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낙동강의 서원과 ‘한강학풍(寒岡學風)’ (Seowon of Nakdong River and ‘Han gang's Academic Style’ -Focusing on Ganganhak(江岸學) in the Daegu Area -)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4.03
35P 미리보기
낙동강의 서원과 ‘한강학풍(寒岡學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유교사상문화연구 / 95호 / 43 ~ 77페이지
    · 저자명 : 정우락

    초록

    이 글은 낙동강 연안에 건립된 서원 가운데, 정구가 제향된 곳을 중심으로 이들의 연대의식과 함께 ‘한강학풍(寒岡學風)’을 고찰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서원을 주목한 것은 이곳에서 조선시대 영남 선비들의 고민과 그들의 실천을 가장 확실하게 탐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낙동강 연안 가운데 대구권, 즉 구미, 칠곡, 김천, 성주, 대구, 고령 지역을 그 범위로 설정했다. 이 지역에 서원이 어떻게 존재하고 있으며, 이들 서원이 이 지역의 학술사에서 어떤 역할을 하였는가 하는 부분을 주로 파악하고자 했다. 이로써 낙동강 연안학인 ‘강안학’의 일 부면을 새롭게 이해할 수 있었다.
    전국에 걸쳐 정구가 제향된 서원은 선조 연간에 건립된 창녕의 생사당을 포함하여 19개소이다. 이 가운데 대구권 서원으로는 연경서원(대구), 천곡서원(성주), 회연서원(성주), 사양서원(칠곡), 도동서원(대구) 등 5개소이다. 정구가 그러했던 것처럼 정주학을 중심으로 한 도학의 증진과 김굉필을 통한 도통의 확립은 대구권 강안학이 지닌 한강학풍의 제일의(第一義)이다. 그러나 도학을 확보하는데만 함몰되지 않고, 개방적 성향을 보이기도 했다. 이 지역에 퇴계학과 남명학을 교융시키면서도 기호 사인들의 문집이나 저술 목판이 대거 수장되면서 새로운 지식을 생성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을 본고에서는 ‘주체적 개방성’이라 명명하고 적극 다루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designed to examine the "Han gang's Academic Style" along with their sense of solidarity, focusing on the places where the Han River Jeong-gu holds rituals among the seowon built on the coast of the Nakdonggang River. We focused on Seowon because it provides a glimpse into the concerns and practices of Yeongnam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We focus on the Daegu region, namely Gumi, Chilgok, Gimcheon, Seongju, Daegu, and Goryeong, along the coast of the Nakdong River. The main task is to understand the existence of vows in this region and the role they played in the academic history of the region, which is summarized in the ‘Han gang's Academic style.’ There are 19 seowon honoring Jeonggu across the country, including Changnyeong's Saengsadang(生祠堂), which was esta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jo. Among them, there are 5 seowon in the Daegu area: Yeongyeong Seowon(Daegu), Cheongok Seowon(Sungju), Hoeyeon Seowon(Sungju), Sayang Seowon (Chilgok), and Dodong Seowon(Daegu). As with Jeonggu, the promotion of Dohak centered on Jeongjuhak and the establishment of Dotong through Kim Goengpil were the most important thing ‘Han gang's Academic style’ of Hanganhak in the Daegu area. However, it was not depressed only in securing Dotong, but also showed an open tendency. This is because while converging Toegyehak and Nammyeonghak in this area, knowledge was created by storing a large number of writings and woodblocks of writings of scholars in the Giho area. We could call this 'independent open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교사상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