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周易參同契』의 納甲法과 그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Na Jia in Zhouyi Cantonqi and Its Interpretation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22.11
38P 미리보기
『周易參同契』의 納甲法과 그 해석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도교문화연구 / 57권 / 169 ~ 206페이지
    · 저자명 : 정길영

    초록

    본 논문은 『周易參同契』에서 煉丹과정에 納甲法을 도입해 火候를 설명하게 된 배경과 이유를 밝히고, 『參同契』의 納甲法이 易學史에서 발전해 나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商代 이후 발전해오던 曆法이 漢代에 이르러 太初曆으로 체계를 이루면서 孟喜에 의해 卦氣易學이 기틀을 이루고, 京房에게 전해지면서 64卦에 天干과 地支를 배당하는 納甲法이 탄생되었다. 東漢 말기의 魏伯陽은 『參同契』에 納甲法을 도입하여 달의 차고 이지러짐에 따라 煉丹에서 火候의 시기를 설명하였다. 魏伯陽은 한 달간 달의 位相 변화에 따라 달빛이 나타나거나 사라지는 天干의 方位에 의한 月體納甲說을 통해 京房의 納甲法에 대한 타당성을 밝히고, 煉丹術의 火候를 時辰으로 표현하기 위해 京房에 의해 배당된 地支를 사용하였다.
    虞翻 등이 이러한 『參同契』의 納甲法을 주석하였고, 朱熹는 『參同契』의 月體納甲說이 邵康節의 先天圖와 부합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다수의 易學者들이 納甲圖를 남겼다. 胡一桂가 달의 位相 변화를 기준으로 작성한 納甲圖는 離卦와 坎卦를 中宮이 아닌 陽의 작용을 하는 東方과 陰의 작용을 하는 西方의 중앙에 각각 배치함으로써 八卦의 배치가 先天八卦方位圖와 일치하고 있다. 반면에 惠棟과 朱伯崑의 納甲圖는 해와 달에 해당하는 離卦와 坎卦를 中宮에 두고 天干의 方位를 기준으로 나머지 여섯 卦를 배치하였기 때문에 先天八卦方位圖와 다른 배치를 보인다. 그리고 彭曉와 兪琰은 『參同契』의 내용을 요약한 그림을 남긴 바 있는데, 나중에 작성된 兪琰의 그림이 煉丹에서 火候의 시기를 설명하고자 했던 『參同契』의 내용과 太陰太陽歷의 체계를 잘 표현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ained the background and reason for introducing the method of Na Ji(納甲) in Alchemy to Zhouyi Cantongqi(周易參同契), and examined the process of developing that in the history of Yiology.
    After the Shang Dynasty, the calendar developed and the Tai Chu Li(太初曆) was established as it reached the Han Dynasty. Then the Qua Qi Yi Xue(卦氣易學) was established by Mengxi(孟喜), and that was passed down to Jing Fang(京房), the method of Na Jia(納甲) was created to allocate the Heavenly Stems(天干) and the Earthly Branches(地支) for Sixty-Four Hexagrams(六十四卦). At the end of the Xi Han(西漢) Dynasty, Wei Bo Yang(魏伯陽) introduced the method of Na Jia(納甲) to Cantongqi(參同契) for explaining the time for the adjusting the fire in Alchemy as a change in the shape of the moon. Wei Bo Yang(魏伯陽) was revealed the validity of the Jing Fang(京房)’s Na Jia(納甲) through the direction of Heavenly Stems(天干) that the moon light appear or disappear due to the change in the lunar aspects, this is called the Theory of Yue Ti Na Jia(月體納甲說). And then Earthly Branches(地支) allocated by Jing Fang(京房) was used to represent in time for the adjusting the fire in Alchemy.
    Later on, Yu Fan(虞翻) and others annotated on method of Na Ji(納甲) in Cantongqi(參同契), and Zhu Xi(朱熹) thought that the Theory of Yue Ti Na Jia(月體納甲說) in Cantongqi(參同契) was consistent with the Xian Tian Tu(先天圖) by Shaokangjie(邵康節). And a number of Yiology researcher left a diagram of Na Ji(納甲). A diagram of Na Ji(納甲) by Hu Yi Gui(胡一桂) is consistent with a diagram of Xiantian Bagua Fangwei(先天八卦方位圖) because he drew a diagram based on the change in the lunar aspects and placed the Li(離) and Kan(坎) in the center of the east and west, respectively, not in the center palace. On the other hand, a diagram of Na Ji(納甲) by Hui Dong(惠棟) and Zhu Bo Kun(朱伯崑) are different from a diagram of Xiantian Bagua Fangwei(先天八卦方位圖), because he placed the Li(離) and Kan(坎) in the center and placed the remained six Gua(卦) based on the direction of Heavenly Stems(天干). In addition, Peng Xiao(彭曉) and Yan Yu(兪琰) left a diagram summarizing the contents in Cantongqi(參同契), a diagram created at a later by Peng Xiao(彭曉) expressed well the contents in Cantongqi(參同契), which was intended to explain the time of the adjusting the fire in Alchemy, and the system of luni-solar calendar is well represen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교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5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