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글쓰기문학치료가 대학생의 불안과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Poetry/Journal Therapy on Anxiety and Ego 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20.06
27P 미리보기
글쓰기문학치료가 대학생의 불안과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융합 / 42권 / 6호 / 339 ~ 365페이지
    · 저자명 : 손정희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글쓰기문학치료가 대학생의 불안과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대학생들은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전환하며 소위 청년위기를 겪고 있으며, 불안, 우울, 스트레스, 자아정체감 혼란과 같은 다양한 심리적 문제들로 고통 받고 있다. 글쓰기문학치료는 참여자들이 촉진자의 안내를 받아 촉매로 사용된 문학 텍스트에 대한 감정 반응을 저널치료와 표현적 글쓰기의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여 글쓰기를 함으로써 변화, 성장, 치유를 경험하게 되는 치료적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연구대상은 9명의 실험집단과 10명의 통제집단으로 구성된 대학생이다. 실험집단에만 글쓰기문학치료프로그램을 75분씩 일주일에 2회기, 총10회기로 진행한 후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시행했다. 측정도구로 상태-특성 불안척도(STAI, 김정택, 1978)와 한국형 자아정체감 척도(KAES, 박아청, 2003)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글쓰기문학치료는 불안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대학생 참여자들은 상태불안과 특성불안 모두에서 불안감소를 보였다. 둘째, 글쓰기문학치료가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는 글쓰기문학치료는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향상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글쓰기문학치료 과정에서 참여자들의 태도와 행동에서 불안 감소와 자기 수용적 태도와 삶을 주도적으로 운용하는 능력의 향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글쓰기문학치료가 대학생의 불안 감소와 자아정체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한 것에 의의가 있다. 나아가 본 연구는 국가의 핵심적인 미래 인력자원인 대학생들이 심각한 심리적 위기를 경험하고 있는 상황에서 다양한 심리적 문제들에 대처하도록 돕는데 글쓰기문학치료가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앞으로 글쓰기문학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을 위한 상담과 치료의 핵심적인 부분이 될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인 정부와 관련 기관의 제도적, 재정적 지원이 필요함을 입증한 연구라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oetry/journal therapy on anxiety and ego 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Faced with the transition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university students often go through the so-called quarterlife crisis. They may suffer from various psychological issues such as anxiety, depression, stress, and confusion in ego identity. Poetry/journal therapy is an interactive therapeutic process that is guided by a facilitator, in which participants can be helped to experience change, growth, and healing. This is achieved by facilitating the participants to express their emotional responses to catalytic literary texts and to write their feelings using various techniques belonging to journal therapy and expressive writing. Through this process, poetry/journal therapy enables participants to resolve various psychological issues and gain health-promoting benefits in various aspects of their life.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19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9 students, whereas the control group had 10. The program was composed of 10 sessions of 75 minutes. To obtain a more thorough result,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ere conducted. For the study’s quantitative analysis, the STA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Kim J. T, 1978) and the KAES (Korean Adolescent Ego-identity Scale, Park, A, 2003)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etry/journal therapy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reducing the level of anxiety.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both state and trait anxiety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Second, poetry/journal therapy positively affects the improvement of the participants’ ego identity. Third, the participants demonstrate a reduced level of anxiety and a greater level of positiveness and initiative in their ego identity-related attitudes and behavior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I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demonstrated that poetry/journal therapy positively affects the reduction of the anxiety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improvement of their ego identity. Additionally, university students, who are indispensable and invaluable human resources of the future society, are presently undergoing a critical psychological crisis. Within such a context, this study provides a meaningful basis for further studies that seek to verify whether poetry/journal therapy can help university students cope with other psychological issues. Furthermore, this study contributes toward confirming that the active financial and systematic support by the government and related organizations is urgently needed, in order to implement poetry/journal therapy programs as a crucial part of counselling and therapy for university stud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