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甘山寺 石造彌勒菩薩立像과 金志誠의 佛敎信仰 (Stone Standing Maitreya Bodhisattva of Gamsansa Temple in Gyeongju and Kim Ji-Sung's Buddhist Belief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9.08
24P 미리보기
甘山寺 石造彌勒菩薩立像과 金志誠의 佛敎信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 / 38권 / 173 ~ 196페이지
    · 저자명 : 정송이

    초록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상의 존명과 조성 시기뿐만 아니라 발원자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포함된 조상기를 동반한 8세기 초반의 대표적인 불교조각으로 다양한 연구분야에서 집중되어왔다. 본 논문에서는 감산사 보살상이 미륵보살임에도 불구하고 보관에 화불이 나타나고, 삼국시대 미륵보살상처럼 반가좌 형식이 아닌 입상 형식으로제작된 이유에 집중하여 고찰하였다.
    미륵보살 보관에 화불이 나타나는 사례는 4세기 인도 불교미술에서부터 서역을 거쳐 초기 중국 불교미술까지 모두 찾아 볼 수 있다. 관음으로 제작하던 보살상을 미륵으로 고쳐 완성하였다는 남조시대의 일화는 보살상 간의 도상적 혼용을 허용하였던 고대사람들의 조성 경향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역시도 도상적인 혼용을 나타난 사례로 보인다.
    조상기에 기록된 ‘十七地之法門’을 통해서 발원자 김지성은 유식사상에 매우 심취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십칠지지법문’은 瑜伽師地論의 다른 명칭으로 현장법사가인도에서 가져온 유식사상의 중요 경전이다. 유가사지론은 미륵보살의 가르침을 무착이 듣고 기록한 것으로 전하고 있다. 현장이 직접 저술한 대당서역기와 그의 제자가 기록한 대당대자은사삼장법사전에서 현장을 포함한 유식수행자들의 깊은 미륵신앙을 볼 수 있다. 특히 자은전의 극적인 서사들의 전개는 김지성과 같은 유식 수행자들에게 미륵보살에 대한 신앙심을 고취시키는데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발원자 김지성이 유교, 도교, 그리고 불교사상에 해박한 신라사회의 지식인이다.
    신라 사신으로 당을 직접 방문하였던 그는 당의 문물을 접할 수 있었던 기회가 많았을것이다. 그리고 중국과 신라의 유식 승려들은 대부분 미륵보살을 신앙하는 일화들은문헌기록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사실들을 기반으로 이전 시기와는 다른 형태의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이 조성될 수 있었던 배경을 분석한다.

    영어초록

    Stone Standing Maitreya Bodhisattva of Gamsansa Temple in Gyeongju has been at the center of researchers’ attention because of the inscription that provides enough clue to when it was made and who commissioned it. This paper is to focus on the fact that Nirmāna-buddha (化佛; buddha in human form) often carved on the crown of Maitreya Bodhisattva, the representative statu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and to understand the reason why it was made.
    In general, Nirmāna-buddha carved on the crown of Maitreya Bodhisattva is understood with Kwanmirukposal Sangsaengtosolch'onkyong Sutra (觀彌勒菩薩上 生兜率天經; The Sutra of Maitreya‘s Ascension), the representative scripture about Maitreya Bodhisattva. An anecdote from the Southern Dynasties on the creation of the Gwaneum Bodhisattva and the replacement of the Maitreya Bodhisattva statue shows that the statue of Maitreya Bodhisattva and the statu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were considered interchangeable in many cases.
    From the phrase “Sipchil-jiji-beopmun (十七地之法門; seventeen states to buddhist priesthood)” written in the inscriptions that explain the background of creating the statue, it is assumed that Kim Ji-Sung, who commissioned the creation of the statue, would have believed in Yusik-sasang (唯識思想; Thought of Consciousness) as a Buddhist thought. Sipchil-jiji-beopmun is another name for Yugasa-jiron (瑜伽師地論; Yogācārabhūmi-śāstra; Discourse on the Stages of Concentration Practice), which is an important scripture of Yusik-sasang that Buddhist monk Hyeon-jang (玄奘) brought from India. It has been known that the scripture is about the lessons that Muchak (無着; Asańga) learned from Maitreya Bodhisattva while visiting the Tuṣita Heaven. From Daedang Seoyeokgi (大唐西域 記; The Record of Travels to Western Lands) and Dae–dang dae-Jaeunsa Samjang-beopsa Jeon (大唐大慈恩寺三藏法師傳; the biography of Buddhist monk Hyeon-jang) written by Hyeon-jang and his disciple, it is found out that Yusik believers worshiped Maitreya Bodhisattva. Particularly JaeunJeon contains a number of anecdotes about belief in Mireuk-Sinang (彌勒信仰; Maitreya faith).
    Based on the fact that Kim Ji-Sung had a comprehensive knowledge about Confucianism, Taoism, and Buddhism, and was the one who visited the Tang Dynasty as a Korean envoy to China in the Tang Dynasty, this paper is to trace back his Buddhist thought and footsteps and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creating the statue of Maitreya Bodhisattv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