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반도 출토 왜계갑주(倭係 甲冑)의분포와 의미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Japanese Style Armors from the Korean Peninsular)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1.05
47P 미리보기
한반도 출토 왜계갑주(倭係 甲冑)의분포와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문화유산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중앙고고연구 / 8호 / 39 ~ 85페이지
    · 저자명 : 김혁중

    초록

    삼국시대에는 많은 철제 갑주가 다양한 형태로 확인된다. 주목할 점은 한반도와 일본열도에서 동일한 계통의 갑주가 확인된다는 것이다. 삼국시대에는 일본열도와 관련된많은 왜계 문화요소가 확인되는데 갑주도 제작 기술이나 정황 등으로 보아 왜계 유물로판단된다.
    그런데 왜계 갑주는 당시 왜정권의 상징적인 유물로 평가되므로 한반도와의 관계를둘러싸고 많은 이견이 있었다. 기왕의 연구에서는 한반도 출토 왜계 갑주의 제작지 문제에만 관심을 기울였을 뿐, 한반도에서 출토된 왜계 갑주의 출현 배경과 의미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가 결여되어 있었다. 또한 가야지역은 왜계 갑주가 집중되어 이와 관련된 논의가 활발하였지만 백제와 신라에서 출토된 왜계 갑주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하다. 이에 본고는 한반도 출토 왜계 갑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부장 양상 및 분포 양상을 검토하여 그 의미를 검토해 보았다.
    대금계 갑주 및 왜계 찰갑의 형식 분류와 전개 양상을 살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고구려를 제외한 삼국 모두 왜계 갑주가 확인되며 각국의 상황에 따라 그 수용 배경과 의미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기왕의 연구는 이러한 왜계 갑주의 한반도 분포가 왜왕권의철소재 입수와 같은 교역에 따른 군사적 진출로 평가되거나 가야에 집중된 자료만으로왜와 가야의 관계 중심으로 설명되는 경향이 강하였다. 그러나 삼국은 자국의 이해에 따라 왜계 갑주를 수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왜와 적대적인 관계가 유지된 것으로 이해된신라는 왜계 갑주를 통해 볼 때 당시 신라의 영토 확장 정책과 관련하여 왜와 군사적 교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백제 역시 일찍부터 왜계 갑주가 확인되는데 영산강유역에서 확인되는 전방후원분 출토 왜계 갑주는 위세품이라기보다 백제의 남방을 감시하는 왜계 백제관료의 성격을 나타내는 유물로 이해된다.

    영어초록

    A lot of iron armors in various shape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have been excavated, and it is quite noticeable that same types of armorsare found both in Korea and Japan. Japan related cultural factors have beenidentified from the remain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se armorsare believed to be one of them regarding to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rcircumstances.
    Since Japanese style armors are viewed as the symbolic remains of Japaneseauthority at that time, there have been many debates upon the relationshipbetween Korea and Japan. One of the most frequently discussed issues isabout the manufacturing site of Daegeum type armors, which is most likelyto be considered Japanese style armors through increasing data and rigorousanalysis on the structure. However, it becomes more complicated whenclarifying the reason and purpose of Japanese style armors being introducedto Korea.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manufacturing sites of Japanese stylearmors found in Korea, and lacked detailed reviews on the background andmeanings of those armors. In addition, studies on the armors excavated inBaekje and Shilla area are not sufficient compare to those from Yongnamprovince, the old Gayaarea. This study was to provide comprehensive dataabout Japanese style armors found across the country, and to examine themeaning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burial aspects and distribution.
    The result is that Japanese style armors were identified every area except Corea, and the introduction background and meanings are differentdepending on each kingdom’s circumstance. Previous studies tended toexplain the reason of distribution of Japanese style armors in the Koreanpeninsular b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aya and Japan; Japanwanted to acquire iron ores from Gaya, and Japan wanted to establish theiroutpost on Gaya to acquire iron ores. However, it is highly possible thateach of three kingdoms adopted Japanese style armors for their own interest.
    Although it is considered that Shilla was hostile toward Japan, it is alsohighly possible for Shilla to trade military products with Japan. Furthermore,Japanese style armors were found out over the Baekje area, and Japanese stylearmors that were found out from the keyhole-shaped tomb of the YoungsanRiver area are not Wishinjae, but relics which show characteristics of Baekje’sofficials who protected the southern Baekj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앙고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