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접경공간의 시대적 변동양상 연구 -압록강 · 두만강 유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Contact Zones of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Yalu River and Tumen River Basi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9.12
34P 미리보기
조선시대 접경공간의 시대적 변동양상 연구 -압록강 · 두만강 유역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중앙사론 / 50호 / 327 ~ 360페이지
    · 저자명 : 한성주

    초록

    본고는 조선시대 북방 접경공간의 시대적 변천 양상에 대한 전체적인 윤곽을 그려보려고 하였다. 특히 압록강·두만강 유역을 중심으로 접경 공간의 변화와 특징, 그리고 근대적 변용 양상을 찾아보려고 하였다.
    明은 洪武帝와 永樂帝 시기에 遼東으로 진출하면서 高麗·朝鮮과 연이은 갈등 관계를 일으켰다. 특히 영락제 시기 衛所제도를 이용하여 압록강·두만강 유역의 女眞人들을 복속하려 하였지만, 이것은 완전한 영역과 판도로서의 편입이 아니라 여진 酋長에게 위소 관직을 수여하고 明에 대한 통교권을 보장해 주는 방식이었다. 조선 역시 압록강·두만강 유역의 여진인들에게 중국의 방식을 차용하였는데, 두만강 유역의 여진인들에게 보다 적극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압록강·두만강 유역의 여진인들은 明과 조선의 통제를 받으면서도 양국의 통교정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이익을 극대화하였으며, 조선과 明을 침입하며 성장하였다. 여진인들의 침입이 격화되면 조선과 明은 여진 부락을 정벌하였는데, 이러한 패턴은 15∼16세기에 걸쳐 일어난 일반적 현상이었다.
    누르하치는 만주 지역의 여진인들을 통합하여 後金을 건국하였는데, 이것은 주변 접경공간에서 시작된 변화의 흐름이 반대로 조선과 明에 영향을 주는 것이었다. 淸은 러시아의 남하로 네르친스크 조약을 맺어 최초로 국가 간 국경조약을 체결하였고, 네르친스크 조약의 영향으로 조선과도 白頭山定界碑를 건립하여 압록강·두만강을 국경으로 정하였다. 백두산정계비 건립으로 압록강과 두만강은 조선과 淸의 근대적 접경공간으로 재편되었다. 그러나 백두산정계비는 국경 회담이나 조약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전근대 朝貢冊封관계를 바탕으로 淸의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건립된 것이다.
    淸의 일방적 조치였던 封禁정책도 마찬가지였는데, 이 역시 압록강·두만강 유역의 접경공간에 영향을 주는 것이었다. 淸의 백두산정계비 건립 및 봉금정책의 실상은 淸의 滿洲 지역에 대한 전통적인 접경공간에 대한 인식이 계속되어왔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더불어 백두산정계비의 定界는 국경을 획정하는 외피만을 근대적으로 차용하였을 뿐이어서 근대적 국경 획정과 전통적 접경 공간에 대한 인식이 공존하는 이중적 모습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e study tried to get overall outline on historical changes in northern border region of Joseon dynasty. Especially, this is about change of border region's space, its features, and modern modification, focusing on the Yalu and Tumen River basin.
    Ming dynasty continuously had conflicts with Gorye and Joseon, advancing into Liadong(遼東) in the times of Hongwu Emperor(洪武帝) and Yongle Emperor(永樂帝). In particular, Ming in the times of Yongle Emperor intended to subject Jurchen in the Yalu and Tumen River basin, using Wei-suo(衛所) system in the times of Yongle Emperor(永樂帝). It was not incorporation for complete territory and domain but a method to allow public post of Wei-suo to Jurchen tribal chief and guarantee friendly relation with Ming. Joseon also introduced the Chinese style on Jurchen in the Yalu and Tumen River basin. Joseon exercised more active influences on Jurchen in the Tumen River basin.
    Jurchen in the Yalu and Tumen River basin was controlled by Ming and Joseon while they maximized their profit, positively using friendly relation policy with the two countries and invading Joseon and Ming. As invasion from Jurchen had intensified, Joseon and Ming conquered Jurchen village. This pattern was general phenomenon in the 15th and 16th century.
    Nurhaci founded Later Jin, uniting Jurchen in the Manchuria. It means that flow of changes begun in border region affected Joseon and Ming on the contrary. Qing made the treaty of Nerchinsk with Russia for the first time as a national border treaty with other country. As an influence of Nerchinsk treaty, border line between Joseon and Qing along the Yalu and Tumen River was fixed, constructing Baekdu Mountain boundary monument(白頭山定界碑). The Yalu and Tumen River were reorganized as modern border region space of Joseon and Qing by construction of Baekdu Mountain boundary monument(白頭山定界碑). But Baekdu Mountain boundary monument was not constructed based on border talks or treaty but based on investiture relation through paying tribute, using superior status of Qing.
    Policy to prevent entering a certain place(封禁) was same, which was a one-sided measure. This also affected border region of the Yalu and Tumen River basin. Construction of Baekdu Mountain boundary monument and Policy to prevent entering a certain place(封禁) by Qing shows that traditional recognition of Qing about border region in Manchuria had continued. Meanwhile boundary(定界) of Baekdu Mountain boundary monument only borrowed outer appearance that delimits boundary in the modern way. Therefore it shows dual aspects that modern delimitation of boundary and traditional recognition on border region coexis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앙사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