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지리의 『맨홀』에서 본 장소감과 장소 상실 (Sense of place and placelessness seen in Park Ji-ri’s Manho l e (맨홀))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24.09
26P 미리보기
박지리의 『맨홀』에서 본 장소감과 장소 상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방정환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방정환연구 / 6권 / 2호 / 145 ~ 170페이지
    · 저자명 : 김정애

    초록

    본고는 박지리의 작품 『맨홀』을 장소감과 장소 상실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박지리는 1985년생으로 2010년 사계절 출판사의 ‘사계절 문학상’을 수상하며 등단했다. 그의 작품들은 청소년의 내면 감각을 생생하게 표현하고 있으며, 특히 심리적으로 고립된 청소년의 고통스러운 내면을 면밀하게 포착하고 있다. 그의 작품들은 청소년소설이 성장소설로 일괄될 수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맨홀』의 주인공도 성장에 이르지 못 한다. 오히려 기존 사회로 진입할 기회에서 여러 차례 탈주하면서 결국 자기파괴적 결론으로 치닫는다.
    이-푸 투안, 에드워드 랠프의 공간이론을 근거로 보면, ‘집’은 인간 실존의 근원적인 중심이며 인간 존재의 토대이다. ‘집’은 가장 구체적인 장소이고 내밀한 공간이며 진정한 장소감을 느끼게 하는 중심이다. 그러나 『맨홀』의 ‘집’은 장소감을 얻을 수 없는 곳이다. 아버지의 극심한 폭력은 가족들이 집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장소감을 박탈한다. 집에서 장소감을 얻지 못하는 주인공은 외부에서도 편안하게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는 불안정한 심리 상태에 놓인다. 아버지의 폭력은 가족은 물론 본인에게서도 장소감을 박탈한다.
    주인공은 아버지를 피해 ‘맨홀’에서 장소감을 느끼지만 영속적이지 않다. ‘하천 옆 소파’, ‘희주의 집’에서 느끼게 되는 장소감도 일시적이다. 주인공이 느끼는 장소 상실은 결국 살인으로 연결되고, 나아가 주인공이 맺고 있던 모든 관계를 스스로 단절하는 결과로까지 이어지게 된다. 위탁 감호 시설에서 주인공이 골몰하는 구멍의 사유 역시 존재 소멸의 결론으로 나아간다.

    영어초록

    In this research, Park Ji-ri’s work, “Manhole,” i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a sense of place and placelessness.
    Park Ji-ri was born in 1985 and debuted in 2010 by winning the “Sakyejul Literary Award” from Sakyejul Publishing. Her works vividly express the inner senses of adolescents, and in particular, they closely capture the painful inner lives of psychologically isolated adolescents. Her works show that adolescent novels cannot be lumped together as bildungsroman novels. The protagonist of “Manhole” also fails to grow up. Rather, he escapes from opportunities to enter existing society several times and ultimately reaches a self-destructive conclusion.
    Based on the space theory of Yi-Fu Tuan and Edward Ralph, a “house” is the fundamental center of human existence and the foundation of human existence. A “house” is the most concrete and intimate place, and it is the center that allows one to feel a true sense of place. However, the “house” in “Manhole” is a place where one cannot gain a sense of place. The father’s extreme violence deprives the family of a sense of place that they can get from their house. The protagonist, who cannot get a sense of place at home, is in an unstable psychological state where he cannot form comfortable relationships even outside. The father’s violence deprives not only his family but also himself of a sense of place.
    The protagonist feels a sense of place in a ‘manhole’ to escape his father, but it is not permanent. The sense of place he feels in ‘the sofa by the river’ and ‘Hee-ju’s house’ is also temporary. The placelessness that the protagonist feels eventually leads to murder, and furthermore, to the result of cutting off all of his relationships. Thinking of the hole that the protagonist is absorbed in at the care facility also leads to the conclusion of the annihilation of exist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방정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