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명대(明代) 『출상금강반야바라밀경(出相金剛般若波羅蜜經)』의 계통과 판화 도상 연구 (Study of the genealogy and images of the Illustrated Diamond Sutra(出相金剛經) from the Ming period)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22.10
34P 미리보기
명대(明代) 『출상금강반야바라밀경(出相金剛般若波羅蜜經)』의 계통과 판화 도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34권 / 33 ~ 66페이지
    · 저자명 : 김자현

    초록

    이 글에서는 명대 『출상금강경(出相金剛經)』의 경문 계통과 경전의 성립 시기를 고찰하고, 판화의 도상 분석과 선행 판본과의 비교를 통해 도상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 판본은 다양한 주석자들의 주석이 도해(圖解)되어 본문 속에 삽입되어 있는 매우 독특한 구성의 경전이며, 주석 중 여타의 경전들에서는 찾을 수 없는 부분들이 『금강경집해(金剛經集解)』와 공유되기 때문에 이 또한 『금강경집해』가 간행된 13세기 무렵 남송(南宋)에서 편집된 것으로 추정된다.
    명대의 『출상금강경』은 총 4종이 현전하며, 선덕연간 북경의 민간에서 처음으로 간행되었다. 이 경전은 총 76점의 판화가 삽입된 방대한 구성의 도집(圖集)으로, 원대(元代)에 간행된 『금강경』판화를 저본(底本)으로 판식을 변형하고 새롭게 밑그림을 그렸다. 다만 이 판본의 권수와 권말에 삽입된 판화들은 원대본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것으로, 이 판화들의 화풍, 연원, 변천에 대한 고찰은 명 초기 불교 판화의 성립 과정을 가늠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해준다.
    또한 이 경전에 삽입된 판화들은 선행본의 도상을 계승하면서도 다양한 모티브와 배경이 더해지며 재구성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밑그림을 그린 화가들의 화풍이 적용되어 공통적으로 당시 궁정에서 유행하던 절파(浙派)화풍의 요소들이 확인된다. 이는 명 초기 북경을 중심으로 불전 간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던 상황에서 궁정에서 활동한 화가들이 다시 민간으로 돌아와 습득했던 기술들을 활용하여 불전의 간행을 지속했던 시대 상황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그로 인해 『출상금강경』과 같이 민간에서 출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궁정 판본들의 품질에 버금가는 독자적 도상의 도집류 판화들이 만들어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the genealogy and time of compilation of the Illustrated Diamond Sutra from the Ming period, and examines its illustrations through comparison with illustrated sutras from earlier periods. This sutra includes annotations as illustrations in the main text. Considering the rare annotations it shares with the Collected Commentaries on the Diamond Sutra(金剛經集解), this sutra was likely compiled in Southern Song China.
    The Illustrated Diamond Sutra was first published by private publishers in Beijing during the Xuande era, and four copies from the Ming period survive. This sutra includes 76 engravings that were modelled after those in the Yuan-period Diamond Sutra but were printed in a new format with new sketches. The engravings at the beginning and end, which do not exist in the Yuan sutra provide information about early Ming Buddhist engravings.
    The engravings in the main text succeeded the tradition while adding new motifs and backgrounds. They feature the styles of the Zhe school(浙派) that were popular at the court. This is probably because court painters participated in private publishing of Buddhist sutras that were thriving in Beijing, producing collections of unique engravings with the quality of court engravings, as examplified by the Illustrated Diamond Sut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