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통한 비만아동들의 비만도, 신체만족감 및 자아존중감의 변화 (Changes of Obesity Indices, Body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f Obese Children on Weight Control Program)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07.08
13P 미리보기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통한 비만아동들의 비만도, 신체만족감 및 자아존중감의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12권 / 4호 / 449 ~ 461페이지
    · 저자명 : 김경희

    초록

    본 연구는 비만 아동들을 대상으로 영양교육, 운동요법 및행동수정 등으로 구성된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아동들의 비만도 및 혈액성분의 변화, 식습관 및 신체만족감 등신체적 및 심리적인 요인의 변화 등을 관찰한 것으로 결과는다음과 같다.
    1. 본 체중조절 프로그램에는 남자 20명(48.8%), 여자21명(51.2%)으로 총 41명이 참여하였으며 대부분 3~6학년 아동으로 구성되었다. 아동들의 평균 신장은 남녀 아동 모두 146.9 cm였으며, 체중은 남아 56.7 kg 여아는 48.8 kg 이였다. 평균 BMI는 남아 26.2, 여아는 22.2로 여아에 비해 남자아동의 비만도가 높았다. 체지방량(%)도 남아 40.3%, 여아는 31.6%였으며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WHR)은 남아 0.91, 여아는 0.85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직업은 판매서비스직이 34.3% 어머니의 직업은 전업주부가 35.1%로 가장 많았으며 부모님의 교육정도는 아버지의 경우 고졸(50.0%), 대졸(41.2%)순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경우는고졸(64.7%), 대졸(32.4%)순으로 나타났다.
    2. 아동과 부모의 체중조절 경험은 아동의 90.2%, 부모의59.5%가 다이어트 경험이 있었으며, 아동은 1~2주일, 부모의 경우는 1달 이상 지속한 경우가 57.1%로 가장 많았다.
    다이어트방법으로는 아동과 부모 모두 운동과 먹는 양을 줄이는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다이어트의 효과는 아동의 34.4%가 살이 빠졌다가 원래대로 쪘다고 답하였으며 부모의 경우는 50.0%가 지금도 처음 빠진 몸무게를 유지하고있었다.
    3. 아동의 61.0%가 아침식사를 거의 매일 먹었으며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등교시간이 촉박해서 먹지못한다는 답이 44.4%로 가장 많았다. 아동의 39.5%가 세끼 모두 비슷한 양으로 식사 하였으며 식사에 걸리는 시간은10분~15분 이내로 먹는 경우가 41.5%로 가장 많았다. 간식은 대부분 점심과 저녁사이에 먹고 있었으며(71.8%) 간식을 먹는 이유로는 ‘특별한 이유 없이 습관적으로 먹는다’ 라고 답한 학생이 25.8%를 차지하였다. 편식의 정도는 ‘약간 가려서 먹는다’ 라고 답한 학생이 56.1%로 가장 많았으며 40.0%의 아동은 스트레스 시 음식을 섭취하는 양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사 시 TV를 시청하는 아동이50%였으며 음식 선택 시 고려하는 사항으로는 맛(55.3%) 과 영양가(21.1%)였다.
    4. 체중조절 프로그램 실시 후에 남녀 아동의 평균 신장이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p < 0.001) 증가 하였으며BMI는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차이가 없었다. 체지방량은 프로그램 실시 전에 40.3%에서 프로그램 실시 후에 35.4%로유의한 수준(p < 0.01)으로 감소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신체둘레를 측정한 결과 허리둘레는 84.5에서 83.8로다소 감소되었으나 통계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엉덩이 둘레는 92.9에서 91.4로 프로그램 실시 후에 유의한 수준(p < 0.01)으로 감소하였다. 복부비만을 나타내는 허리엉덩이 비율인 WHR은 0.91에서 0.92로 다소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여아의 경우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신체둘레를 측정한 결과 허리둘레는 74.9에서72.9로 유의한 수준(p < 0.05)으로 감소되었다. 체중조절프로그램 실시 후의 아동들의 남녀별 혈액성분의 변화는 남아의 HDL-콜레스테롤이 45.9 mg/dL에서 실시 후52.10 mg/dL으로 유의적인 증가(p < 0.01)를 보였으며LDL-콜레스테롤은 111.0 mg/dL에서 98.7 mg/dL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p < 0.001)감소하였다. 여아의경우도 HDL-콜레스테롤이 49.6 mg/dL에서 55.2 mg/dL로 증가를 보였으며 통계적인 유의차(p < 0.05)를 나타냈다.
    5. 비만에 대한 지식이 여자 아동의 경우는 2.5에서 프로그램 실시 후에 5.1로 비만에 대한 지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p < 0.001) 향상되었으며 체중관리에 대한 태도 및 식습관 점수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6. 프로그램 실시 후에 남녀 아동 모두 신체 만족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p < 0.01) 높아졌으며 자아존중감의 유의한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비만아동들을 대상으로 영양교육, 운동요법 및 행동수정요법이 포함된 체중조절 프로그램 실시 후에아동들의 체지방량과 허리 및 엉덩이둘레 등 비만관련 지수들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비만관련 지식 및 신체만족감이 증가된 것을 알 수 있다. 비만아동들의 대상으로 하는교육은 신체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문제를 함께 해결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반드시 적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방과 후 시간을 이용하여 10주간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학교현장에서 실시 가능한 프로그램의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향후 각 학교 단위의 소아비만의 치료와 예방을 위한 교육이 이루어지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앞으로 보다 장기적인 프로그램의 실시로 교육의 효과를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obese children, obesity indices and blood serum levels, food habits and body and self-esteem after a weight control program.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Participants of the study involved 20 boys (48.8%) and 21 girls (51.2%) totaling 41 children. Children’s weight control experiences were 90.2% and parents’ were 59.5%. Among methods of weight control, children and parents both used exercise and reduced amounts of meals. Sixty-one percent of the children had breakfast almost everyday. The reasons of skipping breakfast were having no time to eat by 44.4% and 50% of children watched TV while having a meal and they considered taste (55.3%) and nutrition value (21.1%) when choosing food. After the weight control program, the children's body fat percent (%)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40.3% to 35.4% (p < 0.0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boys and girls’ hip circumferences (92.9 cm, 91.4 cm, p < 0.01) after the program but there was only a slight change in their WHR (0.91, 0.92). Girls’ waist circumference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75.0 cm to 73.0 cm (p < 0.0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HDL-cholesterol, 50.0 (mg/dL) to 55.2 (mg/dL), (p < 0.05). Knowledge levels of obesity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5 to 5.1 in the girls’ cases (p < 0.001). Nonetheless, attitudes of weight control and food habits score had not changed a lot. After the program, both the boys and girls’ body-esteem had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1) but self-esteem had not chang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body weight control program must be included in nutrition education, exercise and psychotherapy to improve body and self-esteem of obese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4) : 449~461, 2007)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