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갑신정변 전후 ‘개화’ 개념의 내포와 표상 (Intention and Presentation of the Concept of‘ Gaehwa(開化)’ around the Kapshin Coup of 1884)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08.12
38P 미리보기
갑신정변 전후 ‘개화’ 개념의 내포와 표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 수록지 정보 : 개념과 소통 / 2호 / 75 ~ 112페이지
    · 저자명 : 김윤희

    초록

    서양사상의 수용이라는 관점에서 진행된 기왕의 연구는, 번역어로서 개화가 수용되기 이전에 사용된 개화 용어는 유교적 관념을 반영하는 것으로 근대 개념으로보기 어렵기 때문에, 문명화(civilization)의 번역어가 수용되는 단계에서 비로소 개화는 서양 문명화를 의미하는 근대 개념으로 정립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관점으로인해 기존 개화 개념에 대한 연구는 개화 개념의 내포와 표상에 대한 고찰을 상대적으로 간과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1876년 개항에서 1884년 갑신정변직후까지 개화 개념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1876년 개항 이후 통치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개물성무 화민성속(開物成務化民成俗)’이란 수사를 통해 왕에게 건의되고 있었다는 점은, 이 말이유교 문명뿐만 아니라 서양 문명의 수용을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 가능하다는것을 보여 준다.
    서양의 기술과 제도를 도입하여 인지를 발달시키는 진취적인 기상이라는 의미, 풍속의 진보를 뜻하는『한성순보』의 개화 개념에는 인민이 국가의 독립주권의 소중함을 깨닫는 의식상의 변화가 내포되어 있었으며, 통치자의 입장에서 수용 가능한문명의 장점을 통해 국가의 진보와 독립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었다. 개화 개념이정치운동 과정에 등장했던 것은 개화당의 성립이었다. 개화당이었지만 갑신정변에 참여하지 않았던 윤치호는 대민통치방식을 서양 근대 국가의 통치시스템의 변화라는 의미로 개화를 사용했다. 그러나 개화의 실행 주체인 왕의 존재를 탈각하지 못한 윤치호의 개화 개념은 통치자의 선택과 정치적 변수에 의해 그 실행의기회를 엿보아야 하는, 권력구조의 틀 속에서 개념 지어진 것이었다.
    개화 개념에 내포된 실행 주체로서 왕의 존재가 사라진 것은 갑신정변이었다. 주체적으로 권력구조의 변동을 추구했던 김옥균의 개혁은 갑신정변 직후 진행된 추국(推鞫) 과정에서 개화 개념으로 등치되었다. 『한성순보』의 풍속의 진보와 윤치호의 통치방식의 변화라는 의미가 갑신정변의 개화 개념에 그대로 내포되어 있었다. 다른 점은 실행 주체로서 왕의 존재가 그 의미를 상실한 것이었다. 따라서 갑신정변의 개화 개념은 통치자의 입장에서는‘화심(禍心)’‘사죄(死罪)’‘흉패(凶悖)’로 통치자에 대한 도전으로 표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나라를 위한 것이 아닌개인의 사욕을 위한 것으로 표상되었다. 또한 일본의 군사력에 의지한 김옥균 등의 개혁이 개화 개념으로 등치되는 순간 반일 정서를 가진 민중에게 개화 개념은‘매국배종(賣國背宗)’의 이미지로 표상되었다.

    영어초록

    Existing studies dealing with the adoption of western thought do not considerthat the term Gaehwa was used before the introduction of Gaehwa as a modernconcept, reflecting the Confucian notion, so that, in the process of accepting thetranslation of civilization, the term Gaehwa was regarded as the modern concept,meaning western civilization. Owing to this notion, prior study of the Gaehwaconcept largely overlooks the intention and presentation of the Gaehwa concept.
    Given that the various ways of maintaining the governing system after theopening of the port in 1876 were proposed to the King via the words‘Gaemulseungmu Hwaminseungsok(開物成務化民成俗),’the words indicate thepossibility of their including the admission of western civilization as well as theConfucian one.
    The quest to develop the culture by introducing western skills and systems, andthe concept of Gaehwa, meaning the improvement of customs withinHanseongsunbo, the conscious efforts by the people to understand theindependent sovereignty of the nation illustrated that the improvement andindependence of the nation was contained through the strength of civilization andaccepted by the ruler. The concept of Gaehwa manifested itself in the politicalarena through the foundation of the Gaehwa Party. To Yun Chi-ho, who was amember of the Gaehwa Party but did not participate in the Kapshin Coup, theconcept of Gaehwa meant to change the ruling system, to conform with those ofmodern western nations. But, his concept of Gaehwa functioned within thetraditional boundary of the ruling system, conducted through the ruler’s selectionand political variables, without excluding the existence of the king, the practicalsubject. The existence of the king, a practical subject contained within the conceptof Gaehwa, however, disappeared with the Kapshin Coup. The reformation of KimOk-kyun, who pursued the reform of the power structure, was also defined by theconcept of Gaehwa, in the process carried out soon after the Coup. Theimprovement of customs within Hanseongsunbo, and Yun Chi-ho’s reform of thesystem of government were contained equally by the concept of Gaehwa withinthe Coup. The difference was that the existence of king as a practical subject lostits meaning. Accordingly, in the ruler’s place, the concept of Gaehwa within theCoup was presented as a big challenge against the ruler, and as something not forthe nation but for individual ambition. In addition, the reforms of Kim Ok-kyunand so on, dependent on Japan’s military power, were described equally by theconcept of Gaehwa, and were presented as the image of ‘Maegukbaejong(賣國背宗)’to people who had anti-Japanese senti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3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