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얀마 버강시대 로카테익판 사원 연구 (A Study on Lokahteikpan Temple in Bagan, Myanmma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6.03
36P 미리보기
미얀마 버강시대 로카테익판 사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21권 / 113 ~ 148페이지
    · 저자명 : 주경미, 강민지

    초록

    미얀마 버강지역에 남아 있는 로카테익판 사원은 12세기경 건립된 불교 사원으로서, 내부에 다채로운 도상과 양식의 벽화가 남아 있는 매우 중요한 사원이다.
    본고에서는 로카테익판 사원의 구조 및 벽화의 내용을 중심으로, 이 사원이 동남아시아 상좌부 불교 미술의 중요한 선례가 되는 버강시대의 대표작임을 살펴 보았다.
    로카테익판 사원은 벽돌로 세워진 전형적인 버강시대 구파야 형식의 건축물로서, 내부는 방형의 전실과 주실로 구성되어 있다. 사원 내부에 그려진 채색 벽화중에는 고대 몬어와 고대 버마어로 벽화의 내용을 서술한 명문이 남아 있어서, 동남아시아 불교 미술 도상을 연구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로카테익판 사원에 그려진 벽화의 주제는 크게 불전도, 본생도, 과거 28불도 등세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전체적인 도상 배치는 석가모니 붓다의 전 생애와 불교적 세계관을 종합하여 이루어졌다. 이 사원에 그려진 벽화는 사원 참배자의 동선에 따라, 석가모니 붓다의 전생에서 시작하여 붓다의 생애와 설법을 살펴보며, 과거로부터 현재까지의 모든 붓다들을 예경하는 순서로 배치되었다.
    불전도는 주실의 남벽과 동벽에 그려져 있는데, 특히 남벽에 그려진 불전도는석가모니 붓다의 생애 중에서 가장 중요한 팔상 장면을 정각 장면의 본존불을 중심으로 조형화하였다. 이 팔상의 표현은 인도 팔라시대 불교 미술의 영향을 받은것이면서도, 동시에 도상적으로는 버강왕조시대에 새로 받아들인 상좌부계 팔리어본 경전의 영향이 함께 보이는 점이 특징이다.
    본생도는 모두 32종의 자타카를 선택하여 도해했는데, 그중에서도 팔리어본자타카 중 맨 마지막의 10종 자타카를 강조하여 조형화한 점이 특징이다. 본생도중 연등불의 수기 장면을 제외한 다른 31종의 자타카는 주실 서벽과 전실 동서벽에 그렸으며, 그중에서도 베산타라 자타카와 마호사다 자타카를 특별히 자세하게도해하였다.
    주실 북벽에 그려진 과거 28불도는 팔리어계 경전인 『붓다밤사』의 내용을 기초로 도해한 도상으로, 연등불 이전의 붓다들을 포함하여 조형화한 점이 특징이다. 과거 28불도는 버강시대부터 크게 유행하기 시작하여, 이후 동남아시아 상좌부 불교미술의 독특한 도상으로 자리잡게 된다.
    전체적으로 로카테익판 사원에 그려진 불전도-본생담-과거 28불도라는 일련의세트화된 주제는 윤회와 업의 길을 걸어가고 있는 사원 참배자가 꾸준히 붓다의가르침과 구도의 길을 본받을 수 있도록, 교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상징적이며 질서정연한 세트로 고안된 것이다. 이 사원은 참배자들에게 붓다의 깨달음의 길을상징적으로 보여주기 위해서 버강 특유의 조형 양식과 도상으로 창안된 독특한“불교 성지”의 시각적 재현물이다.

    영어초록

    Lokahteikpan temple is a small Buddhist temple made of red bricks, built in the 12th century during the Bagan period in Myanmmar. It was externally decorated with stuccos and internally with mural paintings. In this article, the authors examined the style and iconography of the temple and its mural paintings. This temple is one of the important examples of Bagan Buddhist art and architecture, not only with its rare Old Mon and Old Burmese inscriptions of the 12th century but also with its ingenious iconographical hybridity of India and Myanmmar.
    The plan of this temple is consisted of two rectangle rooms on one floor.
    The interior space of antechamber and main shrine is very dark because of little lighting. This type of brick architecture has been called as small “Gupaya” type in Bagan period.
    The mural paintings of this temple have been well preserved in their original style and colors. These paintings are very important cultural relics in understanding the Buddhist iconography and history not only of Bagan period but also of Southeast Asian Theravada Buddhism. The themes of the mural paintings in Lokahteikpan temple are originated from three main narratires of Buddhism. The first theme is on the life of Sakyamuni Buddha; the second theme is on the previous lives of Sakyamuni Buddha; and the last theme is on all the previous Buddhas of the historical world.
    The first theme is painted on the south wall and the east wall in the main shrine. Among them, the scenes of Eight Great miracles of the Buddha’s life painted on the south wall with the main Buddha statue with Bhumisparsha mudra are the most important artistic achievement of this temple. Main iconographic features of the eight scenes have been influenced by Indian Buddhist art in Pala Period, but some scenes have developed the original Bagan style not only in colors and decorative patterns but also in iconograpic expressions related to Pali texts of Theravaha Buddhism form Sri Lanka. The second theme is painted on the west wall in the main shrine and on the east and west wall of the antechamber. Among many Jataka stories in Pali texts of Theravada Buddhism, the artists of the Lokahteikpan temple chose only thirty two stories of the previous lives of Sakyamuni Buddha. In addition, they painted only the last ten stories of the Pali Jataka texts with long and detailed narrative scenes, unlike the other lesser important stories each of which is painted only one scene by one story. The last theme is painted on the north wall of the main shrine and it depicted twenty eight previous Buddhas with their own Bodhi-trees and inscriptions of their names according to Buddhavamsa, a Pali Buddhist text.
    The representation of the stories in this temple seems to be selected based on the original Buddhist doctrines strongly supported by the royal families of Bagan empire. This temple would have been built as a symbolic and holy space for the pilgrims visiting the temple to follow the Buddha’s entire lives and to reach the path of the Buddhist enlightenment. The elaborate and creative design of the mural painting in this temple became the exemplary Buddhist art in the later continental Southeast Asia countries, such as Thailand and Lao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