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鴨綠江 중상류 연안의 高句麗 성곽과 東海路 (The Koguryo/高句麗 Fortresses located along the coastal area of the middle and upper streams of the Abrok-gang/鴨綠江 river, and the Donghae-ro/東海路 route)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08.02
52P 미리보기
鴨綠江 중상류 연안의 高句麗 성곽과 東海路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문화연구 / 29호 / 119 ~ 170페이지
    · 저자명 : 여호규

    초록

    압록강 중상류 연안 고구려 성곽의 분포양상을 통해 압록강 수로 및 東海路 운영을 고찰했다. 압록강 중상류 연안에서는 도성이었던 集安 國內城과 山城子山城을 제외하면 11기의 고구려 성곽이 보고되었다. 이 가운데 대략 8기는 고구려 성곽일 가능성이 높은데, 國內城을 기준으로 하류와 상류 방면 사이에 분포양상이 뚜렷이 구별된다.
    關隘 형태로 축조된 하류 방면의 성곽은 압록강 상륙지점이나 도성으로 향하는 교통로를 공제하던 군사방어성으로서 압록강 水路를 관리하는 기능도 수행했다. 반면 상류 방면의 성곽은 강변에 위치하여 水運 驛站의 기능을 수행했으며, 규모가 비교적 큰 성곽은 지방행정 중심지의 기능도 수행했다. 고구려가 일찍부터 압록강 중상류의 水路를 활발히 사용하는 한편, 이를 통해 지방통치를 도모했던 것이다.
    압록강 상류의 水路는 두만강 하류로 나아가는 ‘東海路’로 연결되었다. 東海路 방면은 중국세력의 영향력이 미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압록강 수로를 통해 각종 물자를 도성으로 운송할 수 있었기 때문에 초기 이래 매우 중시되었다. 고구려는 건국기에 이 방면으로 가장 먼저 진출했고, 3세기 후반에도 이 지역부터 지방제도를 정비했다. 또한 6세기 중반 원산만 일대를 상실한 이후에도 종전의 東海路를 통해 두만강 하류일대를 안정적으로 경영했다. 동해로 방면이 초기 이래 말기까지 고구려 국가운영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압록강 중상류의 수로는 고구려가 압록강 유역뿐 아니라 멀리 東海路 방면을 경영하는데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러한 점에서 압록강 중상류의 수로는 건국 이래 거의 전 기간에 국가적 차원에서 관리되었을 것으로 파악된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how the Koguryo Fortresses located alongside the coastal area of the middle and upper streams of the Abrok-gang river were actually deployed at the time are examined, in order to determine how the waterway of the Abrok-gang river and the so-called Donghae-ro route were managed and operated. Aside from the Guknae-seong/國內城 fortress in the Jian/集安 area(which was also the capital), and the Sancheongzi san-seong/山城子山城 fortress as well, total of 11 Koguryo fortresses have been reported to be found in the area. Among all those fortresses, roughly 8 of them seem to have actually been constructed by the Koguryo dynasty, and apparently there is a clear difference in terms of status of deployment between the ones in the lower stream area and the ones in the upper stream area, with the Guknae-seong capital in the middle of the region.
    The fortresses located in the lower stream area, which were constructed in the form of Gwanae/關隘 barriers, served as military defense fortresses, controling and monitoring the traffic routes leading to either the Abrok-gang river's upper stream area or the capital city, and also managing the Abrok-gang river's entire waterway. On the other hand, the fortresses located in the upper stream area were located on the shores, serving as Yeokcham/驛站 stations for the water transportation network, and other than that function, relatively big ones among them also served as central points in terms of local administration. Koguryo dynasty had already been actively using the waterways of the Abrok-gang river's middle and upper stream areas, in order to facilitate the dynasty's ruling and governing over local areas.
    The waterway in the Abrok-gang river's upper stream was connected with the so-called ‘Donghae-ro’ route(‘Eastern sea route’), which was also connected with the lower stream area of the Duman-gang/頭滿江 river. The areas around the Donghae-ro route was not being threatened by or under the influence of the Chinese dynasties, and the Abrok-gang river had been providing an important method of transporting goods and products to the capital from the early days, so it was being considered very important. During the time of foundation, the Donghae-ro region was one of the earliest places that Koguryo took control over, and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3rd century the region was where the local administrative works started earlier than any other region. And even when Koguryo lost the Weonsan-man region in the mid-6th century, Koguryo was still able to manage the lower stream area of the Duman-gang river, using the existing Donghae-ro route under stable condi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