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鏡湖 姜大延의 生涯와 詩世界 (The life and the verse of "Gyeongho" Gang Dae-ye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21.12
36P 미리보기
鏡湖 姜大延의 生涯와 詩世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72호 / 291 ~ 326페이지
    · 저자명 : 주강수

    초록

    본고는 산청 정곡리에 살았던 鏡湖 姜大延(1606-1655)의 생애와 시를 분석하여 그의 정신세계와 현실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쓴 글이다. 강대연은 戇庵 姜翼文(1568-1649)의 아들로 思湖 吳長(1565-1617)의 사위가 되면서 산청 정곡리에 정착하게 되었다. 이후 산청 정곡리는 진양강씨 세거지가 되었다. 강대연의 후손들은 19세기에 들어와 선조 현창과 가문의 전통을 세우기 위하여 『湖上世稿』라는 책을 만든다. 이 책에는 정곡리에 처음 세거한 강대연을 비롯하여 그의 후손 13명의 문집이 실려 있다. 이들은 남명학파적 성격을 띠고 있는데, 남명학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지역 내 적지 않은 영향력을 가졌다. 그러므로 정곡리에 살았던 진양강씨 집안은 강우 지역의 대표적인 남명학파라고 할 수 있다.
    강대연은 평생 출사의 뜻을 드러내지 않는다. 이는 인조반정 이후에 북인임에도 관직 생활을 했던 큰형인 寒沙 姜大遂(1591-1658)와 작은 형인 鷗洲 姜大適(1594-1678)과는 다른 길을 걸었다. 이러한 이유는 자신의 장인이자 스승인 오장이 유배지에서 세상을 떠나고, 병자호란이 일어나 청나라와 화의를 맺게 된 것이 큰 원인이다. 이에 그는 獨善 하는 삶을 살게 된다. 그러므로 그가 남긴 대부분 시는 獨善에 바탕을 둔 은거와 관련이 있다. 또 춘추대의가 드러나는 시를 써서 그의 절개를 표현하기도 하였다. 한편 산에 올라 자아 성찰과 현실을 바라보기도 하고, 『중용』을 가장 중요한 책으로 생각하여 存心養性을 추구하는 시를 짓기도 하였다. 요컨대, 그가 남긴 시의 특징은 獨善的 삶의 바탕 속에서 道를 구하고 性을 보존하기 위해 치열한 노력을 담았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남명이 출사하지 않고 실천적인 학문에만 힘쓰면서 관료 학자들과는 다른 길을 걸었던 점과 유사하다. 인조반정 이후 북인들이 처참한 상황을 맞게 되는 혼란한 시기 속에 살았던 강대연은 그 속에 남은 남명학파의 처세관을 잘 보여주는 인물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life and verses of "Gyeongho"(鏡湖) Gang Dae-yeon(姜大延)(1606-1655) who lived in Jeonggok-ri, Sancheong, North Gyeongsang Province, South Korea, to understand his worldview and perception of reality. One of "Dangam" Gang Ik-moon’s(戇庵 姜翼文, 1568-1649) sons, he settled in Jeonggok-ri on becoming the son-in-law of "Saho" Oh Jang(思湖 吳長, 1565-1617). Later, Jeonggok-ri became the residence for Jinyang Gang’s clan. At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the descendants of Gang Dae-yeon published a book called Hosangsaego(湖上世稿) to shed light on the clan's establishment and document the family. This book contains a collection of 13 writings by Gang Dae-yeon, who first settled in Jeonggok-ri, and his descendants. They share some characteristics with the Nammyong School, and they wielded considerable influence across the region while he was part of the Nammyong School. The family of Jinyang Gang’s clan, who resided in Jeonggok-ri, can thus be said to be a representative of the Nammyong school in the Gangwoo area.
    Gang Dae-yeon did not express an interest in pursuing an official career. He took a different path from that of his eldest brother, "Hansa" Gan Tae-soo(寒沙 姜大遂, 1591-1658), and his younger brother, "Gujoo" Gang Tae-jeok(鷗洲 姜大適, 1594-1678), both of who served as officials even though they belonged to the Northerner faction after the Injo Restoration(仁祖反正, 1623). The biggest reason behind his taking a different path was because his father-in-law and teacher, Oh Jang, was dead while in exile, in particular when the Qing invasion of Joseon occurred and Joseon thus formed an alliance with the Qing Dynasty in 1636. Gang Dae-yeon led a life pursuant to dokseon(獨善, literally meaning living life based on one’s own moral code). Therefore, most of the poems he left behind are related to seclus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dokseon(獨善). Furthermore, he expressed his righteousness by writing poems revealing chunchudaeui(春秋大義, meaning “the moral principle of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that reveres the former Han dynasties and advocates for expelling the barbarians, the jurchens of the Qing Dynasty). He retired to a mountain, where he contemplated on self-reflection and reality; he considered Zhongyong(中庸, the Doctrine of the Mean) as the most important book, and thus came to write a poem pursuing 存心養性(preserving the original pure heart and nurturing nature).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his poetry, his poems involve his pursuit toward the right path(道) amid the backdrop of worldly self-righteousness(獨善的) and his strenuous efforts to preserve an innate part of human nature(性). This is similar to "Nammyong" Jo Sik(南冥 曺植, 1501-1572), who diverged from bureaucratic scholars as strove solely for practical learning without stepping into the path for an official. It can be inferred that Gang Dae-yeon, who lived in a chaotic period when scholars from the Northerner faction faced horrific reprisals following the Injo Restoration, was an individual who showcased the way of life of the remaining Nammyong School schola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