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짓소리 연구 Ⅰ - 삼귀의 절차와 지심신례(두갑) 분석 - (A Study on the Korean Buddhist Ritual Music Chissori Pŏmp'ae Ⅰ - Analysis of the Kyŏngje Chisim sillye -)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7.06
17P 미리보기
짓소리 연구 Ⅰ - 삼귀의 절차와 지심신례(두갑) 분석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사학보 / 58호 / 137 ~ 153페이지
    · 저자명 : 윤소희

    초록

    본고에서 짓소리의 현재 전승 실태를 살펴보니, 호남지역에는 전승되는 짓소리가 없었고, 영남지역에는 1960년대 말에 녹음된 『영남범패』에는 ‘음소리’와 ‘아아훔’ 소리와 저음으로 장중하게 짓는 ‘삼귀의(지심신례 포함)소리․거불성․연향게’ 등이 있었으나 요즈음의 재장에서는 이러한 소리를 짓는 경우가 거의 없어 사실상 짓소리 전승이 단절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서울․경기 지역에서는 영산재를 통하여 다수의 짓소리가 연행되고, 옥천범음대학에서 구해 스님에 의해 짓소리강습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2012년에는 짓소리 14곡이 모두 연창․강의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고에서 심층적 분석을 한 ‘지심신례’는 삼귀의 절차 중 유일한 짓소리로써 평조적 선율이 많았다. 절제된 가운데 담담한 악상을 지닌 ‘지심신례’의 선율적 특징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대어 공경을 표하는 의례문 내용에서 비롯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지심신례는 짓소리 특유의 굵고 겪하게 표출하는 발성이나 탁성의 강한 표현 보다 사구성으로 반복 확대해 가는 부분이 많았다.
    전체 구조는 허덜품․가사․사구성의 세 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었다. 가사 사이에 배치된 사구성은 ABCDEF 선율요소가 차례로 배치되어 제Ⅰ사구성부터 제Ⅲ 사구성까지 선율 패턴과 형식적 틀을 형성했고, 전체 선율의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컸다. 이들 중 가사는 대개 저음으로 내려와 짓고, 사구성과 같은 모음창에서 고음으로 올라가 성악적 기량을 발휘하였다. 후반으로 갈수록 가사와 사구성의 선율 요소가 서로 얽혀들어 유기적인 밀도가 높아졌다.
    선율 요소들은 반복되는 가운데 미세한 변화가 일어나고 그 가운데 다른 요소들이 2중 3중으로 얽혀들었다. 반복되는 선율이 많으나 살짝 밀리거나 당겨져서 유절형식처럼 반복되는 것을 탈피함으로써 예술성을 드높였다. 어떤 경우에는 시퀀스 진행 가운데 밀도를 좁혀가기도 하고 병렬관계 속에 동일 음형이 배치되기도 하였다. 그 가운데 다양한 장식음과 요성․추성․퇴성․전성 등, 한국 전통음악의 표현법을 두루 지니고 있었다.
    가사와 사구성의 구조에서 ABA'의 구조를 지니고 있는 부분이 중첩되고 있었는데, 이는 무박절 무형식의 범패이지만 형식적 틀이 내재하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이들은 큰 틀과 세부 요소가 규칙적이면서도 논리적으로 짜여져 있기도 하였다. 음고와 긴장도의 측면에서 보면 주로 가사를 짓는 부분에서 음고가 내려가 있다. 이는 군자와 성현의 성품을 저음으로 표현했던 예악 정신을 연상시켰으며, 그 가운데 평조의 절제된 표현 또한 마찬가지였다. 반면 모음창에서 음고를 상승시켜 짓소리의 다양한 발성과 선율적 기교를 표출하는데 이는 성현을 찬탄하는 인간적 감성이 반영된 결과임과 동시에 근대 한국음악의 영향으로 파악되었다.

    영어초록

    In this research project, I analysed the Chisim sillye 至心信禮 (i.e. Tugap 頭匣) pieces of the chissori pŏmp'ae 짓소리梵唄 from the Kyŏnggi 京畿 province Yŏgsanjae 靈山齋 ritual. I was able to establish that the Chisim sillye melody has a similar major key to the p'yŏngjo 平調, and a similar minor key to the kyemyŏnjo 界面調. It is more plain and smooth compared to other chissori pŏmp'ae, which are characterized by deep and thick vocalizations and melodies. During its 23-minute duration, there were 3 series of four vowel long clauses held for more than half of the entire melody. These phenomenon which low tones's lyric melody and smooth atmosphere of the Chisim sillye is in order to express admiration with a deep bow that reaches down until the head makes contact with the feet of a Buddha.
    The entire structure is composed of three parts: hŏdŏlp'um 허덜품, which contains a vowel melody as prelude; a lyric melody; and 3 series of four vowel long clauses. The lyrics have 10 letters divided into four parts. The lyric melodies are of a lower pitch than the vowel parts. The melody of the vowel long parts was usually high and technical, suffused with ornamental tones and various vocal expressional skills. As the song progresses, the structure of the melody becomes composited and multiple according to a logical system following the motive or thema melodies.
    Melodies flow with minute variation. The construction is step by step duplex and triplicate. The many repeated thema are moved a little back, or the vocals subtly changed in order to present a more artistic work. Sometimes the density is tighter with the sequence and the same thema. During this step there are various ornamental notes and technical vocals such as vibrations, cursive notes taken to a low or high pitch, drastic down-tones etc., as there are in traditional Korean songs.
    I was able to establish that the melody of chissori pŏmp'ae is not an infinitely changing one, because there were repeated or various melodies, thema or motives as well as regulations and patterns. It is a peculiar character of the chissori pŏmp'ae that the pitch of the important lyric melody was lofty while honor paid to Buddha occurred at a low pitch. This is because the spiritual philosophy of yeak 禮樂 correlated Confucian ideas with the low tone as the ideal sound. Also the technical vocal skills and melodic ornaments are indigenous to Korean traditional mus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