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촌강 전투의 史的 의의 (On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Battle of Baekgang in 663)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5.11
30P 미리보기
백촌강 전투의 史的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57호 / 145 ~ 174페이지
    · 저자명 : 이재석

    초록

    백촌강 전투는 663년 8월 왜가 백제부흥을 돕기 위해 백촌강으로 진입하였다가 당의 수군에게 대패하고 물러난 사건이었다. 본고에서는 이 전투의 역사적 의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먼저 일본 학계에서 통설적으로 언급되고 있는 것은 이 전투의 패전으로 인해 왜국의 지배체제의 정비 즉 율령체제로의 본격적인 이행이 촉진되었다는 점이다. 필자 또한 전체적인 흐름에서 볼 때 이 설명이 틀렸다고는 생각하지 않지만, 오히려 그 동안 호족군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였다는 점을 이유로 저평가를 받아 온, 미증유의 군대 편성과 동원 경험이 향후의 왜국의 지배체제 정비에 기여한 역할에 대해 주목해보자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망명 백제인의 지식과 기술이 왜국의 국가 지배체제의 정비에 활용되었음은 일반적인 지적이지만, 아울러 백제 유민들의 적대적 신라 인식이 왜국의 신라 인식과도 결부되어 일본 측의 신라 적시관이 백제 유민들의 그것을 통해 더욱 고착화되고 이데올로기화되어 갔을 가능성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백제의 멸망은 왜국으로 하여금 신라와의 관계를 재설정하게 만드는 요인이었지만, 그것은 신라에게도 마찬가지였다. 백제 구원군으로서 등장한 왜국은 신라로 하여금 다시 한 번 왜국의 존재를 각인시키는 계기가 되었을 것으로 생각하며 그러한 관점에서 문무왕의 대왕암-감은사 조영은 신라에게 남겨진 백촌강 전투의 유산을 보여주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한편 좀 더 넓은 시야에서 본다면, 백제의 소멸은 고구려의 멸망과 더불어 결과적으로 신라와 왜국 등에게 ‘제국적’인 풍모를 갖추게 하는데 일조하였다는 점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신라의 고구려왕 안승 책봉과 왜국의 백제왕 선광 책봉은 그 대표적 사례였다.

    영어초록

    The Battle of Baekgang was the incident in which Wa entered to Baekgang to help Baekje reconstruction in August of year 663, but suffered a crushing defeat by the naval force of Tang. In this paper,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is fight is examined.
    First of all, Japanese academia has conventionally mentioned that the development of governing system of Wa, in other words, full-fledged transition to Ritsuryo System, was promoted by the defeat of this battle. The author also views this description as legitimate in the overall flow, but presented an opinion to focus on the role of unprecedented building of military force and mobilization experience in th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governing system of the future Wa.
    In addition, in the wake of the destruction of Baekje, Wa (Japan) became to win "Baekje" over to the internal order of own country, and was able to utilize the knowledge and technology of exiled Baekje people in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governing system by housing them. Also it’s necessary to pay attention on the possibility that the hostile perception of Baekje refugee against Silla was connected with the perception of Wa toward Silla, and the hostile view of Wa toward Shilla became solidified into ideology through that of Baekje refugee.
    Destruction of Baekje was a factor to reset the relationship of Wa with Silla. However, it was also the same in the case of Shilla. When Wa appeared as a relief military force for Baekje, it certainly became a cause to engrave the presence of Wa. And the construction of Daewang Rock and Gameun Temple can be seen as demonstrating the legacy of Baekgang battle remained to Shilla in such point of view.
    Disappearance of Baekje and Goguryeo as a result contributed to provide the "Imperial" appearance to Silla and Wa. Enthronement of An-seung as a king of Goguryeo by Silla, and enthronement of Sun-gwang as a king of Baekje by Wa may be the cases that show the such circumstance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