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성강·탐진강 유역 지석묘사회의 변동 양상 - 지석묘의 분포, 구조, 관계를 중심으로 - (Changes of Dolmen societis in the Boseong River and Tamjin River Basin - Focusing on the distribution, structure, and relationship of dolmens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21.10
34P 미리보기
보성강·탐진강 유역 지석묘사회의 변동 양상 - 지석묘의 분포, 구조, 관계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청동기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청동기학보 / 29호 / 130 ~ 163페이지
    · 저자명 : 강동석

    초록

    본고에서는 지석묘 축조라는 매장 의례를 공유하며 사회를 구성하고 있었던 보성강·탐진강 유역사람들의 행위와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 변동의 역동성을 살펴보았다.
    보성강·탐진강 유역의 지석묘 문화는 형식과 출토유물을 통해 볼 때 공시적·통시적으로 동질성을 지니며 전개되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두 유역의 지석묘 축조 공동체는 수 세기 동안 공존하며 문화를 형성하였던 주체였으며, 동일한 사회 변화 과정을 거쳤던 집단이었다.
    하지만 미시적 차원에서는 각기 다른 양상으로 변화하였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지석묘 군집 유형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지석묘군은 배치와 구성을 기준으로, 열상과 비열상의 군집에 위석식지석묘들이 축조된 Ⅰ유형과 열상의 군집, 위석식지석묘만으로 구성된 Ⅱ유형, 비열상 군집과 위석식지석묘들이군집을 이루는 Ⅲ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Ⅰ유형은 열상의 지석묘 배치로 대변되는 전통적 사회 질서의 전환을 통해 새로운 정치 권력의 등장을 차별화하는 한편, 매장 의례 공간을 지속적으로 점유함으로써 공동체의 통합을 시도하였던 사회 구조의 재편 과정으로 해석된다. Ⅱ유형과 Ⅲ유형에 나타난 공간구조는 전통과 질서를 유지하려는 유력 개인 또는 공동체의 의지와 기념물 축조를 통해 공동체성을 강화하려는 전략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이처럼 지석묘 축조 공간은 전통적 사회 구조와 조화를 유지하는 한편, 주도권을 전환하거나 정체성을 새롭게 하려는 사회적 행위가 투영된 장소로 볼 수 있다. 즉, 지석묘군은 사회 구조/행위 간의 변증법적 관계가 상호 순환되는 장소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한편, Ⅰ유형에서 보이는 사회 변화의 역동성은 자원 확보와 정보 접근에 유리한 공간적 우위가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국지적 차원의 가시권과 네트워크 분석 결과, Ⅰ유형은 주변 공동체와의 상호작용이 유리한 지점에 위치하고 근접중심성도 높았다. 뿐만 아니라, 지역적 차원에서 네트워크 조직을통제하고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공간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Ⅰ유형 지석묘 축조집단은 이러한공간적 우위를 배경으로 외래품의 입수와 정보 접근에 권한을 행사하며 사회 변화를 주도하는 주체로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looked at the dynamics of social change by focusing on the actions and interactions of the people in the Boseong River and Tamjin River basins, who shared the burial ritual of constructing a dolmens. The culture of the dolmens in the Boseong River and Tamjin River basins was homogeneous in terms of Type and excavated relics,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y developed in a synchronic and diachronic relationship. The communities of the two basins coexisting and forming cultures for centuries are recognized as groups that have undergone the same social change process. However, it seems to have changed in different ways at the micro level, which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type of dolmens. Based on the arrangement and composition, the dolmens consist of Type I, in which stone-spinned dolmens are constructed in linear cluster and non-linear cluster and Type II, consisting of linear cluster and stone-spinned dolmensm and Type III, in which non-linear dolmens and stone-spinned dolmens are constructed. Type I is interpreted as a process of reorganization of the social structure in which the emergence of new political power is differentiated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social order represented by linear cluster, while continuously occupying the burial ceremonial space to unify the community. The spatial structure shown in Types II and III appears to be the result of reflecting the will of influential individuals or communities to maintain tradition/order and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the sense of community through the construction of monuments. As such, the spac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dolmens can be viewed as a product of social action to change the initiative or renew identity while maintaining harmony with the traditional social structure.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ructure/agency had a meaning as a place where mutual circulation occurred. As a result of the local level of visibility and network analysis, Type I was located at an advantageous point for interaction with the surrounding community and had high closeness centrality. In addition, it occupied a spatial position to control and influence the network organization at the regional level. It is presumed that they exercised the exclusive right to obtain foreign products or access information through contact with the outside, and played a role as the main agency in maintaining and leading the change of the regional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청동기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