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姜世晃의 <淸供圖>와 文房淸玩 (Kang Sehwang’s Cheonggong-do and the Cultural Meaning of “Pure Enjoyment of Scholars’ Accoutrement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1.12
32P 미리보기
姜世晃의 &lt;淸供圖&gt;와 文房淸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71272권 / 271272호 / 113 ~ 144페이지
    · 저자명 : 이경화

    초록

    본 논문은 강세황의 <청공도>에 그려진 기물 및 畵題를 분석하여 문방기물의 그림을 통해 그가 어떻게 문인적자기인식을 드러냈는가를 분석한다. 아울러 기물의 완상취미를 향유하는 일상적 공간을 재현한 그림이 어떤사회문화적 맥락에서 그의 정체성을 구현하며 주인공의 자기표상으로서 기능하는가에 대하여 살펴본다. 대상 작품의 회화적 의미뿐 아니라 그림에 나타나는 기물과 그 감평 및 회화제작 행위가 가지는 사회문화적 의미를 분석하는 이 연구는 조선문인의 완상문화에 물질문화적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하는 시도이기도 하다.
    강세황의 <청공도>에 그려진 붓, 벼루, 서적, 여의, 분재 등은 문인이 일상에서 사용하는 기물인 동시에수집과 감상의 대상으로서 향유되었던 물건들이다. 강세황은 이러한 문방 기물 각각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들을 올바른 방식으로 향유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는 기물의 소유와 완상이 문인 고유의 문화로서 자신의 문화적 소양과 수준을 표출하는 직접적 표식이 되었기 때문이다.
    <청공도>에 적힌 무한경루라는 당호는 실제 강세황이 기거하며 문예활동에 열중하던 공간이었다. 화면에장소를 적어 넣어 그의 정원과 서재를 환기시키는 방식에는 문인의 일상생활 공간 또한 완상과 향유의 대상으로서 여겨졌던 당시의 문화적 분위기가 나타난다. 강세황의 정원문화에 대한 관심은 그가 지속적으로 자신이소유한 정원을 독특한 형태로 꾸미거나 다시 이를 그림으로 재현하는 행위로 나타났다. 괴석, 연못, 가산으로세련되게 꾸민 정원을 그린 <지상편도>의 정원묘사에는 명대 강남문인들 사이에 유행하던 정원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다. 이 그림에서는 강세황과 안산 문인들이 정원과 서재를 세련된 기물로 꾸미고 그 안에서 벗과 더불어문예활동에 몰두하였던 명말 문인들의 정원문화를 그들이 실현하고픈 인생의 모델로 삼았음을 읽을 수 있다.
    강세황과 동시대 문사들에게서 문방의 완상취미를 즐기는 아취 있는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동시에 이를다시 그림으로 재현한 사례를 찾을 수 있다. 서직수의 <십우도> 및 김홍도의 <단원도>는 표현방식은 다르지만<청공도>에 표출된 문인적 자기인식을 공유하는 그림이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기 위한 이미지로서 정원과 서재를 배경으로 문예와 기물의 완상을 즐기는 우아한 문인의 모습을 선택하였다. 이작품들은 문인들이 소장한 기물, 그들이 영위하는 일상생활이 그들의 정체성 형성과 긴밀한 관계에 있음을 증명한다. 아울러 그들의 자기인식을 가시적으로 구성하고 외부로 표출하기 위한 매체로서 회화가 효과적으로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문방기물이라는 소재를 수묵의 서예적 필선만으로 담담하게 표현한 <청공도>는문인화가 강세황이 소유한 기물뿐 아니라 그가 남다른 품격과 아취를 갖춘 문인적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인물이라는 화가의 메세지를 명백하게 전달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Cheonggong-do (Utensils and Antiquities ) by Kang Sehwang, and items featured in it to understand how scholars’daily items were used as means of visual self-expression by this literati painter. An important goal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a painting showing the everyday space filled with scholars’objects comes to represent the artist’s socio-cultural identity, as a mirror of himself.
    Brushes, ink stones, books, ruyi scepters , and bonsai plants appearing in Kang Sehwang’s Cheonggong-do are objects that are commonly found in a scholar-official’s study,but they are also cherished collectibles providing visual pleasure. Kang Sehwang was a connoisseur of these types of items and had a discerning taste for them. Owning these items and drawing pleasure from contemplating them was an integral part of literati culture during the Joseon period, and, by extension, a direct vehicle for expressing one’s cultural and refined taste.
    ‘ Muhangyeongnu’written in a corner of Cheongong-do is the name of Kang Sehwang’s study where he read books, wrote poems, and painted pictures. By inscribing the name of the location on the painting, Kang Sehwang evokes the actual study where he is physically located, and the garden outside it; a gesture indicative of a common tendencyamong members of Joseon’s literati class of his time, in which the everyday space of a scholar-gentleman is as such a source of aesthetic enjoyment. Kang Sehwang shared the interest in gardens with his contemporaries. He was keenly interested in arranging his garden in an original manner and he reproduced it in paintings. His Jisangpyeon-do [Bai Juyi’s (772 -84 6) Poem“, On the Pond”], depicting a sophisticated garden decorated with oddly-shaped rocks, a pond and a miniature mountain made of rock piles, is reminiscent of garden scenes popularly painted by southern China-based literati painters of the Ming dynasty. The garden culture of late-Ming literati represented for Kang Sehwang an ideal lifestyle; a lifestyle affording a learned man a refined environment in which he may devote his life to his studies and art, indulging in the joys of friendship.
    Kang Sehwang’s contemporaries cultivated a similar lifestyle and represented it in their paintings as well. Paintings like Sipu-do (Ten Friends) by Seo Jiksu or Danwon-do (The Sandalwood Garden) by Kim Hongdo, although very different in their style, share the same self-perception of a scholar-gentleman as the one that can be glimpsed in Kang Sehwang’s Cheonggong-do. They both chose an elegant image of a scholar-gentleman enjoying literature and rare and beautiful objects, set against the backdrop of a garden and a study, as their own self-image. These paintings, therefore, attest to the important role played by personal items and the everyday environment in the shaping of self-perception among members of the literati class. Meanwhile, painting, insofar as it provides a vehicle for exteriorizing such self-perception in a visible form, was an effective medium for these people. Kang Sehwang’s Cheonggong-do , treating the theme of a scholar’s studio items in a minimalistic fashion, using only ink and in line drawing based on calligraphic brush strokes,indeed gives a sense of what a refined and elegant literati lifestyle Kang Sehwang had and what an exceptional literati painter he wa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