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변란에서의 鄭氏 眞人 수용 과정 - 『鄭鑑錄』 탄생의 역사적 배경 - (A Study on the Process of the Jeong Family Being Accepted as Jinin in the Disturbances during Late Joseon - A historical background of Jeonggamrok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2.03
34P 미리보기
조선후기 변란에서의 鄭氏 眞人 수용 과정 - 『鄭鑑錄』 탄생의 역사적 배경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60호 / 71 ~ 104페이지
    · 저자명 : 김우철

    초록

    조선후기 사상계에서 제시되었던 특이한 양상 가운데 하나로는 각종 鑑訣 사상의 성행을 들 수 있는데, 조선후기의 감결서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鄭鑑錄』이다. 역사상 『정감록』에 관한 기록이 실록에 처음으로 등장하는 것은 1739년(영조 15) 8월인데, 이후 18∼19세기에 발생한 민중저항운동 가운데 상당수의 사건들이 『정감록』의 영향 아래 일어났다. 이 논문에서는 18세기 이전에 벌어진 변란 사건을 분석하여, 그것이 鄭氏 眞人說로 귀결되면서 『정감록』으로 수용되는 과정을 밝혀보았다.
    조선왕조의 건국 이래로 민간 차원에서는 鄭氏가 일어난다거나 鷄龍山에 도읍할 것이라는 讖言이 있어왔다. 이러한 참언은 변란과 결합하면서 한층 구체화되고 체계화되었는데, 16세기 말 鄭汝立의 사건이 한 계기가 되었다. 이후 17세기 전반 仁祖代까지 反왕조적 상징성을 가진 인물이나 그들의 후손을 ‘眞人’으로 내세운 각종 변란이 빈발하였다. 이러한 변란에서는 특정한 인물에 신화적인 이미지를 부가하여 진인으로 부각시키고, 干支의 조작을 통한 참언을 통해 거사를 합리화하였다.
    17세기말 肅宗代 이후 18세기 전반 英祖代에 이르는 과정에서 眞人說의 주인공은 점점 鄭氏로 귀결되어 갔으며, 여러 가지 형태로 표현되던 讖書는 최종적으로 『鄭鑑錄』으로 수용되었다. 정씨가 허씨와 최씨를 제치고 진인설의 최종 대상이 된 이유는 反왕조적 상징성이 다른 성씨보다 강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 과정에서 거사 시기나 비범한 인물의 출현 등을 예언하던 참언들은 몇 가지 讖書로 구체화되었는데, 결국 정씨 진인설과 계룡산 도읍설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鄭鑑錄』으로 귀결되었다. 『鄭鑑錄』은 18세기 전반에 갑자기 출현한 것이 아니라, 조선 건국 이후 특히 17세기 이래의 각종 변란을 거치는 과정에서 나타났던 여러 가지 역사적 경험이 상호 작용하면서 만들어낸 결과물이었다.

    영어초록

    One of the unique trends that characterized the thinking community during the latter half of Choson was the prevalence of Gamgyeol ideology of all sorts. The most representative Gamgyeol book of the period was Jeonggamrok. It was in August of the 15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1739) that its records first made into the Chronicles of Choson Dynasty. It influenced many of public resistance movements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This study analyzed disturbances before the 18th century and examined the process of them converging into the theory of the Jeong family as Jinin and being reflected in Jeonggamrok.
    Since the foundation of Choson Dynasty, there had been prophecies predicting that the Jeong family would rise and move the capital to Mt. Gyeryong. Those prophecies combined with disturbances became much more specific and systematic. The event of Jeong Yeo-rip at the end of the 16th century created a moment. There were all kinds of disturbances putting figures with anti-royal symbolism or their descendents in the front as "Jinin" until the reign of King Injo in the former half of the 17th century. Those disturbances added a mythical image to certain figures to present them as Jinin and rationalized their revolts through prophecies based on manipulated Ganji.
    The main figures of the Jinin Theory gradually converged into the Jeong family between the reign of King Sukjong at the end of the 17th century and the reign of King Yeongjo in the former half of the 18th century. Prophetic books in many different forms were reflected in Jeonggamrok. The Jeong family became the final character of the Jinin Theory instead of the Heo and Choi family because they exhibited strong anti-royal symbolism than them. In the process, prophecies predicting the time of revolt or emergence of extraordinary figure grew concrete in several prophetic books, which eventually concluded in Jeonggamrok that mainly presented the Jeong family as Jinin and talked about moving the capital to Mt. Gyeryong. Jeonggamrok did not make a sudden appearance in the former half of the 18th century but was the product of interactions among various historical experiences in the course of disturbances of all sorts since the 17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