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C 중국인 피난민 康世爵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와 인식태도 -<강세작전>과 <강군세작묘지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iterary Embodiments of and Perceptive Attitude toward Kang Se-Jak, a Chinese Refugee in the 17th Century -With a focus on (康世爵傳) and (康世爵墓)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0.12
46P 미리보기
17C 중국인 피난민 康世爵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와 인식태도 -&lt;강세작전&gt;과 &lt;강군세작묘지명&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소설연구 / 30호 / 213 ~ 258페이지
    · 저자명 : 윤세순

    초록

    본고에서는 명나라 遺民인 강세작을 입전한 세 개의<강세작전>과 <강군세작묘지명>에 대해 살펴보았다. 네 명의 작자는 모두 동일한 인물을 소재로 글을 지었고, 서로 비슷한 이야기를 하면서도 각기 다른 시선으로 강세작을 바라보고 있었다. 작자 중에 박세당과 남구만은 소론계 인물로서 혈연적 학문적 동지였고, 최창대 역시 두 사람을 스승으로 모셨던 소론계 인물이라는 사실은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
    박세당은 강세작이 요동의 전쟁터에서 겪은 일들에 대해선 스치듯이 서술하여 관심을 보이지 않았고, 조선 땅에 살면서 명나라 유민으로서 강세작이 보여준 면모에만 관심을 집중하였다. 반면 김몽화는 요동의 전투지역을 누볐던 세작의 모습만을 집중적으로 서술하였다. 박세당은 강세작의 인간됨됨이와 성격, 식견 등을 부각시키기 위해, 김몽화는 강세작을 의열지사라 칭송하여 전쟁 영웅으로 재탄생시키려는 의도가 있었기 때문에 각기 이런 구성방식을 택한 것이다. 남구만과 최창대는, 강세작이 요동의 전쟁터에서 겪은 일들과 조선 땅에 살면서 그가 보여준 면면들을 아울러 서술하였다. 남구만은 현실 속에서 강세작이 겪은 일들과 그의 인간적인 면모를 가감 없이 보여주려고 하였다. 반면 최창대는 작품 사이사이에 의론을 끼워 넣어 강세작을 君子나 烈士라 칭송하여 미화시켰고 강세작을 오자서에 견주어 과대평가를 하기도 하였다.
    한편 박세당과 남구만의 작품에서는 강세작의 모습이 추상화되어 있지 않았다. 즉 村老의 질박함을 풍기는 현실 속 그대로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박세당과 남구만은 강세작과 동시대를 산 사람으로서 함경도에서 관직생활을 했을 적에 직접 강세작을 만나서 담소를 나누었기 때문에 있는 그대로의 강세작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었다. 반면 최창대와 김몽화의 작품에서는 관념화가 진행된 강세작의 모습이 보였다. 이들은 강세작의 살아생전 모습을 볼 수 없었기 때문에 事前에 미리 구상해 놓은 강세작의 이미지 틀 속에 현실의 강세작을 손쉽게 끼어 넣어 자신들의 의도에 맞게 강세작을 새롭게 재탄생시켰다. 바로 이 때문에 강세작은 君子나 烈士의 모습으로, 나아가 전쟁영웅의 모습으로 형상화될 수 있었다. 즉 일상적 인식으로 강세작을 바라본 박세당과 남구만은 강세작의 실제 모습 속으로 침투해 들어가 현실 속에서 보고 느낀 그대로 강세작을 서술하였다. 반면 강세작을 직접 만나본 적이 없었던 최창대와 김몽화는 강세작을 쉽게 타자화할 수 있었기 때문에 자신들이 의도한 강세작의 모습을 만들어 내는 것이 가능하였다.
    이처럼 미시적인 차원에서 바라볼 경우, 네 명의 작자는 서로 다른 시선과 목적으로 강세작을 바라보고 있었다. 하지만 거시적인 차원 즉 이 작품들이 지어질 수 있었던 사회적 배후에는 조선의 전통적인 중화주의가 은연중에 작용하고 있었다고 본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ree Kang Se-jak Jeons and Kanggun Se-jak Myojimyeong, which all described the life of Kang Se-jak, a migrant of Ming Dynasty. The four authors wrote a book about the same person and adopted different perspectives on him, telling similar stories. Park Se-dang(朴世堂) and Nam Gu-man(南九萬) belonged to the Soron Family and the same kin and academic circle. It is also noteworthy that Choi Chang-dae(崔昌大) was a disciple of the two and belonged to the Soron Family, as well.
    Park Se-dang roughly talked about what Kang experienced at the battlefield of Liaodong, showing no interest in it. What he focused on was his aspects as a migrant of Ming Dynasty in Joseon. On the contrary, Kim Mong-hwa(金夢華) provided intensive descriptions of him dominating the battlefield of Liaodong. The two authors' compositions were different because Park tried to highlight Kang's character, personality, and insight and Kim intended to make him be reborn as a war hero, calling him a man of heroic and noble mind. Meanwhile, Nam Gu-man and Choi Chang-dae depicted both what Kang experienced at the battlefield of Liaodong and the aspects he showed living in Joseon. While Nam tried to what Kang experienced in real life and his human aspects with no addition or subtraction, Choi beautified him, calling him a man of honor or a man of fervid loyalty by inserting his arguments in the book, as well as overestimated him by comparing him with O Ja-seo.
    Park and Nam did not depict Kang in an abstract manner in their stories; that is, they presented his simple life as a rural serf as it was. Both of them were his contemporary figures and had chances to talk with Kang while serving in an official position in Hamgyeong Province, thus being able to show him as he was. On the other hand, Choi and Kim presented the conceptualized aspects of Kang in their stories. Having no chance to meet him in person, they easily put real Kang in the image framework they prepared in advance and gave him a new life according to their intentions. Thus Kang was embodied as a man of honor or fervid loyalty and further a war hero. While Park and Nam, who saw Kang from the perspective of daily life, penetrated into his actual aspects and wrote what they saw and felt about him in reality, Choi and Kim, who never had a chance to meet him in person, could easily put him in the othering process and create him the way they intended.
    From a microscopic dimension, it is obvious that the four authors adopted different perspectives and goals regarding Kang. However, it seems that Joseon's traditional Sino-centrism must have worked in subtlety in the social background that the four books were written from a macroscopic dimen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