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산강유역 송국리식 토기의 특징과 변천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Songguk-ri Type Pottery in the Yeongsan River Basin)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7.06
27P 미리보기
영산강유역 송국리식 토기의 특징과 변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56권 / 62 ~ 88페이지
    · 저자명 : 황재훈

    초록

    본고의 목적은 송국리식 토기를 대상으로 영산강유역 송국리유형의 지역성과 변화상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영산강유역 송국리식 토기의 성형 및 정면방식과 각 기종・형식 별 특징을 관찰하였다. 다음으로 송국리식 토기의 시간성을 검토하기 위해 영산강유역 및 주변 일대 유적의 분포와 배치구조, 주거 형식, 유구 간 중첩 양상을 분석하고 토기 기종 별 선후 및 공반관계, 세부 속성의 변화상을 살펴보았다.
    영산강유역의 청동기시대 중기는 주거 형식과 토기 제작 기술체계의 변화, 신기종의 등장과 같은 획기를 기준으로 크게 2단계로 나눌 수 있으며 토기 세부 속성과 형식의 존속기간, 표지유물을 참고하여 다시 각 2분기로 세분가능하다. Ⅰ단계는 휴암리식 주거지가 조성되는 시점으로 기원전 9~8C를 상한으로 한다. 1기에는 전기 유물이 일부 확인된다. 토기는 축약된 굽에 나팔형 또는 난형 기형의 발형과 직립구연의 호형, 완형토기가 출토된다. 내외면에서는 목리, 손누름, 물손질 등의 정면흔이 관찰된다. 2기 또한 휴암리식이 주를 이루지만 유적에 따라 말각방형 주거지와 같은 평면 형태상의 변이가 나타나기도 한다. 토기는 기형이나 기종에 있어 뚜렷한 변화는 없지만 축약 정도가 약해지고 두께가 얇아진 저부나 희미하게 빗질 정면된 동체가 발견되기도 한다. Ⅱ단계에 들어서면 영산강 전역에 걸쳐 송국리식 주거지가 본격적으로 축조되는데 일부 지역에서는 휴암리식 주거지가 존속한다. 호형과 발형토기의 기형은 장동형 또는 구형으로 변화한다. 축약굽은 대부분 평저 또는 말각평저로 변화하며, 표면에는 빗질 정면이 정연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전용 뚜껑이 새로이 등장하여 송국리식 토기 기종의 하나로 자리 잡는다. 1기와 2기는 뚜껑의 형식 변화를 기준으로 분기할 수 있는데 그 시점은 기원전 5C 즈음으로 추정된다. 특히 2기는 점토대토기관련 유물이 공반하는 시기로 기존 편년 틀과 최근의 탄소연대를 감안하면 기원전 4C 중반을 안정적인 하한으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Songguk- ri assemblages, with a particular focus on Songguk-ri type pottery in the Yeongsan River Basin. First, the form, surface treatment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Songguk- ri type pottery from the Yeongsan River Basin were examined. Nex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ronology of Songguk-ri type pottery, the distribution and arrangement of site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and surrounding areas and the types of dwellings and the presence of overlapping features at those sites were analyzed, and the temporal relationships and contemporaneity of pottery types and changes in detailed attributes were examined.
    Using major developments such as changes in dwelling types and pottery-production techniques and the appearance of new pottery types as criteria, two chronological periods can be distinguished. Additionally, the temporal persistence of certain detailed attributes and certain pottery types and the presence of diagnostic artifacts allowed each period to be further divided into two phases. Period I begins between the 8th and 9th centuries BC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Hyuam-ri type dwelling. In Phase 1, some Early-period artifacts have been discovered. Bugle-shaped pottery with protruding bases, egg-shaped pots, straight-rimmed jars, and bowlshaped pottery are all found in this phase. Traces of surface treatments including wood-scrubbing, hand-pressing, and water treatments are observed on the inner walls and surfaces of vessels. In Phase 2, Hyuam-ri type dwellings continue to dominate, but some variations, such as rectangular dwellings with rounded corners, can be observed at some sites. There is little change in forms and types of pottery, however, the protruding base becomes less pronounced, the vessel walls become thinner, and thin bases and faint traces of combing can be seen on the bodies of some vessels. In Period II, Songguk-ri type dwellings become prevalent throughout the Yeongsan River Basin area, although some Hyuam-ri type dwellings continue to be constructed. The jar and pot-type vessels are replaced with long-bodied and globular vessels.
    Furthermore, protruding vessel bases are mostly replaced with flat bases and flat bases with rounded edges, and traces of combing become apparent on the surfaces of vessels. Furthermore, vessel lids, a characteristic of one type of Songguk-ri type pottery, first appear. Phases 1 and 2 of this period, which are divided at about the 5th century BC, can be distinguished by vessel lid types. In Phase 2, artifacts related with pottery with clay-band rims become particularly prominent, and considering previous chronologies and recently obtained radiocarbon dates, the lower limit for Phase 2 can be safely set at the mid-4th century B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