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압록강 중・상류 고구려 성곽의 분포 양상과 기능의 변화 (The distributional pattern and functional change of Koguryo's Fortresses in the middle and upper Abrokgang(鴨綠江) region)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2.06
44P 미리보기
압록강 중・상류 고구려 성곽의 분포 양상과 기능의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66호 / 95 ~ 138페이지
    · 저자명 : 이경미

    초록

    본고는 5세기 초 평양천도라는 전환기를 맞이하여 압록강 중・상류 지역의 고구려성곽의 기능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지역의 성곽은 국내성을 중심으로 각 교통로를 따라 분포되어 있다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도성인 국내성 방어 목적으로 축조된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평양으로의 천도로 도성방어체계로서의 본래적 기능이 폐기됨에 따라 이들 성곽의 기능에 변화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본고는 압록강 중・상류 지역을 하나의 권역으로 상정하고, 자연 지형에 따라 6개의 소권역으로 나누어 조사보고서를 중심으로 확인된 40여 기의 성곽의 분포양상을 살펴본 후 입지, 규모 및 축성재료별로 그 기능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6개의 소권역은 집안분지권, 압록강 본류권, 국내성 진입로 일대권, 혼강에 연결되는 육도하 유역권, 부이강 유역권, 합밀하 유역권으로 구분하였다. 입지에 대한 분석 결과 군사방어의 효용성은 산정식 산성>포곡식 산성>평지성 순으로 높고, 평지에서의 접근성이나 거주의 편리성은 평지성>포곡식산성>산정식 산성 순으로 높았다. 이로 보아 지방통치의 효용성은 평지성과 포곡식 산성이 높았다. 조사대상 성곽 중 둘레 1~2㎞이상의 중・대형급에 속하면서 가공한 쐐기형돌로 축조한 포곡식 산성과 주로 압록강 본류 연안을 따라 분포하는 평지성들은 지방통치를 위한 효용성이 높은 것으로 이해된다. 분석 틀에 따라 성곽의 기능을 각 권역별로 지역 중심성, 중심성의 보조 기능, 순수 군사방어 기능 및 초소 기능 등으로 세분할 수 있었으며, 지역 중심성으로 기능하는 주요 성곽들은 다시 최상급-중간급-하위급의 3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고구려에서 성이 지방통치의 기본 단위였고, 고구려 말기에 국내성은 별도로서 최고위 지방관인 褥薩이 파견되었음을 감안할 때, 평양천도 이후 압록강 중・상류 일대는 ‘守事’가 파견된 광역의 지방행정단위로 재편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국내성이 최상급 지역 중심성으로서 이 지역의 지방통치를 총괄하였을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그 아래에 상하 통속관계를 가지는 다수의 성이 영속되어 있었을 것인데, 양민고성, 하고성자성, 오녀산성, 패왕조산성 및 자안산성이 중간급에 해당되며 이들 각각의 성곽은 대체로 강이 합류하는 지점 부근에 위치하여 소권역의 중심성으로 기능하였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압록강 중・상류 일대의 고구려 성곽들은 국내성이 도성이었던 시기에는 도성방어체계로서 기능하였으나 평양천도 이후 국내성이 주요 지방통치단위로 변경 되면서 기존의 주요 성곽들은 국내성의 하위 행정단위로서 지방통치의 지역 중심성으로 그 기능이 변화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the change on the function of Koguryo's fortresses in the middle and upper Abrokgang(鴨綠江) region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turning point that the capital was transfered to Pyongyang(平壤). Since the fortresses in this region were located nearby the Guknaeseong(國內城), these were fundamentally built to defend the Guknaeseong(國內城) which was a capital city. However, cause of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he basic function as a defense system was discarded. Therefore, it seems that there was a change on the function of the fortresses.
    Hereupon, the middle and upper the Abrokgang(鴨綠江) region is postulated as a single area, and an attempt is made to analyze the function of position, scale, and material of the fortresses by dividing into 6 small zones depending on distributional aspect and geographical features of the 40 fortresses which were identified by on-site survey reports. The 6 small zones are the Jipan basin(集安盆地) zone, the Abrokgang(鴨綠江) main stream zone, the uknaeseong(國內城) approach road zone, the Yukdoha(六道河) basin zone, the Buyigang(富爾江) basin zone, and the Habmilha(哈密河) basin zone. Depending on the analysis, the effectiveness of the defense system was higher in order of fortress on mountaintop site(山頂式山城) > valley surrounding fortress(包谷式山城) > fortress on the plain-site(平地城). It is understood that valley surrounding fortresses(包谷式山城) which were over 1-2㎞ big and constructed of keystones and fortresses on the plain-sites which were located along the Abrokgang(鴨綠江) main stream were effective for local governance. According to the framework of analysis on the function, the fortresses is subdivided into regional major one, minor of the major, and military defense facility. Also, major fortresses as a regional major one can be divided into high rank, middle rank, and low rank.
    Fortress was a standard unit of local governance in Koguryo. In view of the fact that Yoksal(褥薩) who was the highest official was dispatched to Guknaeseong(國內城) which was an another capital, it is assumed that the middle and upper Abrokgang(鴨綠江) region was reorganized into an wide local administrative unit. And as the highest regional major fortress, the Guknaeseong(國內城) might have directed a local governance in this region. Yangmingoseong(良民古城), Hagoseongjaseong(下古城子城), Paewangjosanseong(覇王朝山城) and Jaansanseong(自安山城) which were in the middle rank belonged to the Guknaeseong(國內城). The walls of these fortresses were normally located on the confluence and conducted as a main fortress in each zone.
    To conclude, Koguryo‘s fortresses in this region performed a function as a defense system of capital city, when the Guknaeseong(國內城) was a capital. However, since the Guknaeseong(國內城) was altered to a major local administrative unit aft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Pyongyang(平壤), the existing major fortresses took charge of a minor administrative unit and footho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