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태석의 <백마강 달밤에> 판본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stage versions of Oh Tae-Suk's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5.06
34P 미리보기
오태석의 &lt;백마강 달밤에&gt; 판본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드라마학회
    · 수록지 정보 : 드라마 연구 / 46호 / 177 ~ 210페이지
    · 저자명 : 양세라

    초록

    이 논문은 <백마강 달밤에> 초고와 공연과정에서 생산된 주요 판본을 확인하고 비교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백마강 달밤에> 판본에서 확인할 수 있는변화와 차이가 관객을 인식하고 소통하고자 하는 연출가의 기대와 전략을 반영한 것으로 보고 논의를 진행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공개되지 않은 초고에서 리허설과 공연을 통해 수정된 초연 판본, 그리고 20년 동안 무대수용을반영한 판본의 변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이 판본 연구는 <백마강 달밤에> 공연 판본의 계보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이 논문은 계보를 통해 오태석이 인식한 관객, 즉 관객으로부터 어떤 기대와 반응을 유도하고자 했는지를 고찰했다.
    관객에 대한 인식을 전제로 구성된 판본은 구체적인 무대 수용의 변화와 차이를 보여주기 때문에 공연 기록으로서 의의도 지닌다. 본 연구는 극단 목화에서수집 소장하고 보관한 아카이브를 근거로 서술하였다.
    본 논문은 <백마강 달밤에>의 정본처럼 다뤄지는 1993년 초연 대본을 기준으로 미공개 처녀원고인 초고(初考)를 소개하였다. 이 대본을 통해 <백마강 달밤에>에 문학적 텍스트로서 희곡의 의의를 고찰해 보았다. 초고를 통해 독자나 무대진의 개입이나 영향 없이 극작가가 전략적으로 이해한 ‘관객’의 모습과무대형식(희곡의 구조와 장면전개)을 확인했다. 다음으로 극단의 제작노트를통해 리허설과정에서 전문적인 관객이자 독자의 반응과 기대를 통해 대본이수정되는 과정과 그 결과 토월극장 판본 구성을 고찰해 보았다. 이를 계기로희곡 텍스트(초고)에서 관객인식이 문학적 언어로 형상화된 것에서 1993년 예술의 전당 토월극장 리허설 대본을 통해 무대언어로 전환을 비교했다. 특히 극단의 제작노트와 연출노트를 통해 초고와 토월극장 판본의 가장 큰 무대화의차이를 명부(冥府)의 파노라마적 장면연출에서 확인하였다. 초연은 작가의 자의적 해석에 의해 의자왕과 성충, 계백 등 역사텍스트가 재맥락화 되고 여기에계백의 삼형제에 대한 복잡한 국면을 무대화 하면서 역사적 담론을 형성하는극작법과 연출의도가 확인된다. 이 장면에서 오태석은 역사를 그로테스크하게재현함으로써 현실에 대한 불안과 비판을 투영하여 담론적인 공간으로 무대화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오태석이 무대연출과정에서 관객이 스스로 환영과 지각의 유희를 일으키는 존재로 인식한 결과가 무대변화로 수용된 것으로 파악했다.
    <백마강 달밤에> 판본의 비교를 통해 발견되는 관객인식은 대표적으로 ‘순단’이 ‘금화’의 몸을 빌려 명부로 이끄는 장면과 이 장면의 변화된 무대수용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 변화는 2004년을 기점으로 2014년 판본에서는 관객의상상력을 자극하는 명부장면이 사건을 비약적이며, 훨씬 더 탈역사화되고 탈담론적으로 무대화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이 변화는 초연과 2014년 판본에서 극명하게 다른 무대형식으로, ‘명부’를 언어유희와 만화적 인물표현과 행위로 재조합하여 추상적으로 묘사한 방식에서 찾을 수 있다.
    판본연구를 통해 오태석이 <백마강 달밤에>를 연출극(Regie-Theater)으로재창조하면서 공연마다 완결하는 상연텍스트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통해 관객에 대한 인식이 무대를 변화시키고 텍스트를 움직이는 연행적인 극작법이 오태석의 연극미학이라는 점을 재확인했다. 본 연구는 판본의 변화와비교를 분석하면서 관객에 대한 인식이 오태석의 움직이는 텍스의 미학을 형성한다는 점에 주목해 보았다. <백마강 달밤에> 판본에서 확인할 수 있는 변화와 차이는 변화한 관객을 인식하고 소통하고자 하는 연출가의 기대와 전략이 반영된 것이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Baengmagang Dalbame> Compare the editions were made to reconstruct the genealogy of them based on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 edition of Oh Tae-Suk and investigate the playwright and stage performances 2014 edition revealed the acceptance process since 1993. The configuration is the first manuscript and scene development is that different types of text followed by a literary script and performances. Towol Theater editions(1993) of the biggest changes is the stage that directed the panoramic scene of ‘Purgatory(冥府)’. Finally, we compare the Dongsoong Arts Center editions(2004) and the Drama Center editions(2014). By comparing the two editions embrace the ‘Byeolsingut’ to stage type ‘Soon-dan’ performance through the shaman to perform a structural form and the scene is found that changes.
    This article explores the changing relationship between the <Baengmagang Dalbame> show the text that this scenario to demonstrate the performance four conversions. This study is based on a list made by the researcher. The list archives are collected and stored in a lawsuit extreme ‘Mokwha’. Changes in the performance script <Baengmagang Dalbame> is the theatrical text of the premises as a troupe of cotton production methods and Oh Tae-seok audiences and communication.
    In this study, the first manuscript <Baengmagang Dalbame> (rehearsal manuscript) and other versions that is, the text explores the formation process of performing a concert text changes. The dramatist Oh Tae-seok has proved to serve as one of the ‘event’ and meet the audience and the actors that made the theater through performances and rehearsals of ‘doing’.
    This paper shows where and when the other <Baengmagang Dalbame> script text are different performances, but also in their performances compared to the change process is the process of text can be found performing. Therefore, this paper is the basis for describing the writing of the character and detained Oh Tae-seok. In addition, the course of the concert stage and text study reflects the variability, it is significant as a record of the performance-Writ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ing Poetics” in the features of his writing and directing.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screenplay and the director notes confirming through the archived data from the archive of the thea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드라마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