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증산과 위백양의 수화론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Water-Fire Theories of Kang Jeungsan (姜甑山) and Wei Boyang (魏伯陽))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23.08
28P 미리보기
강증산과 위백양의 수화론 비교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종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종교연구 / 83권 / 2호 / 129 ~ 156페이지
    · 저자명 : 차선근

    초록

    이 글은 증산의 사상이 도교의 맥락에서 어떻게 조명될 수 있는지 고찰하려는 목적에서, 그 사례 연구 가운데 하나로 증산의 수화론을 위백양의 수화론과 비교의 시선에서 살핀 것이다. 위백양 수화론은 상극 관계와 그것의 극복을, 증산 수화론은 상생 관계와 그것의 운용을 핵심으로 하면서, 그관계들을 각자의 우주론 또는 수행론의 근거로 삼고 있다. 이것을 비교⋅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위백양은 수화인 감리(坎離)를 건곤(乾坤)의 용(用)으로 규정함으로써 만물의 변화와 운동을 설명하고자 했고, 증산도 수화를 동적 차원에서만물의 운행과 변화를 가능하게 만드는 음양의 상징으로 이해했다는 점에서 서로 유사하다.
    둘째, 위백양이 수화론을 꺼낸 이유는 연단(鍊丹) 과정에서 일월의 상호간섭으로써 일어나는 음양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서였고, 증산이 수화론을 말한 이유는 천하[世上事]의 운행 정보를 받아들이는 이목(耳目)으로써 음양 변화를 지적하기 위해서였다. 위백양 수화론이 신선 수행론 맥락에서 나온 것이라면, 증산 수화론은 상극이 없는 후천 건설 목적의 종교 행위[天地公事], 그리고 지상신선(地上神仙)에 이르는 수행론 맥락에서 나온 것으로 대비된다.
    셋째, 위백양은 감리의 상징인 수화의 관계가 상극임을 인정하고 그것을 극복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증산은 수화 관계를 생(生)으로 묘사했기 때문에 이 둘을 융합할 다른 매개체를 설정할 필요가 없었다. 증산이 수화의 상극 관계를 청산하고 상생 관계로 재설정한 데 대해서, 만약 수화를 인격적 존재로 상정한다면 이런 관계 재조정은 해원과 보은의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증산이 말한 ‘상극 없음[無相克]’의 원리는 여기에 있다. 상극이 없어지기 위해서는 해원과 보은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apprehend how Jeungsan’s thought can be illuminated under the Daoist context, in a comparative perspective between the Water-Fire theory of Jeungsan and that of Wei Boyang, one of the case studies. The Water-Fire theory of Wei Boyang centers on mutual conflict and it’s overcoming, whereas that of Jeungsan underlies mutual benefit and it’s utilization. And the core becomes the basis of each individual’s cosmology or performance theory. This can be summarized by comparison as follows.
    First, Wei Boyang described the Water and Fire, Kan (坎) and Li (離), as the function (用) of Qian (乾) and Kun (坤), to explain the changes and movements of all things, and Jeungsan also understood the Water and Fire as a symbol of Yin and Yang that enables the operation and changes of all things in a dynamic dimension, which makes them similar to each other.
    Secondly, Wei Boyang introduced the theory of Water and Fire to explain the changes of Yin and Yang that occur through the mutual interception of the sun and the moon during the art of immortality (lian dan, 鍊丹, lit. alchemy) process. On the other hand, Jeungsan mentioned the theory to contemplate the changes of Yin and Yang as the ear and eye (耳目) of the operation of all things. While Wei Boyang’s theory of Water and Fire arose in the context of the cultivation of immortality art, Jeungsan’s theory is contrasted by aiming to carry out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without mutual conflict in the Later World, and to achieve unification with the Dao in relation to the cultivation theory.
    Thirdly, Wei Boyang recognized the relationship of Water and Fire, symbolizing Kan (坎) and Li (離), and made several efforts to overcome it’s relationship, while Jeungsan simply described the relationship of water and fire as life (生) and did not set any other mediators to integrate them. The transformation of the relationship from mutual conflict to mutual benefit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concepts of grievance resolution and the reciprocation of favor, if the Water-Fire theory is considered as a personal existence. The principle of ‘non-existence of mutual conflict (無相克)’ mentioned by Jeungsan is based on this idea. This means that resolution of grievances and reciprocation of favor must occur in order for mutual conflict to be elimin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종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