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유공간과 제한공간에서 측정한 양안시 검사값의 비교 (Comparison of Binocular Vision Examination with Free Space and Mechanical Space)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07.12
16P 미리보기
자유공간과 제한공간에서 측정한 양안시 검사값의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시과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시과학회지 / 9권 / 4호 / 385 ~ 400페이지
    · 저자명 : 전인철, 이종범, 마기중, 이명하

    초록

    양안시기능 관련 검사에서 포롭터를 이용한 다소 제한적인 공간에서 측정한 값과 시험태
    를 이용한 보다 자유모운 시야가 제공되는 상태에서 측정한 값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한 전신질환파 안잔환이 없는 20세 이상의 성인 67 명 (26.11 ::t 2. 56
    세)(남자 32 망 여자 35 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팔절이상 수술 또는 사사 수술 병력이 있는
    자는 대상에서 저1 와하였다. 자동굴절검사(KR-7100P , Topcon Co.) 와 자각삭 골절검사로 원
    거리 굴절이상도릅 측정하였고, Phoroptcr(Shin-Nippon BR-7), Chart project(Topcon
    ACP-7) , Trial Frame(FM 580) ‘ Lens Holder Ki t( Gulden Ophthalmics co.) , Loose
    Prism, MIM Card(Bernell co.) 를 이용하여 양안시 검사를 실시하였다.
    포롭터로 측정한 사위도는 VG(distance) -0.78 ::t 2,146, VG(near) -2.63 ::t 4.646,
    MR(dìstance) -0.35 ::t l.856 , MR(near) -1.69 ::t 4.806, MT(distance) -0.40 ::t 1.816,
    MT(near) -1.78 ::t 4.526 였다. 시험태로 측정한 사위도는 VG(distanco) -0.36 ::t 1. 706,
    VG(near) -1.43 ::t 4.006, MR(distance) -O,08 ::t 1.546, MR(near) -1.07 ::t 4.156,
    MT(distance) -0,13 ::t1.756, MT(near) -l , 24 ::t 4.466 였다. 원거리 수평 융합버전스 측정
    에서 Smooth Vergence는 NFV(break/recovery) 10.156/6.376, PFV 18.586/9.436 이었
    고‘ 근거리에서 NFV 19.016/12.186‘ PFV 20.136/11.656 이었다. Step V crgence는 원거
    리에서 NFV 8.466/4.736, PFV 14.406 /7 .896 이었고, 근거리에서 NFV 15.786/9.976,
    PFV 17.90ι/11.036 이었다.
    자유공간과 제한된 공간에서 각각 실시된 3가지 사위측정법에 대하여 1 차 측정과 2 차 측
    정값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자유공간과 제한된 공간에서 원거리와 근거리 모두 MT 측
    정법 > MR 측정법 > VG 측정법 순으로 신뢰도가 높았고 특히 포롭터에 의한 VG 측정법의
    신뢰도가 가장 낮았으며 시험례에 의한 MT 측정법의 신뢰도가 가장 높았다. 양성융합버전스
    의 분리점은 원거리와 근거리 모두 Smooth vergence가 높았고 회복점도 원거리에서는
    Smooth vergence가 높았으나 근거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음성융합벼
    전스는 분려점과 회복점 모두 Smooth vergence가 Step vergence보다 더 높았다.
    따라서 자유공간과 비교하여 제한된 공간에서 실시하는 양안시 관련 검사가 사위도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MT 측정법이 다른 측정법보다 신뢰도가 좋았으며 융합버전스
    를 평가할 때는 검사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사위자의 자각증상 완화를 위한
    프리즘 처방량을 산출할 때 융합벼전스 예벼량 측정법에 따라 처방량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
    을 것으로사료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value of binocular visual function with
    free space and mechanical space. The subjects were 67 healthy men and women
    between the age of 20 to 34(mean 26‘ 11:!::2.56) years old. Refractive error in
    subjects was measured using the Auto-refractormeter(KR-7100P, Topcon Co.) and
    subjective refraction. Binocular V1Slon exfunction was measured using the
    Phoropter(Shin-Nippon BR-7), Chart project(Topcon ACP-7), Trial Frame (FM580),
    Lens Holder Kit(Gulden Ophthalmics co.) , Loose Prism, MIM Card(Bernell co.) , Prism
    Bar(Gulden Ophthalmics co.).
    The deviation was measured for viewing distance of 5m and 0.40 m using both
    phoropter and trial frame. The mean horizontal deviations in phoropter was
    VG(distance) -0.78:!::2.146 , VG(near) -2.63:!::4.64A, I\IIR(distance) -0.35:!:: 1.856,
    l\IIR(near) -1.69:!::4.80 L\, MT(distance) -0.40:!:: 1.816, MT(near) -1. 78:!::4.526. The
    mean horizontal deviations in trial frame was VG(distance) -0.36:!:: 1.706‘ VG(near)
    -1. 43:!::4.00A , MR(distance) -0.08:!:: 1.54 L\, I'v1R(near) -1. 07:!::4.156, MT(distance)
    0.13:!:: 1. 75 L\, MT(near) -1. 24:!:4.466.
    Smooth vergence was NFV(break/recovery) 10.15^/6.37 ^, PFV 18.58A/9.436
    and near vergences was l'WV 19.016/12.18^, PFV 20.136/11.656. Step vergence
    was NFV 8.466/4.73!\, PFV 14.406/7.896 and near vergences was NFV 15.786
    /9.976, PFV 17.901\/1 1.036.
    Although the confidence level of a phoria in phoropter and trial frame did not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exo-phoria level measured using VG method was a little
    bit higher than that measured using rv1R method or MT method.
    In conclusion, the measurement vary a little according to the phoria measurement
    method, and phoria level and fusional vergence measured in free space and limited
    space vary according to the meature method, but it is considered not to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clinic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시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