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보디자인의 이해도가 보상감, 기대감 및 상품유지 동기에 미치는 영향 -납입형 보험상품 정보를 중심으로- (Experimental Study on How Information Design impacts on Understanding Financial Data and Improving Psychological Rewards, Positive Expectations and Self-Retention Motives)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2.11
14P 미리보기
정보디자인의 이해도가 보상감, 기대감 및 상품유지 동기에 미치는 영향 -납입형 보험상품 정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학연구 / 25권 / 4호 / 47 ~ 60페이지
    · 저자명 : 김정희, 오동근, 김면

    초록

    일반적으로 정보디자인은 정보를 명확히 전달하는 1차적 역할에 충실해 왔다. 그러나 정보디자인이 브랜드 관점에서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고객들의 정서적 만족감과 정보적 충족감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그 역할이 확장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금융정보 전달의 경우를 통하여 수치 및 데이터와 같은 단편적 정보의 시각화가 무형의 금융상품에 대한 고객의 태도와 유지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정보디자인의 확장된 역할과 중요성을 재조명하였고, 정보이해도와 지속적 상품유지동기를 높이기 위한 형태와 컬러적용의 적정 수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20대 남녀 23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실시하였고, ‘적용된 컬러의 수(3수준)’와 ‘형태의 설명정도(3수준)’를 상호 교차토록 설계한 3X3 완전무선요인설계 실험을 통하여 시나리오제시와 시각정보제시, 제시된 시각정보에 대한 정보이해도와 심리적 태도를 묻는 설문의 3단계 순서로 실험을 구성하였다.
    결과분석을 통하여, 형태의 설명정도와 컬러의 수가 각각 높아질수록 정보이해도와 긍정적인 심리적 태도 형성에 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두 가지 요소가 함께 높아지게 되면 복잡성의 증가로 인해 오히려 부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고객의 상품유지동기를 높이는 데에는 ‘정신적 보상감’과 ‘긍정적 기대감’이 큰 역할을 하며, 정보이해도는 상품유지동기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보상감과 기대감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각화 과정에 소구하고자 하는 심리적 태도를 기반으로 한 시각언어 구조화 과정을 추가한다면, 정보디자인이 정보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1차적 역할 뿐 아니라 심리적 태도를 유도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확장된 역할까지 충족시킬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Generally, information design has devoted to playing its primary role of delivering information.
    However, its role began to expand to satisfy customers’ emotions and needs for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as a perception of a brand was applied to information design.
    Therefore, this study shed new light to the expanded role and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design by revealing the impacts of the visualization of simple information of numbers and data on the customers’ positive attitudes and self-retention motives of financial products. It also attempted to redefine the appropriate level of the form and color appli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data understanding and the self-retention motive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line with 234 male and female subjects in the age group of 20s. It was a 3x3 completely randomized factorial design experiment, designed to mutually cross the three levels of applied colors and the three levels of explanations of forms. The experiment had three steps of presenting a scenario, presenting visual information and surveying on the understanding of presented visual information and positive attitudes.
    Through the analysis into the survey, it was concluded as the separate increase in level of form and color, each factor had positive effects on understanding of data and positive attitude individually. On the other hand, it was also resulted as the level of form and color increases at the same time, the occurrence of complexity had negative effects to two independent variables above. To improve the self-retention motives of customers, it was concluded that the “sense of psychological rewards” and “positive expectations” played a significant role. It was also concluded that the level of data understanding did not affect the self-retention motives directly but rather indirectly through the sense of rewards and expectation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proposed that adding a process of a visual language structuralization based on the desired psychological attitudes onto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process will not only satisfy the primary role of delivering information but also inducing desired psychological attitudes from the customers, thus allowing it to play expanded roles as a resul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