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용동작치료(DMT) 프로그램이 농촌 여성노인의 무력감과 외로움 감소에 미치는 효과연구 (The Effects of Dance Movement Psychotherapy on the Reduction of Loneliness and Helplessness of the Rural Elderly Women)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5.12
9P 미리보기
무용동작치료(DMT) 프로그램이 농촌 여성노인의 무력감과 외로움 감소에 미치는 효과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5권 / 6호 / 227 ~ 235페이지
    · 저자명 : 성윤아, 류분순

    초록

    본 연구는 무용/동작심리치료(DMT)에 참여한 농촌 여성노인의 외로움과 무력감 감소를 위해 프로그램 처치전과 후의 변화를 분석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여, 농촌 여성노인의 외로움과 무력감 감소를 위해 무용/동작심리치료(DMT)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상은 충청남도 지역에 위치한 읍, 면 소재지 경로당 두 곳을 선정하여 그곳을 이용하고 있는 농촌 여성노인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각각 12명씩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15주간 주2회 30회기 동안 무용/동작심리치료(DMT)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은 어떠한 치료적 프로그램도 개입시키지 않았다. 개인적 사유로 탈락한 3명을 제외하고 최종분석에 이용한 자료는 실험집단 12명과 통제집단 12명이다.
    외로움(고독감) 척도는‘UCLA Loneliness Scale(Rusell, 1996)를 한국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박인수(2005)가 사용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노인의 무력감은 정승은(1998)이 우리나라 노인들을 대상으로 개발한 무력감 측정도구를 정진영(2009)이 사용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무용/동작심리치료(DMT)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외로움과 무력감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력감과 외로움, 전체 그리고 하위척도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무력감과 외로움 전체 점수와 하위척도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고 그 차이를 비교한 결과는 무력감과 외로움 전체, 그리고 하위척도에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을 경험한 후에 해당 항목의 평균이 유의미하게 올라갔고, 통제집단은 평균차가 적으며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평균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무용/동작심리치료(DMT)가 농촌여성노인의 무력감과 외로움의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임을 나타낸다.
    무용/동작 심리치료(DMT)를 통한 신체활동으로 농촌 노인여성은 정서를 조정하는 기회를 가지며 노력과 인내로서 이룬 성취감, 성공감, 불가능의 해소, 자신감을 얻으며, 적극적으로 동적인 생활의 원동력이 억제 되고 사회생활이나 인간관계를 원활하게 하여 농촌여성노인의 소외감을 감소시키는데 큰 역할을 할 것 이다.
    따라서 농촌 여성노인의 외로움과 무력감에 대한 다양한 신체 움직임 및 심리적인 접근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장기적인 효과와 종료 후 개선효과의 소멸시기를 파악할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positive effect of Dance/Movement Therapy for the women who are experiencing alienation and depression in a rural community through an analysis before and after DMT.
    The sample of the study consisted 2 groups in a town in Chung nam province with 12 aged females each. One group was a test group and the other one was a control group. The test group had undergone 30 times of DMT in twice a week for 15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didn't have any therapy program.
    Except 3 people who couldn't finish the whole process due to personal matters, the samples used in the final analysis were 12 people from the control and the test group.
    Considering the Korean social background, the researcher used the study which was modified by Park Insu for UCLA Loneliness Scale(Rusell 1996) along with the research(2009), Jeong Seungeun has developed and used by Jeong Jinyoung for the test of depression.
    To sum up the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test group's extent of depression and alienation experienced after the intervention.
    To measure the effect of DMT to the samples, an examination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The test group made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examination after they have finished the program while the control group didn't make any differenc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average of the test group's extent of depression and alienation experienced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and after the program.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that DMT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women who are experiencing alienation and depression in rural communities.
    DMT can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 women living in rural communities physical activities which help them have positive minds, feelings of achievement and confidence, active life that can give generative power for them in their social relationships and friendships so that they would feel less alienation and depression than before.
    Therefore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women in rural communities considering various physical movements and related to the psychology about their depression and alienation and continued the study for the long term effect and to know the moment that the effect disappea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