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금을 향한 노래, <感君恩> (Song for the king, Gamguneun 感君恩)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21.06
42P 미리보기
임금을 향한 노래, &lt;感君恩&g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69권 / 181 ~ 222페이지
    · 저자명 : 이정희

    초록

    <감군은(感君恩)>은 임금을 송축하는 의미를 가사에 담았던 노래이다. 궁중에서 연주된 용례가 세종대부터 나타나며, 이후 사악(賜樂)의 레파토리로 활용되었던 정황이 17세기까지 남아있다. 민간에서의 연주 사례는 16세기부터 산견되며 19세기 후반까지 기생(妓生), 금객(琴客), 가객(歌客), 문인(文人) 등이 연주 주체로 다양하게 등장한다. 아울러 지방에서 연주되었던 양상도 드러나 전국적으로 향유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양상은 음악의 재연(再演)․공유․확산을 가능하게 하는 악보와 연계되어 『금합자보(琴合字譜)』, 『양금신보(梁琴新譜)』, 『백운암금보(白雲庵琴譜)』 등의 선율을 토대로 지속 가능했고, 특히 『금합자보』에 체계화 된 합자보와 목판본의 영향력을 발휘한 『양금신보』가 <감군은>이 널리 유통되는데 일조하였다. 후대에 민간에서 편찬된 악보에 수록된 <감군은>이 『양금신보』를 모체로 삼았기 때문에 그 가락도 여음에서만 약간 변화가 있었을 뿐 전체적으로 크게 다르지 않았다. 또한 궁중 악인 출신에 의해 『금합자보』, 『양금신보』가 제작되면서 궁중에서 연행된 가락과 일정한 관련성을 지녀, 『금합자보』와 『대악후보』 권5의 선율이 친연성을 나타냈고, 『양금신보』와 『대악후보』 권6의 선율이 유사성을 띠기도 했다.
    궁중과 민간에서 연주된 <감군은>은 악보에 따라 악기편성에서 차이가 나타나기도 했지만, 음악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이를 통해 궁중과 민간의 음악 교류 양상을 가늠할 수 있었다. 궁중에서 민간으로 유출되어 풍류악곡으로 정착한 <영산회상(靈山會相)>, <여민락(與民樂)>, <보허자(步虛子)>처럼 파생곡을 형성하거나, 악기편성을 다양하게 하는 등의 변화가 두드러지지는 않았지만 ‘나라를 향한, 곧 임금을 향한 마음이 가사에 담긴, 지나치지 않는 고아한 분위기를 지닌 노래’라는 풍모가 문인들의 음악적 취향에 부합되어 지식층에게 <감군은>은 특별한 의미가 있었다. 즉, 노래 가사에 깃든 ‘충군(忠君)’이라는 상징성으로 인해 왕조시대라는 시대적인 특성과 맞물려 19세기까지 긴 생명력을 이어갈 수 있었다.

    영어초록

    Gamguneun 感君恩 is a song that contains the meaning of praising the king in the lyrics. The use cases performed in the palace appeared from 15h century, and the situation that was used as a repertoire for Sa Ak 賜樂 is seen until the 17th century. Examples of performances in the private sector have been found from the 16th century, and until the late 19th century, gisaeng 妓生, geumgaek 琴客, singers 佳客, and intellectual class 文人 appeared in various ways as the performers. In addition, the pattern that was played in the region was revealed, and it seems that it was enjoyed nationwide.
    This aspect was sustainable based on melodies such as Geumhapjabo 琴合字譜, Yanggeumsinbo 梁琴新譜, and Baegunam Geumbo 白雲庵琴譜 in connection with sheet music that enables the reenactment, sharing, and spread of music. It is believed that Yanggeumsinbo 梁琴新譜, which exerted the influence of systematic joint ventures and woodblock prints, contributed to the widespread circulation of Gamguneun 感君恩. Since Gamguneun 感君恩, which was included in later privately compiled music scores, took Yanggeumsinbo 梁琴新譜 as the parent body, the tune was only slightly changed in Yeoeum 餘音 but was not very different overall. In addition, as Gumhapjabo 琴合字譜 and Yanggeumsinbo 梁琴新譜 were produced by wicked people in the court, they had a certain relationship with the songs performed in the court, and the melody of Gumhapjabo 琴合字譜 and Daeakhubo 大樂後譜 Volume 5 showed affinity, and Yanggeumsinbo 梁琴新譜 there was a similarity between the melodies of Daeakhubo 大樂後譜 Volume 6.
    Gamguneun 感君恩, played by the court and the private sector, showed differences in instrumental arrangement depending on the score, but it was musically connected, which allowed us to gauge the pattern of musical exchange between the court and the private sector. Changes such as the formation of derivative songs or diversification of musical instrument arrangements, such as Youngsan Hoesang 靈山會相, Yeominrak 與民樂, and Boheoja 步虛子, which were leaked from the court to the public and settled as Pungryu music 風流音樂 were not noticeable, It is believed that Gamguneun 感君恩 had a special meaning to the intellectuals as the feature of a song with a classical atmosphere that does not overdo it, with the heart for the king in the lyrics' fits the musical tastes of the literary people. The symbolism of ‘chunggun 忠君’ in the lyrics of the song, combin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of the dynasty era, was able to sustain a long life force until the 19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9 오전