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감록’과 ‘행운의 편지’ - 두 개의 전후, 하나의 운명론 (‘Jeonggamrok(鄭鑑錄)’ and ‘a Chain Letter’ - Two Following the War, One Fatalism)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6.08
37P 미리보기
‘정감록’과 ‘행운의 편지’ - 두 개의 전후, 하나의 운명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22권 / 3호 / 45 ~ 81페이지
    · 저자명 : 전지니

    초록

    본고는 태평양전쟁과 한국전쟁을 계기로 과학에 대한 호기심과 예언서 ‘정감록’의 열풍이 공존했던 두 전후(戰後)의 풍경을 조명하며, 복잡한 국제 정세 속에서 대중에게 ‘미신(迷信)’이 갖는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정부가 주도한 대대적인 ‘신생활운동’ 속에서도 거리에는 무당과 점쟁이가 범람하고 ‘행운의 편지’가 주기적으로 재등장해 사회 문제화됐던 해방 이후-전후의 풍경에 대한 문화론적 고찰이자, 민중의 절망과 희망을 동시에 담고 증식했던 맹목적 믿음에 대해 재구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해방 후 가공할 만한 원자탄의 위력은 매체를 통해 풍문처럼 확산됐고, 대중이 근대적 과학의 실체에 접근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오랜 생활의 경험을 토대로 진실성을 갖고 있는 ‘정감록’은 오히려 논리적이고 신뢰할만한 출처였다. 또한 한국전쟁 이후에는 미신이 오락거리로 대중의 일상과 더욱 공고하게 밀착되어갔고, 이 같은 배경하에 발표된 최요안의 <의사없는 마을>(1950), 장용학의 <미련소묘>(1952), 주요섭의 <붙느냐 떨어지느냐?>(1958)는 모두 과학적 신념을 가진 근대적 남성주체가 미신을 떨쳐버리지 못하는 민중 혹은 자기 자신의 한계와 직면하는 양상을 다룬다는 점에서 공통분모를 갖는다. 세 소설에는 각각 과학을 신봉하는 의사, 모더니스트 소설가, 미신의 진상을 목도했던 아버지가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그런데 근대적 과학 체계에 대한 회의가 이어지는 과정에서 과학과 미신, 근대적인 것과 반근대적인 것의 경계는 모호해지며, 이들은 그간 반근대적, 전근대적이라 치부해 왔던 미신이 어쩌면 가장 합리적인 것일지도 모른다는 혼란에 빠지게 된다.
    살펴본 것처럼, 두 번의 전후 ‘정감록’과 행운의 편지 등 일련의 미신행위는 대중의 불안과 막연한 희망을 통해 증식해 나갔고, 당국은 이 불온한 유언비어를 척결하고자 했지만 그 근원적인 불안이 해소되지 않는 이상 이를 일소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곧 전후의 미디어와 문학텍스트는 근대성에 대한 회의가 엄습하는 순간, 과학에 대한 확신에 균열이 발생하는 순간을 포착하고 있었으며, 미신은 전쟁에 대한 불안과 당국에 대한 회의가 교차되었던 시대의 병폐 및 당대 민중의 필요성을 가장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좌표이기도 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aims to consider a meaning that ‘superstition(迷信)’ has as for the masses in the middle of the complicated international situation, with illuminating the two sights following the war that had been coexisted a fever of prophet ‘Jeonggamrok(鄭鑑錄)’ along with curiosity about science in the wake of the Pacific War and the Korean War.
    Following the liberation, the fearful power of atomic bomb was spread like a rumor through media. In a situation that the people are difficult to get access to the true nature of modern science, ‘Jeonggamrok’, which has honesty based on the experience of long life, was rather a logical and reliable source. In addition to this, following the Korean War, superstition was adhered more firmly to the people's daily life as entertainment. All of Choe Yo-han's <Village with No Doctor>(1950), Jang Yong-hak's <Sketch with Regret>(1952), and Ju Yo-seop's <Whether Clinging to or Dropping?>(1958), which were released under this background, have a common denominator in addressing the aspect that a modern male subject, who has a scientific belief, confronts the limitation of the people or him himself with failing to dispel superstition. These characters come to fall into confusion as saying that the superstition, which had been regarded as what is anti-modern and pre-modern, might be most rational.
    As examined, a series of the superstition act such as ‘Jeonggamrok’ and a ‘chain letter’ in two times following the war proceeded with having been increased through the people's anxiety and vague hope. The authorities intended to strongly eradicate this disturbing rumor. But it was impossible to eradicate this unless the fundamental anxiety is solved. That is to say, the media and the literary text following the war were capturing the moment that skepticism about modernity comes over and the moment that there was a crack in conviction of science. The superstition was also a coordinate available for confirming most correctly the malady in the times and the necessity of the masses in those days that had been crossed an anxiety about the war and a skepticism about the author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서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