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姜靜一堂의 공부론과 그 철학적 토대 (Kang Jungildang’s Study Theory and its Philosophical Found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9.07
54P 미리보기
姜靜一堂의 공부론과 그 철학적 토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 / 51호 / 27 ~ 80페이지
    · 저자명 : 신상후

    초록

    본고는 ‘여성과의 갈등 문제 해소의 여지를 지닌 성리학’의 성격을 살펴보기 위하여, 조선조 후기 여성 성리학자 姜靜一堂의 학문을 분석ㆍ검토한다. 연구의 방법으로 정일당의 공부론을 분석하고 그 철학적 토대를 탐색하는 방식을 취하였는데, 이는 정일당의 남아 있는 저술 중의 상당수가 공부론의 범주로 분류될 수 있을만한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또 본고는 공부론의 철학적 토대를 분석함에 있어 정일당의 서술로 부족한 부분들은 그에게 영향을 준 주변 학자들의 이론을 참고하여 그 내용을 채웠는데, 이렇게 하면 정일당 학문의 이론적 특징을 추적할 수 있을 것이고, 이로써 ‘여성과의 갈등 문제 해소의 여지를 지닌 성리학’의 성격도 파악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정일당의 공부론의 특징은 첫째, 知공부를 강조하고 博學을 추구한다는 것이고, 둘째, 李延平의 未發時 體認 공부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실천한다는 것인데, 이 공부론은 洛學의 未發心論에 의해 존재론적으로 정당화된다. 정일당은 知공부에 있어 깊이와 넓이를 모두 추구하였지만, 특히 일상의 中節을 성취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을 중시하였다. 그는 현실의 다층성과 역사·사회의 변천을 스스로 헤아림으로써 자신이 마주한 현실에 맞는 규범을 산출해내고자 하였다. 말하자면 그는 禮의 주인이 되고자 했던 것이다. 예의 주인이 된다는 것은 一原과 分殊를 통일하는 주체가 된다는 의미이다. 정일당이 수행했던 미발시 체인 공부는 이 주체의 기초를 마련하는 공부였고, 지공부는 그 주체가 통일을 수행하는 데에 있어 필요한 지식을 쌓는 공부였다. 정일당 학문의 목표는 일원과 분수의 통일을 성취하는 주체가 되는 데에 있었던 것이고, 이 목표의 설정에 洛學의 未發心論이 철학적 배경으로 작용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Neo-Confucianism that can resolve conflicts with women. In order to do this, Kang Jungildang(姜靜一堂)’s study, especially her study theory, and its philosophical foundation is analyzed. Many of Jungildang’s works can be classified as study theories, and ontology is less found. Thus, the lack in Jungildang’s statement is complemented by other scholars’ theories which have influenced on her.
    The characteristic of Kang Jungildang’s study theory is that first, emphasis on acquiring knowledge and pursuing erudition; second, accepting and practicing Lee Yn Ping(李延平)’s tiren(體認) study in the Mibal(未發) state. Kang’s study theory is composed of three components, acquiring knowledge, practicing and Mibal study, rather than two components, acquiring knowledge and practicing. The three-components-structure was stated by Yulgok Yi-I(栗谷 李珥) and consolidated by Nakhak(洛學) that succeed to him.
    Kang Jungildang actively practiced tiren study in the Mibal state. Even though Zhu Xi(朱熹) warned that ‘(the study) can lean toward stillness’, Nakhak scholars in Joseon Dynasty, including Kang Jungildang, emphasized tiren study and its practice. This study theory is rooted on the Mibal heart-theory(未發心論). According to the Mibal heart-theory, mind is already in the awake and active state, though it does not perceive any subjects. Also, there is no distraction in the Mibal state. From this perspective, Nakhak scholars could emphasize tiren study in the Mibal state.
    Kang Jungildang also stressed acquiring knowledge in studying. Kang not only pursued wide and deep learning, but especially valued the knowledge satisfying the appropriateness(中節) in the everyday life. Kang set reasonable criteria, while concerning the complexity in reality, and the changes in history and society. In other words, Kang would like to become ‘a master of li(禮)’, who can unify ‘the one origin(一原)’ and ‘diversity of manifestations(分殊)’. Tiren study that Kang praticed became foundation for the main agent,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was required to unify the two. The academic goal of Kang was consequently on being the main agent who unified the one origin and diversity of manifestations. Nakhak’s heart-theory served a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to achieve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