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하 원주 서미감 병원의 설립과 지역사회에서의 위치 (The Establishment of Swedish Methodist Hospital and it's Position of Wonju Community under the Japanese Colonization)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2.05
38P 미리보기
일제하 원주 서미감 병원의 설립과 지역사회에서의 위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문화연구 / 42호 / 37 ~ 74페이지
    · 저자명 : 왕현종

    초록

    1910년대 이후 기독교의 의료 선교와 그것이 조선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강원도 원주지역에 최초로 설립된 서미감 병원의 사례를 검토하였다. 원주 서미감(瑞美監) 병원은 강원도 지역의 의료 선교 병원으로서 1913년 설립되었으며, 1933년까지 20년 동안 강원 영서 남부 지역의 거점병원으로 자리 잡고 있었다.
    원주지역에 감리교 계통의 교회가 정착한 것은 1905년이었으며, 1909년 북감리교회에서 관장하면서 강원도 남부 영서 지역을 선교지역으로 삼았다. 1910년에 미국 뉴욕의 감리교 본부는 조선 선교 25주년을 기념하여 원주에 선교 병원을 세우려고 하였다. 1913년 4월 착공한 서미감 병원은 11월 15일에 개원하였으며, 1914년 4월 22일 봉헌식을 가졌다. 병원의 이름은 미국 스웨디쉬 감리교의 이름을 따서 ‘서미감 병원’으로 불리었다.
    전기(1913~1922)에는 앤더슨 의사가 헌신적인 공헌을 하여 병원이 자리를 잡았다. 1913년 1천여 건의 치료가 이루어졌고, 1919년에는 5천 건의 치료가 이루어졌으며, 치료를 통해 기독교 신자가 늘어났다. 그러나 앤더슨 선교의사가 평양의 기홀병원으로 옮겨감에 따라 병원업무는 한 동안 비워두었다가 1925년부터 맥매니스가 대신 병원을 경영하였다. 이때 조선인 의사도 참여했는데, 윤선욱, 안사영과 이은계 등은 세브란스 연합의학전문학교 출신 의사들이었다. 이들은 적극적인 진료 활동과 아울러 지역 사회 운동에도 참여하였는데, 안사영은 1927년 신간회 간사를 맡기도 하였다. 당시 강원도 의료 환경은 매우 열악했으며 특히 원주에는 자혜병원이나 도립병원이 설치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33년 미국 선교부는 병원 운영을 포기하였으며, 1941년 원주에 도립병원을 설치하기로 함으로써 서미감 병원은 20년간 지역의 거점 병원과 지역 선교 병원으로서의 위치를 상실하게 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Swedish Methodist Hospital which was built in Wonju for the first time to review the practices of the hospital about Methodist Episcopal Church's christian medical missions and its impact on society of Korea since the 1910s. The Swedish Methodist Hospital as a medical missionary hospital was founded in 1913, and situated as a base hospital for 20 years until 1933 in the southern region of Gawon Province.
    The Methodist Church who settled in Wonju were 1905, while Methodist Episcopal Church areas in southern Gangwon region taken as a missionary in 1909. At 1910 the Methodist Church headquarters in New York were to establish a missionary hospital to commemorate the 25th anniversary of the Korea Mission at Wonju city. The Methodist Hospital began constructing in April 1913 opened the hospital on November 15, 1913 and held a dedication ceremony Apr. 22, 1914. The Methodist Hospital named the Swedish Methodist Hospital which was after the U.S. Swedish Methodist Church.
    On previous period(1913-1922) this hospital could not be raised unless Dr. A.G.Anderson did devoted contribution. The thousands of treatment of patients in 1913 was achieved and there were with five thousands of treatments in 1919. The number of Christians was increased by the effects of the treatments for the patients. When Dr.A.G.Anderson, a missionary doctor had moved away to Dr. Hall's Memorial Hospital, the hospital was empty for a while. Instead, Dr.S.E. McManis became a hospital management in 1925.
    In this time Korean doctors such as Yun Sun Yuk, Ahn Sa Young of the Severance Union Medical College graduates were involved. In addition, they had a aggressive treatment of these activities and participated in community exercises. For instance, Dr Ahn acted as a secretary of Shin-Gan Hoe at Wonju city in 1927.
    Gangwon health care environment at the time was very poor. Especially, Jahye hospitals and Provincial hospitals was not installed in Wonju. Nevertheless, the U.S. Methodist Episcopal Church Mission abandoned operating the hospital in 1933. Provincial hospital in 1941 was to install at Wonju city. Therefore Swedish Methodist Hospital despite local and regional mission for 20 years was losing its position as a missionary hospit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