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려 한시의 개성, 인정(人情)의 발견과 형상화 방식—「감담일기(坎窞日記)」의 증별시(贈別詩)를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Kim Ryeo’s Chinese poems, the discovery and shaping of human nature: Focusing on the farewell poems in Gamdam Diar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23.02
26P 미리보기
김려 한시의 개성, 인정(人情)의 발견과 형상화 방식—「감담일기(坎窞日記)」의 증별시(贈別詩)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98호 / 63 ~ 88페이지
    · 저자명 : 강혜선

    초록

    김려는 유배를 통해 그의 인식, 세계관이 변화하고 문학 또한 변화하였는데, 유배 경험의 첫 번째 창작물이 「감담일기(坎窞日記)」 이다. 「감담일기」에 수록된 몇 편의 증별시(贈別詩)는 그의 시적 개성이 본격화된 작품으로 이후 「사유악부(思牖樂府)」로 발전하였다. <冒寒入黿山, 留別南生仲厚>, <入高原郡, 別申端公希頲歸文川>, <高驂驛舍, 留別父老>의 세 사례를 들어 인정(人情)의 발견과 형상화 방식을 분석하였다. 세 작품의 공통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가 만난 특별한 인물을 묘사하고, 그 인물과 나눈 체험을 서사하며, 자신이 받은 감동을 표현하기 위해 중편의 오언고시 형식의 증별시를 선택하였다. 둘째, 증별의 대상이자 시속 인물은 그가 유배길에서 처음 만난, 계층과 신분을 달리하는 주변부 사람들이다. 셋째, 시상의 전개는 ‘인물의 등장과 소개 – 인물이 자신에게 보여준 온정의 행동과 말의 극적 재현’이란 방식을 취하였는데, 이는 곧 인정의 형상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이 세 편의 증별시는 이별의 현장에서 써서 준 시가 아니라 유배지 부령에 도착한 후 쓴 시들로, 남이곤, 신희정, 고참역 촌로들이 자신에게 보여준 인정과 자신의 감동을 추억하고, 그들과 나눈 교감과 그 교감으로 인해 새롭게 알게 된 인간 이해를 기념하고자 쓴 시이다. 즉, 김려는 인정을 형상화한 증별시를 통해 자신만의 개성적, 독자적 ‘기억의 시, 추억의 시, 기념의 시’를 남긴 것이다. 이는 이후 진해 이배(移配) 후 부령의 사람들을 그리워하며 쓴 「사유악부」로 발전하였다.

    영어초록

    Kim Ryeo’s perception, worldview, and literature changed through exile. The first creation of the experience of exile is Gamdam Diary. The farewell poems included in Gamdam Diary were the works in which his poetic personality was fully developed, and later developed into Sayuakbu. I analyzed the way of discovering and shaping human nature by giving examples of three works.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work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describe the special person he met, to describe the experiences he shared with that person, and to express the impression he received, he chose the mid-length farewell poem in the form of five character ancient poem. Second, the objects of farewell are the people he met for the first time on the road of exile, who are of different classes and social status. Third, the poem consists of the appearance and introduction of a character, and the dramatic reproduction of the warm behavior and words that the character showed toward himself. This can be said to be a way of shaping human nature. These three poems were not written at the place of farewell, but afterward in Buryeong, the place of exile. He wrote these poems to remember the warmth of Nam Igon, Shin Heejeong, and senior village elders showed him and his impressions, as well as to commemorate the sympathy he shared with them and the new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he learned from them. In other words, Kim Ryeo wrote poems of memory, poems of remembrance, and commemorative poems in her own unique way through farewell poems that embodied human nature. This later developed into Sayuakbu, a series of poems written in Jinhae while missing the people of Burye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