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진주강씨 남와(南窩) 강설가(姜渫家)의 사회문화적 인프라의 구축과 작동 -척연・학연 및 종족적 유대를 중심으로-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Socio-cultural Infrastructure of the Namwa (南窩) Kang Seol (姜渫) Family of the Jinju Kang Clan: Focusing on Personal, Academic, and Clan Ties)

7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24.06
72P 미리보기
진주강씨 남와(南窩) 강설가(姜渫家)의 사회문화적 인프라의 구축과 작동 -척연・학연 및 종족적 유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서원학보 / 18호 / 71 ~ 142페이지
    · 저자명 : 김학수

    초록

    이 글은 화담연원의 호서권 소북계가 척연・학연을 통해 남인 퇴계학파로 정착해가는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강설(姜渫;南窩)을 파조로 하는 진주강씨는 한강문인 여대로(呂大老)의 사위가 됨으로써 호서의 회덕에서 영남의 김산[현재의 김천]으로 이거하여 류성룡・정구・장현광・정경세 등 17세기 영남학파의 주류 인물 또는 가문들과의 혼맥과 학맥을 형성하며 사회적 기반을 견고하게 다져나갔다.
    18세기까지 사환지향적 성향이 강했던 남와가는 19세기 이후 학자집안으로서의 가도를 전환하게 되는데, 그런 흐름을 이끈 인물은 강설의 5세손 강이화(姜履和)였다. 그가 성주권의 한강학맥, 상주권의 우복맥, 선산・의성권의 한려학맥과 긴밀한 교유관계를 형성했던 것은 자가의 학문연원에 대한 환기인 동시에 단절되었던 관계의 복원과 확장이라는 복합적 의지의 작동으로 포착된다.
    남와가의 학통적 전개에 있어 주목할 것은 이원성이다. 즉, 이들은 정구를 매개로 퇴계학을 수용하는 동시에 소북계의 학문전통에 대한 애착도 컸다. 배상유(裵尙瑜)와의 학연은 그런 경향의 단적인 표출이었다. 강설은 강학년의 문인이고, 배상유는 강백년의 문인이었던 바, 양자는 서경덕으로 소급되는 학통상의 동질성이 있었다. 강여호(姜汝㦿)의 세 아들 강필태(姜必泰)・필형(必亨)・필창(必昌) 형제가 배상유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강이화가 배상유의 현양론에 깊이 관여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 더해 강학년(姜鶴年)・백년(栢年), 강세황(姜世晃), 강완(姜俒), 강침(姜忱) 등 호서권 본종들과의 돈독한 교유는 강설가가 영남남인과 기호남인의 경계에 위치하며 양자의 교량적 역할을 담당했음을 보여주는 실상이 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transition of the Hoseo region’s Sobuk faction within the Hwadam academic lineage to the Toegye school of the Southern Faction (Namin) through personal and academic connections. Originating from Kang Seol (姜渫 ; Namwa), the Jeonju Kang clan moved from Hoedok in the Hoseo to Gimcheon in Yeongnam by becoming the son-in-law of Yeo Daero (呂大老), a disciple of Hangang. This move facilitated the foundation of social networks through marital and scholarly ties with prominent figures and clans of the Yeongnam School in the 17th century, such as Ryu Seongryong, Jeong Gu, Jang Hyeon-gwang, and Jeong Gyeongse.
    The Namwa family, known for its governmental aspirations up to the 18th century, transitioned into a scholarly lineage in the 19th century under the influence of Kang Ihwa (姜履和), the fifth-generation descendant of Kang Seol. Kang Ihwa’s intimate associations with the Hangang school in Seongju, the Ubok school in Sangju, and the Hanryeo school in Seonsan and Uiseong reflect both a recalling of his family’s academic roots and a complex will to restore and expand past relationships.
    Of particular note in the Namwa family’s scholarly development is their dual affiliation: they embraced Toegye studies via Jeong Gu while maintaining a strong affinity for the Sobuk academic tradition. This tendency is epitomized by the scholarly connection with Bae Sang-yu (裵尙瑜). Kang Seol was a disciple of Kang Haknyeon, and Bae Sang-yu was a disciple of Kang Baeknyeon, suggesting a scholarly lineage traceable to Seo Gyeongdeok. Kang Yeoho’s (姜汝㦿) three sons, Kang Piltae (姜必泰), Pilhyeong (必亨), and Pilchang (必昌), studied under Bae Sang-yu, and Kang Ihwa was deeply involved in promoting Bae Sang-yu’s social status, necessitating an understanding within this context.
    Furthermore, Kang Seol’s close interactions with the main branch of the Hoseo, including Kang Haknyeon (姜鶴年), Baeknyeon (栢年), Kang Se-hwang (姜世晃), Kang Wan (姜俒), and Kang Chim (姜忱), illustrate the bridging role of the Kang family played between the Yeongnam Namin and Giho Namin fac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서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