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부에 다모쓰(渋江保)와 유길준(俞吉濬)의7년전쟁사 저술에 나타난 국민 창출론 (Harmony among People around the North Star – Shibue Tamotsu and Yu Giljun on the Prussian Nation-building Process during the Seven Years War –)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8.12
35P 미리보기
시부에 다모쓰(渋江保)와 유길준(俞吉濬)의7년전쟁사 저술에 나타난 국민 창출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日本思想 / 35호 / 303 ~ 337페이지
    · 저자명 : 최정훈

    초록

    이 글은 유길준(俞吉濬)의 전쟁사 저술 『프로이센 프리드리히 대왕 7년전사』(普魯士國厚禮斗益大王七年戰史, 1908)에 드러난 정치사상을 분석한다. 『7년전사』는 메이지 일본의 저술가 시부에 다모쓰(渋江保)의 『프리드리히 대왕 7년전사』(フレデリック大王七年戰史)의 번역에 기초하지만, 유길준의 독창적인 재해석을 포함한다.
    이 글은 『7년전사』에 드러난 유길준의 사유를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한다. 첫째, 유길준은 권력정치의 세계에서 국가를 적절히 운영한 사례로 7년전쟁을 취급하였다. 유길준에게 7년전쟁은 강대국에게 포위되어 있는 소국이 생존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준 모범적 사례였다. 둘째, 유길준은 프로이센이 생존한 비결의 핵심이 독일 지역에 거주하는 구성원의 애착을 획득하여 국민을 창출했다는 사실에 있다고 주장하고, 『맹자』에서 논한 인화(人和) 개념을 원용하였다. 셋째, 유길준은 프리드리히 2세가 물리적 강압을 가하지 않고도 독일 지역에서 민심을 얻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그를 『논어』에서 말하는 북극성으로, 그를 따르는 신민을 뭇 별로 표상하였다.
    유길준이 『7년전사』에서 제시한 주요 논지는 서양 역사가들과 시부에 다모쓰의 저작에서 끌어온 것이지만, 동아시아의 담론 공간에 다음과 같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독창적이었다. 첫째, 『7년전사』에서 유길준은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가 『통속국권론』(通俗國權論)에서 제기한 현실주의적 국제정치관을 전제로서 공유하되, 그러한 전제 하에서 국가의 바람직한 행동에 대한 대답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둘째, 유길준은 『맹자』의 인화라는 전통적 개념을 활용하면서도 이를 국민 창출(nation-building)과의 연관 속에서 재정의하였다. 셋째, 유길준은 시부에 다모쓰를 따라 『논어』 속 북극성의 비유를 원용하여 군주를 표상하였으나, 이때 북극성이 덕정(德政)의 중심에 있는 무위(無爲)의 군주가 아니라, 군사령관으로서 싸우는 군주를 가리킨다는 점에서, 그는 조선의 담론 공간에 낯선 방식으로 고전을 전유하였다. 끝으로, 『7년전사』에서 국민 창출 모델은 권력정치적 세계에서 군주의 군사적 유능함이 신민에게 동일한 정체성을 부여하는 과정으로서 표상된다. 이러한 국민 창출론은, 교육의 개도(開導)와 제도에 의한 권리 수호에 따른 국민창출론을 주장한 『서유견문』(西遊見聞)의 사유와 단절되는 것이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Yu Giljun’s political thought that appears in his Borosaguk Huryeduik Daewang Chilnyeonjeonsa (A History of the Seven Years War of Prussia’s Frederick the Great). Although Chilnyeonjeonsa is based on a translation of the Meiji writer Shibue Tamotsu’s Furederikku Daiō Shichinensenshi (A History of the Seven Years War of Frederick the Great), the text contains Yu’s original reinterpretations.
    This paper summarizes Yu’s ideas in Chilnyeonjeonsa as the following. First, Yu handled the Seven Years War as an exemplary case of nation-building in the world of power politics. For Yu, the Seven Years War presented a model case for the survival of a small nation surrounded by the great powers. Second, Yu contended that the key to Prussia’s survival lied in the fact that the Prussian state earned the affinity of the German nation, utilizing the notion of “Harmony among People” referenced in the Mencius. Third, Yu represented Frederick II as the “North Star” from the Analects and his subjects as “a Cluster of stars,” since Frederick II gained public support all across the German region without coercion.
    While the main arguments of Chilnyeonjeonsa were based on the writings of Shibue Tamotsu and several Western historians including Thomas Babington Macaulay, the work made a contribution of the original ideas to the East Asian discursive field. First, Chilnyeonjeonsa shared Fukuzawa Yukichi’s realist assumptions on the world politics posed in Tsūzoku Kokkenron (A Discourse on Nationality written for the public), but proposed a new answer concerning a nation’s proper action under Fukuzawa’s premise. Second, Yu borrowed the traditional concept of “Harmony among People” from the Mencius, but redefined it in its relation to nation-building. Third, while Yu’s allusion to the “North Star” derived from Shichinensenshi by Shibue Tamotsu, the citation of the Analects demonstrated an unconventional appropriation of the classical text in the Korean discursive field, since Yu’s “North Star” referred to a monarch that fights as a military commander rather than one who practices virtue politics. Finally, nation-building in Chilnyeonjeonsa is presented as a process in which the monarch’s military competence assigned homogeneous identity to the subjects. The nation-building model in Chilnyeonjeonsa marks the break with the earlier model in his earlier work Seoyu Gyeonmun (Observations in the West), which proposed nation-building by means of education and legal institu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思想”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