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기하렌즈, MC렌즈, 단초점렌즈 착용 후 근시정도에 따른 굴절교정 값의 변화 비교 (A Comparative on Changes of Refractive Correction Value by Degree of Myopia and Use of the Reverse Geometry Lens, Myopia Control Lens and Single Vision Lens)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3.03
13P 미리보기
역기하렌즈, MC렌즈, 단초점렌즈 착용 후 근시정도에 따른 굴절교정 값의 변화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시과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시과학회지 / 15권 / 1호 / 39 ~ 51페이지
    · 저자명 : 윤민화

    초록

    목 적 : 근시정도에 따라 역기하렌즈(reverse geometry lens), MC렌즈(myopia control lens), 단초점렌즈(single vision lens)를 착용 한 후의 근시진행억제 효과에 대한 굴절교정 값의 변화를 단초점렌즈와 비교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7세에서 15세 사이의 아동에게 역기하렌즈를 57안, MC렌즈를 56안, 단초점렌즈를 78안 착용시킨 후 근시정도에 따라 3그룹으로 나눴다. 그룹 1은 교정굴절력이 S–2.00D 이하 근시안과 그룹 2는 S-2.25D 이상에서 S–4.00D 이하의 근시안, 그룹 3은 S–4.25D 이상의 근시안으로 나눈 뒤 12개월 이하, 13~24개월, 25~36개월의 굴절교정 값의 변화를 통한 근시 진행 억제 효과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추적 결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결 과 : 근시정도에 따라 그룹 1에서 36개월 동안 역기하렌즈는 S-0.11±0.32D(P>0.05)로 증가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고, MC렌즈는 S-0.58±0.32D(P<0.05), 단초점렌즈는 S-1.50±0.47D로 통계적으로 유의(P<0.05)하게 증가하였다. 그룹 2에서는 36개월 동안 역기하렌즈가 S-0.45±0.78D로 증가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P>0.05)하지 않았고, MC렌즈가 S-1.06±0.68D(P<0.05), 단초점렌즈는 S-1.95±1.07D로 통계적으로 유의(P<0.05)하게 증가하였다. 그룹 3에서는 36개월 동안 역기하렌즈가 S-0.15±0.39D로 통계적으로 유의(P>0.05)하지 않았고, MC렌즈가 S-1.02±0.42D(P<0.05), 단초점렌즈가 S-1.77±0.74D로 유의(P<0.05)하게 변화하였다.
    결 론 : 근시정도에 따른 굴절교정 값의 변화는 약도근시에서 고도근시까지 역기하렌즈가 변화의 증가가 낮아 근시진행억제 효과가 있었으며 MC렌즈는 근시진행억제 효과가 역기하렌즈 보다 낮았고 단초점렌즈보다 높았으며 S–2.00D 이하 근시안에서 가장 높은 근시진행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Purpose : To learn the changes of refractive correction value regarding effects of inhibiting myopia progression after wearing the reverse geometry lens, myopia control lens and single vision lens, by degree of myopia, in relation to those after wearing the single vision lens.
    Method :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seven and fifteen were organ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degree of myopia and were given fifty-seven reverse geometry lenses, fifty-six MC lenses and seventy-eight single vision lenses to wear. Group 1 consisted of myopic eyes S–2.00D and below, Group 2 consisted of myopic eyes between S-2.25D and S–4.00D, while Group 3 consisted of myopic eyes S–4.25D and above. We attempted to learn the inhibitive effects against myopia progression attained by condition changes in refractive correction value at twelve months and under, thirteen to twenty-four months and twenty-five to thirty-six months, and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results thus pursued.
    Results : By degree of myopia and at thirty-six months, Group 1 users of the reverse geometry lens showed an increase in visual acuity of S-0.11±0.32D (P>0.05),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users of the MC lens and single vision lens in the same grou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increases in visual acuity of S-1.06±0.68D (P<0.05) and S-1.95±1.07D, respectively. At thirty-six months in Group 2, users of the reverse geometric lens had an increase in visual acuity of S-0.45±0.78D, but this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P>0.05) while users of the MC and single vision lens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increases of S-1.06±0.68D (P<0.05) and S-1.95±1.07D, respectively. At thirty-six months in Group 3, wearers of the reverse geometric lens had a statistically insignificant (P>0.05) change of S-0.15±0.39D, while wearers of the MC lens and single vision len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changes of S-1.02±0.42D and S-1.77±0.74D, respectively.
    Conclusion : Regarding condition changes in refractive correction value by degree of myopia, from advanced to early in stage, wearers of the reverse geometry lens had low increases in change, a sign myopia progression was inhibited, and the MC lens was less effective than the reverse geometric lens while more effective than the single vision lens in inhibiting the progression of myopia, and it was discovered to have the greatest effect of inhibiting the progression of myopia in myopic eyes of S–2.00D and belo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시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