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汾西 朴의 <西京感述>에 대하여 (About Bunseo[汾西] Park-Mi[朴]'s Seogyunggamsul[西京感述])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07.06
33P 미리보기
汾西 朴의 &lt;西京感述&gt;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25호 / 33 ~ 65페이지
    · 저자명 : 이성민

    초록

    본고는 박미의 <西京感述>을 분석한 것이다. <서경감술>은 1638년 冬至兼聖節使로 瀋陽 사행 당시, 평양에 들러 지은 작품이다. 칠언절구 연작 30수로 이루어져 있고 평양의 역사적 사실과 고사․승경․풍속 등 다채로운 토속적 정취가 담겨있다는 점에서 ‘竹枝詞’라고 할 수 있다.
    16세기 조선의 문인들은 죽지사를 樂府詩의 중요한 형태로 생각하였고, 악부시 창작에 칠언절구를 많이 활용하였다. 박미의 <서경감술>은 죽지사 창작의 전통을 잇고 있는 작품이다. 그러나 죽지사를 비롯한 악부시 연구에서 전혀 다루어지지 않았기에, 새로운 자료로서 그 일차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서경감술> 30편 각각의 詩에 자세한 주석을 붙여 작품의 이해를 돕고 있다는 점도 특기할 필요가 있다. 특히 주석에 보이는 여러 가지 稗說들이 正史의 기록과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정제된 형태의 칠언절구를 활용하면서도 시 자체가 가지는 미적 특징에 집중하기 보다는, 특정 지역을 묘사한 작품이 가질 수 있는 ‘記錄’적 성격을 중시하였던 것이다.
    박미의 부친 박동량은 1605년부터 1607년까지 평안도 관찰사를 지냈는데, 이 시기 박미 가문의 성대했던 모습이 <서경감술> 서문에 드러나 있다. 宣祖의 죽음 이후 몰락의 길을 걷기 시작했던 박미의 삶과 대비할 때, 부친의 평양 재임 시절은 분명 “훼손되지 않은 과거”였다. 이 때문에 박미는 평양의 역사와 일화, 승경, 풍속 등을 시로 담아내며 과거의 영광을 추억하였던 것이다. 평양에 대한 기록을 시로 남기는 것은 기록 자체로서의 의미를 지니는 동시에, 훼손되지 않았던 과거 자기 가문의 영광을 아로새기는 작업이기도 하였다.
    한편, <서경감술>에 표현된 평양은 민족의 발상지요, 수많은 승경을 간직한 명승지이며, 춤과 노래가 끊이지 않는 흥겨운 곳이자, 인정 많은 사람들이 사는 곳이다. 활기차고 건강한 평양의 모습을 그림으로써, 오랑캐 청나라로 사행을 떠날 수밖에 없는 자신과 조선의 왜곡되고 굴절된 처지를 안타까워하고 있다.
    <서경감술>에는 檀君․箕子와 관련된 내용을 노래하여, 민족의 발상지로서 평양의 상징적 모습을 부각시켰다. 妙淸의 난, 金富軾과 鄭知常의 일화, 임진왜란 때의 사건들을 시로 남기면서 다양한 고사를 활용하였고, 나아가 자신이 견문한 稗說을 작품에 반영하고 주석으로 남겼다. 한편 평양에서 벌어졌던 宴會와 그 연회에서의 演戱과정을 상세한 주석과 함께 기록해 두었다. 특히 제24수는 고려시대 사행 행렬을 전송하던 전별연의 모습이 그려진 ‘배따라기’ 노래로서, 그 주석의 내용은 배따라기의 연희과정이 그려진 최초의 자료로 추정된다. 또한 제25수부터 제30수까지 총 6편의 시는 평양의 민간 풍속을 소재로 삼아 창작된 것이다. 대동강에서의 뱃놀이, 초파일 연등행사와 단옷날의 그네뛰기, 물동이를 이고 가는 아낙네의 모습, 한겨울 대동강에서의 썰매타기, 한여름 蜜蓴과 蓮葉酒로 갈증을 달래는 모습 등 다채로운 광경들이 담겨져 있어 평양의 풍속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report is the investigation of Park-Mi's Seogyunggamsul. Seogyunggamsul was written when the author visited Pyeongyang[平壤] during his diplomatic trip to Shenyang[瀋陽].
    It is made up of 30 pieces of Qi-jue[七絶] and could be called 'Jugjisa[竹枝詞]' as it has some historical facts and various folk moods of Pyeongyang. But it was excluded from the study of Jugjisa, so it could be recognized as new material in first.
    It is significant characteristic that it has notes in every 30 piece to help readers understand better.
    Park-Mi's father Park-Dongyang[朴東亮] served as Pyeongando-governor[平安道觀察使] from 1605 to 1607, and his family's glorious period in that time is shown in Seogyunggamsul‘‘s preface. Park-Mi reminisce past glory by describing history, anecdotes, customs of Pyeongyang in his poem.
    In addition Pyeongyang, described in Seogyunggamsul, is the cradle of Korean people and has lots of picturesque places and joyful place where never end dance and song and live lots of warm-hearted people. By describing Pyeongyang as vigorous and healthy, he showed his pity about his inevitable situation to go to Qing Dynasty as a diplomat and the situation of ChoSun Dynasty.
    By reciting something related to Dangun[檀君]․Gija[箕子], he brought into relief Pyeongyang's representative image as the cradle of Korean people.
    And he made poems with Rebellion of Myochong[妙淸], Kim-Busik[金富軾] and Jung-Jisang[鄭知常] and some events which took place during the Imjin waeran[壬辰倭亂] and added notes.
    And he wrote feasts held in Pyeongyang and details of those feasts with detailed notes.
    We can get lots of helps to understand the customs of Pyeongyang from 25th to 30th of Seogyunggamsul because he created it with popular customs of Pyeongya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상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