 기록되었다. 따라서 이 지명은 백제 멸망 이후에 처음 사용된 것이 아니라, 7세기 초에 영산강 유역의 지방 관청 소재지인 나주 복암리 일대에서 이미 사용된 지명이었음을 확실히 알게 되었다.
    또한, 목간에 보이는 ‘□毛羅’는 제주도를 뜻하는 지명으로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영산강 유역의 백제 군 치소에 해당하는 나주 복암리 일대의 두힐에서 ‘반나’와 ‘군나’ 지역에 대한 통치는 물론, 제주도 지역까지도 지배 체제를 확립하였음을 보여주는 자료로 주목된다.

    영어초록

    It was studied that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maintained a unique culture for a long time, and the incorporation into Baekje was delayed.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wooden tablets excavated in Bokam-ri, Naju, a region of Baekje, was known to the absolute age of 610(the 11th year of King Mu of Baekje). Therefore, this is very notable as a data that shows the reality of Baekje's local rule at that time.
    First of all, since the record of the wooden tablets shows "Gunjoa(郡佐)", the official position that assisted him under the "Gunjang(郡將)", it can be seen that there was the government office of "Duheil(豆肹)", the chief office of the "Gun(郡)". Until now, "Banna(半那)" and "Gunna(軍那)" have been known as the names of "Hyun(縣)" belonging to "Daebangju(帶方州)" among the seven provinces installed by the Tang Dynasty under the "Woongjindodokbu(熊津都督府)" around 663 after the fall of Baekje. However, the name of this place name was recorded on a wooden tablet produced in 610. Therefore, it was clearly discovered that this place name was not first used after the fall of Baekje, but was already used in the area of Bokam-ri, Naju, the loc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office in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in the early 7th century.
    In addition, the "□mora(毛羅)" seen on the wooden tablets can be seen as a place name that means Jeju Island. Through this, it is noteworthy that the governance system has been established in the Jeju Island region as well as the governance of "Banna(半那)" and "Gunna(軍那)" in "Duheil(豆肹)" in Bokam-ri, Naju, which corresponds to the Baekje county office in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