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북 문학에 나타난 두만강 인식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he Tumen River in North Korean Defector's Literature)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3.04
27P 미리보기
탈북 문학에 나타난 두만강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용봉인문논총 / 62호 / 149 ~ 175페이지
    · 저자명 : 서세림

    초록

    본고에서는 탈북 문학에 나타난 두만강 인식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두만강에 투영된 경계와 균열의 의미가 탈북 문학의 장에서 형상화되었을 때 어떠한 관점을 보여주고 있는가에 대해 탐색할 것이다.
    한국문학에서 두만강은 대표적 접경지 및 경계지의 의미로서 여러 차례 형상화되었고 식민지 시대 이후 두만강의 이미지와 관련한 문학 작품들이 지속적으로 발표되어 왔다. 20세기 이후 식민지배와 전쟁, 분단 등을겪으며 우리 민족에게 두만강이 지니는 의미는 매우 중요하면서도 유동적인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본고에서 주목하고 있는 탈북 문학과 두만강 인식은 1990년대 ‘고난의 행군’ 이후 급속히 증가한 탈북자들의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북한 체제를 벗어나 중국을 통해 한국이나 제3국으로 향하려는 탈북자들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상황에서, 두만강은 그러한 탈북 행위의 시작점인 동시에 경계선이 되었기 때문이다. 즉 국경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뿐만 아니라 다양한 담론을 생산해내고 있는 영역으로 기능한 것이다. 국경, 경계로서의 두만강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인식들을 고찰함으로써 본질적으로 경계와 권력, 혹은 경계와 삶이 어떻게 탈북 문학에서 구현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데에 이 논문의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장해성의 『두만강』, 유영갑의 『강을 타는 사람들』, 그리고 미국 작가 제프 탈라리고의 『다시 그 강가에 서다』 등 세 편의 탈북 문학 작품들을 대상으로, 경계로서의 두만강이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에 대해 고찰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perception of the Tumen River in North Korean Defector's Literature. Through this, we will explore how meaningful the meaning of boundaries and cracks reflected in the placeability of the Tumen River can be when embodied in the chapter of North Korean defector literature.
    In Korean literature, the Tumen River was shaped several times as a representative border and border area, and literary works related to the image of the Tumen River were continuously published after the colonial period. After the 20th century, the meaning of the Tumen River was very important and fluid to the Korean people through colonial rule, war, and division.
    In particular, the literature on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 perception of the Tumen River, which is being noted in our home country, are closely related to the situ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which has rapidly increased since the "March of the Pain" in the 1990s.
    With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trying to escape the North Korean regime and head to South Korea or a third country via China exploding, the Tumen River has become a starting point and a boundary for such activities. In other words, it is producing various discourse as well as functions as a bord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diverse perceptions created by the Tumen River as a border and boundary, in essence, how boundaries and power are embodied in North Korean defector literature.
    As a result, this paper examined the recognition of the location of the Tumen River, which includes three North Korean literary works, including Jang Hae-sung's Tumen River, Yoo Young-gap's People Who Cross The River, and American writer Jeff Talarigo's The Ginseng Hun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용봉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