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자인에서 창의적 자신감을 위한 이연현상(Bisociation)에 관한 문헌적 고찰 (A Literature Review on Bisociation for Creative Confidence in Design)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22.12
11P 미리보기
디자인에서 창의적 자신감을 위한 이연현상(Bisociation)에 관한 문헌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8권 / 4호 / 293 ~ 303페이지
    · 저자명 : 이원섭, 나건

    초록

    디자인에서 창의적 자신감은 핵심적인 동기 요인이다. 창의적 자신감이란 새롭고 가치 있는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믿음을 말한다. 특히, 아이디어를생성하는 단계에 있어서 창의적 자신감의 유무는 성공적인 디자인 결과물을 이끄는 핵심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창의적 자신감의 활성화를 위한 근본적인해결 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사회적으로는 다름에 대하여 존중하는 문화, 실패를해도 다시 시작하면 된다는 긍정적 사고방식, 두려움을 극복하고 도전하는 것 등 다양한 문화적, 경제적요인에 관한 변화가 필요하다. 하지만 그러한 요인이작용하기 이전에 개인적인 차원에서 의견이나 결과물이 창의적이라는 평가를 듣거나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진 경험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창의적인 결과를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아이디어의 생성과정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가능성들의 연결을 뜻하는 이연현상의 과정을 디자이너가 인지하고 이연현상이 자주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활용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뇌 과학, 인지심리학, 디자인학의 이론들을 분석하여 해석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는 다양한 경험들과 기억 속의 정보들, 상상을 서로연결하여 창의적 결과를 언제든지, 어디서든지 만들어낼 수 있다는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창의적 자신감 형성에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이연현상은 뇌의 무한한 발상을 도울 수있는 방법으로서 창의적 자신감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에기반한다. 문헌 연구를 통한 분석결과를 4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적절한 시점에서의 긍정적 자극이 필요하다. 둘째, 창의적 경험의 축적은 이연현상의활성화를 돕는다. 셋째, 이연현상의 올바른 이해는 리서치의 필요성을 자극한다. 넷째, 성장형 사고방식의 활용은 근본적인 창의적 자신감 형성에 일조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이연현상의 이해는 디자이너의 아이디어 발상 역량을 최대한 높이는 데 중요한역할을 할 것이다.

    영어초록

    Creative confidence in design is a key motivator.
    Creative confidence refers to the belief that you can create new and valuable results. In particular, the presence or absence of creative confidence in the stage of generating ideas can be a key factor leading to successful design resul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fundamental solutions for the activation of creative confidence.
    Socially, changes in various cultural and economic factors are needed, such as a culture that respects differences, a positive mind-set that says you can start over even if you fail, and overcoming fear and taking on challenges. However, before such factors work, there must be an experience of receiving an evaluation that an opinion or result is creative at a personal level or receiving appropriate compensation. And in order to create creative results,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generating ideas is necess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designers to recognize the process of bisociation, which means the connection of new possibilities, and to use it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bisociation can occur frequently.
    As a research method, an interpretative study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theories of brain science, cognitive psychology, and design science. This will help to form a long-term and fundamental creative confidence that creative results can be created anytime, anywhere by connecting various experiences, information in memory, and imagination.
    In this study, the bisociation is based on the fact that it is effective for creative confidence as a way to help the brain’s infinite ide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four categories as follows. First, positive stimuli are needed at the right time. Second, the accumulation of creative experience helps activate the bisociation. Third,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bisociation stimulates the need for research. Fourth, the use of a growth mind-set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fundamental creative confidence.
    The understanding of the bisociation proposed in this study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maximizing the designer’s idea generation capa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