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재륜(鄭載崙)의 『감이록(感異錄)』을 통해 본 조선후기 필기의 전개 양상과 새로운 지표(들) (Developments of Writings in Late Joseon Period Seen through Jeong Jae-ryun's "Gamirok" & New Indicator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6.08
27P 미리보기
정재륜(鄭載崙)의 『감이록(感異錄)』을 통해 본 조선후기 필기의 전개 양상과 새로운 지표(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코기토 / 80권 / 317 ~ 343페이지
    · 저자명 : 신상필

    초록

    본고는 정재륜의 『감이록』을 학계에 소개함과 동시에 조선후기 필기(筆記) 양식의 전개 양상은 물론 그것이 지닌 작품으로서의 특징과 변모에 대해 확인하였다. 정재륜은 1656년(효종 7) 10살의 나이로 효종의 다섯째 딸인 숙정공주(淑靜公主)와 혼인해 동평위(東平尉)가 된 인물로 잘 알려져 있으며, 그의 저술인 『공사견문록(公私見聞錄)』과 『한거만록(閑居漫錄)』이 당시 궁중 내부의 소상한 견문을 기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정재륜의 저술로 규장각에 4책으로 소장된 『공사견문록』과 『한거만록』의 사이에 『견문인계록(見聞因繼錄)』과 함께 수록된 『감이록』의 존재는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특히 본고가 『감이록』에 주목하는 이유는, 정재륜의 다른 세 저술이 필기의 일반적 형식을 따르고 있음에 반해, ‘귀이(鬼異)’ 즉 귀신과 신령의 기이한 존재가 부도덕한 행적을 기도하는 이들에게 경계와 징치를 보여주는 내용을 주로 수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정재륜의 『감이록』이 조선후기 ‘복선화음(福善禍淫)’의 도덕적 인식의 보편성을 시대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며, 16~17세기 당쟁의 정치적 현장을 객관적으로 전하고자하는 하나의 기획이기도 하였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더구나 귀이와 관계된 필기의 전개 양상에서 볼 때 성현(成俔)의 『용재총화(慵齋叢話)』가 잡귀에 대한 유가(儒家) 지식인의 우위를 증명하고, 김안로(金安老)의 『용천담적기(龍泉談寂記)』가 개인의 정치적 불우를 귀신과 신령의 이해 불가능함으로 접근한 것과도 비교가 된다. 이 점에서 『감이록』은 국왕의 부마라는 정치적 중립성을 견지하며 비윤리적 정쟁의 소용돌이를 귀이와 관련된 복선화음의 서사적 논리로 재해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조선후기 필기의 새로운 지표로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troduced Jeong Jae-ryun's "Gamirok" to the academic circle and at the same time identified developments of writings in the late Joseon Period as well as their characteristics and transfigurations as art work. Jeong Jae-ryun is well known as a figure who got married with Princess Sukjeong - fifth daughter of King Hyojong - at the age of 10 in 1656 (7th year of King Hyojong reign), becoming Dongpyeongwi. His writings of "Gongsa-gyeonmunrok" (Record of personal experience as an officer and person) and "Hangeomankrok" attracted people's attention in that they had recorded detailed personal experiences within the court at the time. However, the existence of "Gamirok", which was contained together with "Gyeonmun-ingyerok" in between "Gongsa-gyeonmunrok" and "Hangeomankrok" as a collection of four volumes at Kyujanggak, couldn't get proper attention.
    The reason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Gamirok" in particular is because, while other three writings of Jeong Jae-ryun followed the normal form of writings at the time, this writing mainly contained the content whereby 'Guiea' (bizarre existence of ghosts and deities) showed warning and discipline to those attempting immoral conducts. So, this means Jeong Jae-ryun's "Gamirok" reflected universal value of moral recognition of 'Bokseon-hwaeum' (Blessings to the good people and disasters to the bad) and we need to pay attention to it that it was an attempt to convey political scenes full of party strife in the 16th and 17th Century.
    Moreover, given developments of writings related with 'Guiea', it's quite comparable to Seonghyeon's "Yongjae-chongwha" which proved Confucian scholars' superiority over demons as well as Kim An-ro's 'Yongcheon-damjeokgi" which interpreted political misfortunes of persons in connection with ghosts and deities. In this regard, the study revealed that 'Gamirok" had reinterpreted swirls of unethical political infighting borrowing the thought of 'Bokseon-hwaeum' related with 'Guiea', while maintaining the political neutrality of being the King's son-in-law of the author. And this study ascertained this finding as a new indicator of the writings in the late Joseon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코기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