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오군란・청프전쟁・갑신정변과 일본 언론 ― 미래 국가 구상과 청일전쟁 논리의 형성 (The Imo Mutiny (壬午軍亂), the Sino–French War (淸佛戰爭), the Gapsin Coup (甲申政變), and Japanese media: Envisioning the Future Nation and Shaping the Logic of the Sino-Japanese War)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23.12
36P 미리보기
임오군란・청프전쟁・갑신정변과 일본 언론 ― 미래 국가 구상과 청일전쟁 논리의 형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일본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역사연구 / 62호 / 85 ~ 120페이지
    · 저자명 : 최석완

    초록

    임오군란 직후 등장한 대외 강경론에는 청일전쟁을 선동하는 시사신보(時事新報) 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조선의 폭도를 신속히 진압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반면 동경일일신문(東京日日新聞) 등은 대외 강경론을 비판했는데, 이것은 일본의 국력 부족과 조선이 서구 열강과의 조약 체제에 편입된 사실을 중시했기 때문이다. 한편 일본 언론은 청국의 조선 속방론 강화에 맞서, 조선 독립론을 관철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했다. 시사신보 는 청국의 조선 속방론 강화를 침략으로 규정해 비판했고, 동경일일신문 등은 열국 회의를 통해 청국의 조선 속방론을 부정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일본 언론은 열국 간의 세력 균형 속에서 조선의 독립을 유지하는 가운데, 조선에 대한 일본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것이, 일본의 독립을 보전할 수 있는 효율적 방안이라고 판단했다.
    청프전쟁은 이런 일본 언론의 대외론에 변화를 초래했다. 청프전쟁이 발발하자 일본 언론은 서구 열강의 식민지 정략을 적극 수용했다. 그것이 일본의 독립을 보전하고 서구 열강에 의한 청국 분할 경쟁에 참여할 수 있는 길이라고 확신했다. 팽창 지향적 근대 문명국의 건설이라는 미래 국가 구상이 명확해진 것이다.
    갑신정변은 일본 언론이 그런 미래 국가 구상을 실현할 수 있는 현실적 수단으로 청일전쟁에 주목하는 계기가 되었다. 시사신보 등의 대외 강경론은 청일전쟁에서 승리해 조선 속방론을 부정하고 아시아의 맹주로 인정받게 된다면, 열강과의 불평등조약을 개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국 분할 경쟁에도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조야신문(朝野新聞) 은 승리를 확신하지 못했고, 동경횡빈매일신문(東京横浜毎日新聞) 은 청일전쟁이 일본의 국제 지위 상승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지 않았다. 그러나 이런 대외 온건론의 태도가 곧 청프전쟁 이후 확고해진 대외 팽창주의로부터의 이탈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임오군란, 청프전쟁, 갑신정변을 거치면서 일본 언론은 점차 대외 팽창주의를 강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청일전쟁은 근대 문명국의 대열에 진입하기 위한 현실적 수단이 될 수 있고, 조선과 일본의 독립을 위태롭게 만드는 조선 속방론은 반드시 제거되어야 하며, 청국 분할 경쟁에 참여할 수 있는 국력의 확보가 시급하다는 점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하게 되었다.

    영어초록

    After the outbreak of the Imo Mutiny, Japanese media was divided into hardliners and moderates. Among the hardliners, there were voices like Jiji Shimpo (時事新報) that incited the Sino–Japanese War, but the majority of hardliners focused on dispatching the military to quickly suppress Korean rioters. On the other hand, moderates displayed a cautious attitude towards sending troops to Korea. Meanwhile, Japanese media proposed various measures to block Qing's influence on Korea and preserve Korea's independent status. Jiji Shimpo criticized Qing's efforts to strengthen its suzerainty over Korea as an act of aggression, while Tokyo Nichi Nichi Shimbun (東京日日新聞) aimed to cooperate with Western powers to abolish Qing's suzerainty over Korea.
    The war between Qing and France stimulated Japan's expansionism. When the war broke out, Japanese media actively embraced the colonial strategies of Western powers. They were convinced that this was the way to preserve Japan's independence and to participate in the competition for dividing Qing's territories by Western powers.
    After the outbreak of the Gapsin Coup, hardliners such as Jiji Shimpo incited war with Qing. They believed that a victory in that war would not only make treaty revisions with Western powers possible but also allow Japan to participate in the competition for dividing Qing's territories by Western powers. On the other hand, advocates of moderation showed a cautious attitude toward a war with Qing. Choya Shimbun (朝野新聞) was not confident in the victory in that war, and Tokyo Yokohama Mainichi Shimbun (東京横浜毎日新聞) was skeptical about its effects. Meanwhile, Tokyo Nichi Nichi Shimbun criticized hardliners who ignored the procedures of international law. However, these advocates of moderation, like the hardliners, did not deviate from the strong expansionism that had solidified after the Sino–French War.
    During this period, Japanese media formed a consensus that a war with Qing was inevitable in order to enter the ranks of modern civilized nations. They were also convinced that removing Qing's suzerainty over Korea was a way to prevent Russian aggression against Korea and, ultimately, to safeguard Japan's independence. At this time, Japanese media gradually strengthened its expansionist stance in foreign affai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